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모밀잣밤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
사전(17)
- 욕지면의모밀잣밤나무숲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남도 통영시 욕지면 동항리에 있는 모밀잣밤나무를 주로 한 상록수림. [내용] 천연기념물 제343호. 면적 1만8817㎡. 욕지도의 바닷가마을 뒤에서 시원한 그늘과 푸른 경관을 조성하고 있으며, 오랫동안 마을사람들의 보호를...연계항목욕지면의모밀잣밤나무숲(欲知面의모밀잣밤나무숲)
- 납읍난대림지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남아있는 유일한 상록활엽수림이며, 종가시나무‧후박나무‧생달나무‧참식나무‧아왜나무‧동백나무 및 모밀잣밤나무 등의 교목들이 위층을 형성하고 있다. 밑에는 바위덩어리가 지면을 덮고 있으며, 사이사이에는 밤일엽과 쇠고사리류의 군총이 형성되어 있다. 산호수‧자금우 등도 때로 군...연계항목납읍난대림지대(納邑暖帶林地帶)
- 욕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2개교, 분교 2개교, 중학교 1개교가 있다. 사슴이 많이 살았다고 하여 녹도(鹿島)라고 불렸다 하며, 이 섬에서 자생하고 있는 모밀잣밤나무는 천연기념물 제343호로 지정되었고, 경상남도기념물 제27호인 조개무지가 있다. 韓國沿...
- 완도맹선리의상록수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모밀잣밤나무‧붉가시나무‧후박나무‧생달나무‧까마귀쪽나무‧동백나무‧종가시나무 등 커다란 상록수를 비롯하여 광나무‧돈나무‧우묵사스레피나무‧섬회양목 등 상록관목, 송악‧보리밥나무와 같은 상록만생식물 등 총 20종 250여 그루가 모여 방풍림의 구실을 한다. 도서지대의...연계항목완도맹선리의상록수림(莞島孟仙里의常綠樹林)
- 예송리의상록수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심어진 상록활엽수림이다. 수림의 길이는 1.5㎞였는데 남단의 일부는 1962년의 사라호 태풍에 해를 받아서 파괴되었고, 북쪽의 일부도 고사하였다. 이 북쪽의 상록수림은 50∼100년생의 곰솔로 대치되어 있다. 수종은 후박나무‧모밀잣밤나무‧구실잣밤나무‧참가...연계항목예송리의상록수림(禮松里의常綠樹林)
주제어사전(5)
-
모밀잣밤나무 / Castanopsis cuspidata var. thunbergii Nakai [과학/식물]
참나무과 모밀잣밤나무속에 속하는 상록 활엽 교목. 잎은 어긋나기를 하며 달걀모양의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다. 잎의 길이는 4∼10㎝, 너비는 2∼5㎝이다. 잎의 뒷면은 미세한 연한 털로 되어 있는데, 털에 흰빛이 돌지만 대부분은 담갈색이다. 잎자루는 길이가 1
-
구실잣밤나무 /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Nakai [과학/식물]
참나무과 모밀잣밤나무속에 속하는 상록 활엽 교목. 제주도와 거제도·남해도·홍도 등 남해안에 분포하는 난대 수종이다. 새불잣밤나무 혹은 구슬잣밤나무로도 불린다. 원산지는 한국, 일본, 중국, 타이완이다. 학명은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
-
남해 미조리 상록수림 / 南海 彌助里 常綠樹林 [과학/식물]
魚付林: 고기떼를 유도할 목적으로 물가에 나무를 심어 이룬 숲)의 구실도 하고 있다. 숲에서 자라는 상록수종에는 후박나무·육박나무·생달나무·무룬나무·감탕나무·식나무·비쭈기나무·돈나무·사스레피나무·광나무·모밀잣밤나무·보리밥나무·모람·자금우·송악 등이 있다.
-
완도맹선리의상록수림 / 莞島孟仙里―常綠樹林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완도군 소안면 맹선리에 있는 상록수림. 천연기념물 제340호. 면적 8,506㎡. 소안도(所安島) 해안가 언덕 위에 발달해 있는 길이 약 300m, 폭 약 35m에 이르는 숲으로 모밀잣밤나무·붉가시나무·후박나무·생달나무·까마귀쪽나무·동백나무·종가시나무 등 커
-
제주 납읍리 난대림 / 濟州 納邑里 暖帶林 [지리/자연지리]
아왜나무·동백나무 및 모밀잣밤나무 등의 교목들이 위층을 형성하고 있다. 밑에는 바위덩어리가 지면을 덮고 있으며, 사이사이에는 밤일엽과 쇠고사리류의 군총이 형성되어 있다. 산호수·자금우 등도 때로 군총을 형성한다. 숲 안에는 제단이 있어 해마다 동제를 지내는 장소로 아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