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모시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5)
사전(35)
- 모시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성숙하면 다갈색으로 변한다. 줄기의 인피부(靭皮部)에 생성되는 섬유세포가 우리들이 이용하는 섬유이다. 모시풀의 잎은 긴 잎자루가 있으며, 잎몸은 길이 16㎝와 너비 11㎝ 가량의 넓은 염통모양으로 되어 있고 잎 둘레는 톱날모양으로 되어 있다. 잎은 어긋나...이칭별칭저마
- 구승저포(九升苧布)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885 물품도구 구승저포(九升苧布) 구승저포 九升苧布 아홉새 굵기의 저포(苧布). 저포는 쐐기풀과에 속하는 모시풀의 인피섬유로 제작한 직물로, 저포(紵布)라고도 하며, 주로 여름 옷감으로 쓰인다. 구승의 포(布)는 중간 정도로 비교...유형분류물품도구
- 근대신어 : 라미(라미)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12362 라미 라항 라미 ramee, ramie 植物. 苧麻, 라미麻 식물. 모시풀, 라미 纖維作物라미와 亞麻의增產(東亞日報, 1937.12.7. 6면) 섬유작물 라미와 아마의 증산(東亞日報, 1937.12....출전(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漢城圖書株式會社] | 계통분류 [사회생활] 동식광물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라미(래미-)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12363 라미 라항 래미- ramee, ramie 植物. 苧麻, 라미麻 식물. 모시풀, 라미 纖維作物래미-와 亞麻의增產(東亞日報, 1937.12.7. 6면) 섬유작물 라미와 아마의 증산(東亞日報, 1937.1...출전(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漢城圖書株式會社] | 계통분류 [사회생활] 동식광물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저마포(苧麻布)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7605 물품도구 저마포(苧麻布) 저마포 苧麻布 모시풀 껍질의 섬유로 짠 직물. 모시. 베보다 곱고 빛깔이 희며 여름 옷감으로 많이 쓰인다. 저포(紵布 ‧ 苧布) ‧ 저마포(紵麻布)라고도 한다. 삼실을 얽어 짠 마포(麻布), 즉 삼...유형분류물품도구
주제어사전(2)
-
모시풀 / Boehmeria nivea (L.) GAUDICH. [과학/식물]
피부(靭皮部)에 생성되는 섬유세포가 우리들이 이용하는 섬유이다. 모시풀의 잎은 긴 잎자루가 있으며, 잎몸은 길이 16㎝와 너비 11㎝ 가량의 넓은 염통모양으로 되어 있고 잎 둘레는 톱날모양으로 되어 있다. 잎은 어긋나며, 잎 뒷면에 흰털[毛茸]이 있는 백모시와 털이 없
-
모시 / [생활/의생활]
쐐기풀과에 속하는 모시풀의 인피 섬유로 제직한 직물. 저마(苧麻)라고도 한다. ≪계림유사 雞林類事≫에는 ‘저왈모 저포왈모시배(苧曰毛苧布曰毛施背)’라고 기록되어 있어 일찍이 고려시대에도 저마 섬유를 ‘모’, 저마포를 ‘모시베’라고 일컬었음을 알 수 있다. 한자로는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