[전체] “모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7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99)
사전(243)
- 모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르며, 명칭도 모정‧시정‧우산각‧농정‧농청‧양정(凉亭) 등 여러 가지로 불리고 있다. 여름철 마을주민의 휴식처로 마을의 공유재산이고, 남자만이 사용하는 남성집단의 전유물이며, 남성 중에서도 일하는 일꾼이 주로 이용하는 정자이다. 수도작농업지대에 발달하였...
- 모정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갓 모자의 꼭대기 부분.정의갓 모자의 꼭대기 부분.[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mojeong | MR표기moj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茅亭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K4_D_0001 茅亭 건축 白茅幈幪 南山北園 晉康侯崔忠獻, 李奎報 補閑 D_01_01_55 대동운부군옥 1권 1장 55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권 1장 5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茅亭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K4_D_0175 茅亭 건축 相與唱和 衆美亭, 南澗, 男山 毅宗, 崔忠獻, 李奎報, 煕宗, 忠獻 並麗史 D_07_02_13 대동운부군옥 7권 2장 13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7권 2장 1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모정(茅亭)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모정 모정 茅亭 농막(農幕), 농청(農廳), 우산각(雨傘閣), 양정(凉亭) 사회향촌/취락 건축 호남 조선 조선 이해준 [정의] 농촌 마을의 입구나 들판에 마을 주민들이관련어농막(農幕), 농청(農廳), 우산각(雨傘閣), 양정(凉亭)
고서·고문서(1,029)
- 모정선생문집(慕亭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查明俄官在榆關扣留華商運杉木情形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러시아 관원이 유관(榆關)에서 화상(華商)들을 구류하고 삼목(杉木)을 운송하는 정형에 관하여 조사하여 밝힘작성국가중국 | 원소장처대만중앙연구원근대사연구소 | 발신일光緒31年07月26日;1905-08-26
- (명문) 임모정월초 7일 외손 김성석처 별급 등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분류기타 | 소장처수원시박물관
- 內需司 文績類_제4책 5. 傳令 梁山柳木亭蘆田舍音金得哲處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02617 奎 19312 內需司 文績類 제4책 04-005 5. 傳令 梁山柳木亭蘆田舍音金得哲處 전령 1 68.3x34.4 한지, 관인 ...자료명內需司 文績類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조선시대 역학서:1690_역어유해(上)_帽頂兒 갓우.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역어유해 137 1690_역어유해(上) 帽頂兒 갓우. 1690역어유해(상)_44a.jpg 帽頂兒 갓우. 帽簷兒 갓드르. 帽珠兒 갓. 頂子 頂子. 大帽雲頂兒 운월. 雲月兒 운월. 涼圈子 우 업슨 갓. 蓑笠 삿갓. 斗篷 삿갓. 網兒 망긴. 網子 망긴. 圈子 관....편명1690_역어유해(上)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구술자료(87)
- 모정자 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81-01-23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무안면 | 제보자김외순
- 모정자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82-02-04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지정면 | 제보자박연악
- 모정리의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모정리의 유래에 대해서 조사자가 묻자 제보자 전종남이 구연해 주었다.조사일시2009. 04. 25(토) | 조사장소제보자(전종남) 자택 / 충청북도 제천시 백운면 모정1리 왕당길23 | 제보자전종남
- 진주덕산 안모정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보자가 다른 사람이 노래하는 것을 들으며 쉬다가 앞 민요 21에 이어서 부른 노래다.*조사일시1979-07-30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하청면 | 제보자김옥란
- 전라북도 순창군_좀도 좋네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7_135 전북 전라북도 순창군 전라북도 순창군_좀도 좋네 좀도 좋네 사랑가 전라북도 순창군 금과면 모정리 2004.10.2 (메): 이정호 (받): 금과들소리 회원들 이정호(1940년생.남.토민), 공영주(1932년생.남.방성리 토민), 지민규(1927년녹음지역전라북도 순창군 금과면 모정리 | 녹음날짜2004.10.2 | 가창방식멕받형
기초학문(3)
- 한어방언의 분류 방법론 재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모정열, 게재일 : 201151391 모정열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국학회 2011 한어방언의 분류 방법론 재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유형논문 | 게재일2011
- 중국 주산군도 식문화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모정열, 게재일 : 200620949 모정열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경인문화사 2006 중국 주산군도 식문화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06
- 중국 주산군도(舟山群島)의 음식조리법에 대한 소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모정열, 게재일 : 200720950 모정열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목포대학교 2007 중국 주산군도(舟山群島)의 음식조리법에 대한 소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유형논문 | 게재일2007
신문·잡지(261)
- 布木定價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황성신문 布木定價 1905년 10월9일 서울 서울 경성상업회의소에서 포목 등의 정가를 농부(農部)에 보고 http://go...대표표제어布木定價 | 연월일1905년 10월9일 | 지역서울
- 高木定一(高木定一)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高木定一(高木定一) 서울 高木定一 高木定一 本町 1-36, 本町 1-18 복장품 - 가방(鞄) 소매 293.22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대표표제어高木定一(高木定一) | 지역서울 | 품목복장품 | 영업종목가방(鞄)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鈴木政種(鈴木政種)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鈴木政種(鈴木政種) 서울 鈴木政種 鈴木政種 西小門町 130-3 포백류 - 면사포(綿絲布) 중개 41.7 매약(賣藥) 겸업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대표표제어鈴木政種(鈴木政種) | 지역서울 | 품목포백류 | 영업종목면사포(綿絲布)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山木政夫(-)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山木政夫(-) 대구 山木政夫 - 大和町 - - 일용식품,잡화 - - - 最近 大邱要覽: 大邱商工人名錄, 192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山木政夫(-) | 지역대구 | 품목- | 영업종목일용식품,잡화 | 자료출처最近 大邱要覽: 大邱商工人名錄, 1920년
- 世木靜觀(-)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世木靜觀(-) 목포 世木靜觀 - 榮町 2丁目 - - 시계상 - 34 - 木浦案內: 商工人名錄, 192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世木靜觀(-) | 지역목포 | 품목- | 영업종목시계상 | 자료출처木浦案內: 商工人名錄, 1921년
멀티미디어(1)
- 전라남도 여수 근처 가장도라는 섬에 사는 숙현이는 초등학교 6학년으로, 어머니가 지난 6년간 하루도 빠짐없이 10리 남짓 되는 뱃길을 따라 노를 저어 등하교를 시켜왔다. 숙현이를 교육시키겠다는 어머니의 교육열은 갖은 고난에도 굴하지 않았고, 이제 곧 숙현이는 졸업을 하자료구분KTV소장문화영화 | 제작년도1963년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기타자료(75)
- 송목정;松木正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5399 남한 충북 청주고등보통학교 2-50 舟城 제7호 1936―04―05 161면 송목정;松木正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송목정;松木正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4948 남한 충북 청주고등보통학교 2-50 舟城 제6호 1934―11―05 100면 송목정;松木正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초모정자고성보(草帽頂子古城堡) [발해 네트워크의 역사적 위상: 육로, 수로 그리고 해로 |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역사 유적 고대 초모정자고성보(草帽頂子古城堡) 중국 초모정자고성보(草帽頂子古城堡) 관방유적 발해~요·금 길림성(吉林省) 훈춘시(琿春市) 춘화진(春化鎭) 초모정자고성보.pdf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한국전...대표표제어초모정자고성보(草帽頂子古城堡) | 유적소재국가중국 | 유적명초모정자고성보(草帽頂子古城堡)
- (문예 수필) 모정삼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문예 수필) 모정삼제 (문예 수필) 모정삼제 교육 문헌 현대 중등교육 교사문화 잡지 ...범주1중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부창관 | 사료철명교육제주
- 청목정구;靑木政久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3231 남한 경성 경복중학교 소화19년 4월 현재 동창회 회원명부 1944 154면 청목정구;靑木政久 강원도 철원읍 관전리 47-3 4년 수료생 1944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복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4)
-
모정 / 茅亭 [사회/촌락]
여름철에 마을주민이 더위를 피하여 휴식하기 위하여 세운 마을의 공유·공용건물. 여름에만 사용하기 때문에 방이 없이 마루로만 구성된, 작은 규모의 초가지붕 건물로 전라도지방에 집중해 있다. 이 지방에서도 지역에 따라 분포의 정도가 다르며, 명칭도 모정·시정·우산각·농정
-
나주영모정 / 羅州永慕亭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에 있는 조선전기 문신 임붕이 건립한 누정.시도기념물. 정면 3칸, 측면 2칸의 겹처마 팔작지붕건물. 전라남도 기념물 제112호. 1520년(중종 15) 임붕(林鵬)이 건립한 정자로, 처음에는 임붕의 호를 따서 ‘귀래정(歸來亭)’이라 불렀으나 15
-
공정책 / 空頂幘 [생활/의생활]
조선시대 왕세자 또는 왕세손이 관례 전에 착용하던 관모. 형태는 면류관에서 평천판없이 각만을 살린 것으로, 모정(帽頂)이 비어 있다. 이 각은 색라로 싸고 지금으로 장식하였으며, 쌍옥도(비녀)를 꽂았다. 양 갓에는 주조를 늘어뜨려 턱밑에서 맺게 되어 있었다. 공정책
-
황초립 / 黃草笠 [정치·법제/법제·행정]
각 전ㆍ궁의 별감과 사복내외시 거달, 내취 등이 행행 할 때 쓰는 갓. 누런 빛깔의 가는 대로 만들며, 위는 좁고 아래가 넓은 원통형의 모옥과 원형의 양태로 되어 있다. 모정이 평평하다.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에서는 견마배가 청의를 입고 황초립을 썼다.
-
이시수 / 李蓍秀 [종교·철학/유학]
저서로《모정집》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