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모스크바 3상회의” 에 대한 검색결과 38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83)

사전(21)

  • 삼상회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 아니라 독립의 실현방법을 규정한 것으로 해석할 여지가 있다. 3에서 결정된 것은 탁치가 아니라 독립을 위한 임시정부 구성이라는 주장도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위 조항은 하나의 선언적 수사(rhetoric)에 불과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아래와...
    이칭별칭모스크바삼국외상회의
  • 미소공동위원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종결 뒤 개최된 3에서는, 한반도에 대한 미‧영‧중‧소 4개국에 의한 최고 5년 기한의 신탁통치의 실시와 더불어 한국의 임시정부를 수립하게 하여 장차의 독립에 대비하게 한다는 결정을 내렸고, 미소공동위원회는 이에 따라 설치되었다. [내용] ...
  • 신탁통치반대운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45년 광복 직후 3에서 결정된 한반도 신탁통치안에 대하여 범국민적으로 전개했던 반대운동. [역사적 배경] 제2차세계대전의 종결로 인하여 피식민국이었던 아시아‧아프리카의 여러 나라에 대한 전후처리 문제가 연합국의 중요 과...
  • 사회민주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46년에 조직되었던 정당. [내용] 1945년 12월 3 결정에 따른 한국신탁통치를 지지하고 나선 조선공산당을 비롯하여 인민당을 못마땅하게 여겨, 인민당에서 탈당한 여운홍(呂運弘)이 1946년 5월 9일 그의 동조자들과
  • 권태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하여 통합 한국독립당을 창당하는 데 관여하고 조사부장이 되었다. 1947년 1월 한독당 중앙집행위원회에서 3를 지지할 것을 제안하였다. 5월에는 ‘반탁’을 주장하던 김구(金九)‧조소앙(趙素昻) 그룹에 의해 한독당에서 제명되었다. 1948년 남북협상에 참...

신문·잡지(100)

  • 정치가평론 민주경찰의 사명 정치·법제 문헌 현대 1948년 1월 조병옥 법정 3권 1호 평론 2 조병옥은 기존 3에서 결정된 “신탁통치”와 이에 찬성하는 사람들을 비판하며 UN총회에 우리나라 문제가 넘어간 것을 반기고...
    대표표제어민주경찰의 사명 | 자료유형평론 | 집필자조병옥 | 출처법정 3권 1호 | 키워드모스크바 3상회의, 신탁통치, 미소공위, 자유독립, UN총회, 총선거
  • 여러 가지 조건들이 3의 결정과는 맞지 아니한다. 그러므로 쏘련은 그 조건들을 수약할 수 없다. 쏘련 정부는 끼몬게올기예브가 정부 반대파들과 서로 협의할 때에 내세운 조건이 옳은 것이라고 인정한다. 아다 싶이 끼론게올기예브가 불가리아 반대파들을 향하야 요...
    대표표제어정로_1946_0410_04
  • 령관 하-지 중장은 단독적으로 결정을 해설하였는데 결정 제3항의 결정은 조선에 대한 5년 기한 내의 4국 후견은 만일 조선 사람이 그것에 대하야 반대 투쟁을 한다면 실시 않될 수도 있다는 것이였다. 이와 같치 하-지 중장은 조선에 대한 3...
    대표표제어옳다_1946_0519_02_01
  • 시 옳다 【5월 18일 평양방송 오후 8시 10분발】 5월 15일 이즈뻬스챠 신문에 게재된 쏘미공동위원회에 관한 론술을 다시 방송한다. 1946년 3월 20일 서울시에서 조선에 관한 3 결정을 실시하기 위하야 쏘미공동위원회가 설치되였다. 남...
    대표표제어옳다_1946_0519_01_01
  • 사령관 하―지 중장은 단독적으로 결정을 해설하였는데 결정 제3항의 결정은 조선에 대한 5년 기한 내의 4국 후견은 만일 조선 사람이 그것에 대하야 반대투쟁을 한다면 실시 않될 수도 있다는 것이었다. 이와 같치 하―지 중장은 조선에 대한 3...
    대표표제어옳다_1946_0519_02_01 | 책임주필선무현

기타자료(262)

주제어사전(6)

  • 3 / Moscow三相會議 [정치·법제/정치]

    1945년 12월 미.영.소 3국의 대표들이 모여 한반도 신탁통치안을 결정한 회의. 미국의 루스벨트 대통령, 영국의 처칠 수상, 소련의 스탈린 수상이 참여했다. 한반도에 대한 신탁통치방침은 이미 전쟁중 미국에 의해 구상되고 카이로, 테헤란, 얄타회담 등에서 제안된 바

  • 미.소공동위원회 / 美蘇共同委員會 [정치·법제/외교]

    3의 결정에 따라 설치된 한반도문제 해결을 위한 미.소 양군의 대표자 회의. 1946년 1월 16일 덕수궁 석조전에서 예비회담을 가진 뒤, 같은 해 3월 20일 제1차 회의를 열었다. 이후 양측의 의견대립으로 5월 6일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는 결렬되고

  • 민주주의민족전선 / 民主主義民族戰線 [정치·법제/정치]

    1946년 2월 15일 조직된 좌익통일전선. 1945년 12월 3에서 한반도 신탁통치안이 결정되자, 각 정당, 사회단체들은 신탁통치문제를 둘러싸고 찬탁과 반탁으로 대립하게 되었다. 조선공산당이 이승만과 미군정의 단독정부수립 노선에 대응, <신전술>을 채

  • 송진우 / 宋鎭禹 [교육]

    우익세력을 규합, 한국민주당을 결성하고 수석총무가 되었다. 3에서 한국의 신탁통치안이 전해지자, 반탁을 강력히 주장하는 임시정부 요인들과 견해를 달리하다, 한현우에게 암살당하였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 유엔한국임시위원단 / UN韓國臨時委員團 [정치·법제/정치]

    UNTCOK 1947년 11월 14일 제2차 유엔총회에서 한국문제 해결을 위해 설치된 단체. 미국측은 3 결정을 포기, 한반도 문제를 유엔에 넘기고 결의안을 제출했다. 위원단은 1948년 12월 제3차 총회에서 유엔한국위원회(UNCOK)로 개칭되었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