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모시” 에 대한 검색결과 8,56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433)

사전(3,40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쐐기풀과에 속하는 풀의 인피 섬유로 제직한 직물. [내용] 저마(苧麻)라고도 한다. ≪계림유사 雞林類事≫에는 ‘저왈모 저포왈배(苧曰毛苧布曰背)’라고 기록되어 있어 일찍이 고려시대에도 저마 섬유를 ‘모’, 저마포를 ‘베’라...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국 한(漢)나라의 모형(毛亨, ?-?)과 모장(毛萇, ?-?) 일파가 남겼다고 하는 《시경(詩經)》 판본.
    정의중국 한(漢)나라의 모형(毛亨, ?-?)과 모장(毛萇, ?-?) 일파가 남겼다고 하는 《시경(詩經)》 판본.[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Mo si | MR표기Mo s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R2_D_0069 식물 苧 東人 說郛 D_02_01_73 대동운부군옥 2권 1장 73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권 1장 7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H2_D_0050 무기 遼東 漂海錄 D_09_04_74 대동운부군옥 9권 4장 74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9권 4장 7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동사구문사전 : [현대 한국어 동사 구문 사전 | 서울대학교]
    1858 다I 다1 어(모셔), 니, 고 일반동사 vt (손윗사람을) 가까이에 있으면서 받들다. (Of a person) Assist someone in higher position by staying clo...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창섭 교수)

고서·고문서(3,999)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700 與猶堂全書補遺○餛飩錄 ITKC_MP_0597A_1700_040_0490 布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餛飩錄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繼母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350 欽欽新書 卷一 ITKC_MP_0597A_1350_040_0160 繼母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
    권차명欽欽新書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고 박 여자 경상북도 군위군 흑룡강성(黑龙江省) 오상현(五常县) 사하자공사 서광대대 3 3 고, 살았음,
    대표표제어모시고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고 정 남자 전라북도 순창군 길림성(吉林省) 팔가자임업국 4 2 고, 중국, 안도현, 창원툰, 거주, 그후,
    대표표제어모시고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고 우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철력시(铁力市) 4 3 고, 가셨는데, 셋째삼촌, 일본말, 잘하시, 장사, 거주, 큰...
    대표표제어모시고 | 성씨

구술자료(240)

  • 삼는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모시삼다가 졸릴 때 부르는 것이라며 자청해서 불러줬다. 모시 삼는 동작에 맞춰 다시 부르게 해서 녹음했다. *
    조사일시1982-02-06 | 조사장소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 | 제보자우윤순
  • 삼는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모시삼을 때 부르는 노래라고 했다. 노동의 고됨을 한탄하는 내용으로, 가락이 처량했다. *
    조사일시1982-05-06 | 조사장소충청남도 부여군 내산면 | 제보자장소저
  • 수천당 세남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노래에 이어 구연하였다. 차분한 목소리로 노래를 불렀다. 녹음 상태가 좋지 않아 사설을 정확힌 알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조사일시2011. 1. 20(목) | 조사장소경상남도 남해군 고현면 포상리 포상마을 | 제보자공순점
  • 당산제 는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마을 유래에 대해 묻자 제보자가 당산제를 모신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조사자가 당산신과 관련된 설화가 전하는 것이 있는 지를 묻기 위해 당산신을 모시게 된 내력을 묻자, 당산신에 대한 설화는 없다 하며 당산제를 모시는 과정에 대해 이야기 했다.
    조사일시2009.07.21 | 조사장소경상남도 함양군 백전면 양백리 서백마을 | 제보자전병수(남,72세)
  • 사나운 시어머니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사자는 규방식 내용의 이야기를 듣고 싶어서 며느리와 시어머니가 싸운 얘기를 유도하자 이 이야기를 해 주셨다."이 이야기도 할머니 친구분께 여름 놀이를 다닐 때 들으신 것이라고 한다. *
    조사일시1980-02-01 | 조사장소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 제보자백옥련화

기초학문(13)

  • 上博楚簡 〈詩論〉과 〈序〉의 비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강신석, 게재일 : 2008
    31545 강신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문화연구학회 2008 上博楚簡 〈詩論〉과 〈序〉의 비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19C 러일 제국주의국가의 아이누리 분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장근, 게재일 : 2003
    32164 최장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일본어문학회 2003 19C 러일 제국주의국가의 아이누리 분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대규험의 행렬표집검사설계에 관한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남현우, 게재일 : 2009
    26941 남현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9 대규험의 행렬표집검사설계에 관한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이미지로 말하기 - 바부르크의 므네네 프로젝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홍경, 게재일 : 2015
    59182 이홍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독일어문학회 2015 이미지로 말하기 - 바부르크의 므네네 프로젝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행렬표집가교문항설계의 대규험에서 베이지안 IRT 동등화의 최적 사전정보 탐색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남현우, 게재일 : 2013
    56479 남현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교육평가학회 2013 행렬표집가교문항설계의 대규험에서 베이지안 IRT 동등화의 최적 사전정보 탐색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
    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622)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모쳐에셔 권고기 민샹호 윤치호 량씨 일본에 보여 문물졔도 시찰라고 다더라
    게재일1905년 6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 日軍叅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셩에쥬 일본군령부 참모관즁도션지죠씨가 시찰로 원산항등디로 발뎡하거데 부에 교셥야그소경각군에훈령을 발야 미리 지슉 관를 뎡고 각별이보호케 라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5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民等訴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농샹공부에셔 포회샤를 허가야 작폐 잇는고로 죵로 포목뎐 시민들이 농부에 호소엿더니 대신이 쳐분기를 과연 작폐면 그회샤는 혁파다 더니 혁파는 고사고 그회샤에셔 말기를 포공쟝에 승강으로 본샤에셔 마니 손엿시니 그 손금을 물나고 한셩판소에 호소야...
    게재일1902년 12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熊太郞(-) 부산 熊太郞 - 寶水町1-55 - - 식료품 - 10 - 釜山商工名錄, 193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木寺熊太郞(-) | 지역부산 | 품목- | 영업종목식료품 | 자료출처釜山商工名錄, 1937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佐佐藏(-) 대구 佐佐藏 - 元町 2丁目 - - 곡물상 - - - 最近 大邱要覽: 大邱商工人名錄, 192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佐佐木市藏(-) | 지역대구 | 품목- | 영업종목곡물상 | 자료출처最近 大邱要覽: 大邱商工人名錄, 1920년

멀티미디어(55)

  • 15세기 중반 생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O/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215_토공_15세기_중반_생 경제_270_토공_15세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5세기 중반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O/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183_토공_15세기_중반_ 경제_238_토공_15세기_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8세기 중반 [苧]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O/X 없음 여지도서 없음 경제_1535_18세기_중반_[苧] 경제_1535_18세기_중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6세기 초반 조개[黃蛤]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6세기 초반 O/X 없음 신증동국여지승람 없음 경제_713_16세기_초반_조개[黃蛤] 경제_76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신증동국여지승람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6세기 초반 [苧]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6세기 초반 O/X 없음 신증동국여지승람 없음 경제_712_16세기_초반_[苧] 경제_767_16세기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신증동국여지승람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기타자료(97)

  • 돌아가는 몽 편에 교서를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돌아가는 몽 편에 교서를 보내다. 교역물품 753년(癸巳/신라 경덕왕 12/발해 문왕 大興 17/唐 玄宗 天寶 12/日本 孝謙天皇 天平勝宝 5) 발해...
    대표표제어돌아가는 모시몽 편에 교서를 보내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53년(癸巳/신라 경덕왕 12/발해 문왕 大興 17/唐 玄宗 天寶 12/日本 孝謙天皇 天平勝宝 5)
  • 돌아가는 몽 편에 교서를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돌아가는 몽 편에 교서를 보내다. 교류담당 753년(癸巳/ 신라 경덕왕12/ 발해 문왕 大興17/ 당 현종 天寶12/ 일본 孝謙 天平勝宝5) 발해 ...
    대표표제어돌아가는 모시몽 편에 교서를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53년(癸巳/ 신라 경덕왕12/ 발해 문왕 大興17/ 당 현종 天寶12/ 일본 孝謙 天平勝宝5)
  • (초대석) 최형섭 박사를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초대석) 최형섭 박사를 고 (초대석) 최형섭 박사를 고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론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용옥 | 사료철명교육월보
  • (초대석) 박홍 서강대 총장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초대석) 박홍 서강대 총장을 고 (초대석) 박홍 서강대 총장을 고 교육 문헌 고등교육 교수 교육총류 교육론
    범주1고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허운나 | 사료철명교육월보
  • 독일어과 소규범 연구보고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독일어과 소규범 연구보고서 독일어과 소규범 연구보고서 교육 문헌 현대 교육과정 교과교육
    범주1교육과정 | 형식단행본 | 한글저자조동섭, 이경재, 김충식

연구과제(3)

주제어사전(132)

  • / [생활/의생활]

    쐐기풀과에 속하는 풀의 인피 섬유로 제직한 직물. 저마(苧麻)라고도 한다. ≪계림유사 雞林類事≫에는 ‘저왈모 저포왈배(苧曰毛苧布曰背)’라고 기록되어 있어 일찍이 고려시대에도 저마 섬유를 ‘모’, 저마포를 ‘베’라고 일컬었음을 알 수 있다. 한자로는 저(

  • 풀 / Boehmeria nivea (L.) GAUDICH. [과학/식물]

    피부(靭皮部)에 생성되는 섬유세포가 우리들이 이용하는 섬유이다. 풀의 잎은 긴 잎자루가 있으며, 잎몸은 길이 16㎝와 너비 11㎝ 가량의 넓은 염통모양으로 되어 있고 잎 둘레는 톱날모양으로 되어 있다. 잎은 어긋나며, 잎 뒷면에 흰털[毛茸]이 있는 백와 털이 없

  • 신백요여 / 神帛腰輿 [정치·법제]

    신백을 는 작은 가마. 신백은 왕이나 왕비의 시신을 둔 빈전에 는 베로 만든 신위를 말한다.

  • 적삼 / [생활/의생활]

    홑으로 만든 윗옷. 여름용 적삼과 저고리 밑에 입는 속적삼이 있다. 형태는 저고리와 같으나 고름이 없고 단추로 여민다. ·삼베·무명 등으로 만드는데 삼베는 약간 거친 느낌을 주지만 는 올이 곱고 시원하다.

  • 서천저산팔읍길쌈놀이 / 舒川苧山八邑─ [생활/민속]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일대에 전승되는 민속놀이.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13호. 서천군 한산면을 중심으로 한 주산지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전승되던 여성 중심의 길쌈노래를 놀이로 재구성한 것이다. 서천·부여·보령 등지는 옛부터 주산지로, 여성들이 주로 실내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