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모리 아리노리” 에 대한 검색결과 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

사전(5)

  •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
    1847년 7월 가고시마(鹿兒島)에서 사츠마(薩摩) 번사 아리히로시(森有恕)의 다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일반적으로 긴노조(金之丞)라 불렀다. 1865년 막부의 법률에 따라 영국으로 유학을 갔다. 1867년 귀국하였다. 귀국 후에는 정치‧외교‧군사‧교육 분야에 지...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야스카와 시게나리(安川繁成)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5448 인물 야스카와 시게나리(安川繁成) 야스카와 시게나리 安川繁成 1839 1906 메이지시대의 정치인, 사업가. 안천번성(安川繁成). 에도시대 때는 무쓰시라카와번(陸奧白河藩) 번사(藩士)였다. (森有...
    유형분류인물
  • 상법관습소(商法慣習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4196 기관단체 상법관습소(商法慣習所) 상법관습소 商法慣習所 메이지시대에 창설된 상업학교. 현재 히토쓰바시대학(一橋大學)의 전신. 1875년 미국에서 귀국한 (森有禮)가 도쿄도(東京都) 긴자오와리초(銀座尾張町)에 상...
    유형분류기관단체
  • 미쓰쿠리 슈헤이(箕作秋坪)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866년에는 국경 교섭을 위해 러시아에 파견되었다. 메이지유신 이후에는 학문소인 산샤가쿠샤(三叉學舍)를 개설하였고, 1874년 (森有禮)와 함께 메이로쿠샤(明六社)를 창립하였다. 도쿄사범학교(東京師範學校) 교수, 도쿄교육박물관장(東京敎育博物館長), 도쿄도...
    유형분류인물
  • 다케조에 신이치로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
    ,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등과 교우하기 시작하였다. 같은 해 11월 특명전권공사 (森有禮)를 따라서 청국으로 건너갔다. 1876년에는 중국을 여행하고 『잔운협우일기병시장(棧雲峽雨日記竝詩章)』을 저술하였다. 1877년에 귀국한 후 잠시 대장성(大藏省)에...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고서·고문서(10)

  • 의 청국 행에 관한 건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정치·법제 문헌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번역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김재혁 의 청국 행에 관한 건 조선문제, 청국 정부의 설명 Coreanische Frage. Erklärung der Chinesischen Re...
    대표표제어모리 아리노리의 청국 행에 관한 건 | 발신자Brandt | 수신자Bülow | 발신지베이징 | 수신지베를린
  • 의 청국 행에 관한 건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정치·법제 문헌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번역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김재혁 의 청국 행에 관한 건 청국, 일본, 조선의 관계에 대한 보고서 사본 1876.03.24 베를린 런던 파리 상트페테르부르크 빈...
    대표표제어모리 아리노리의 청국 행에 관한 건 | 발신지베를린 | 수신지런던 파리 상트페테르부르크 빈 로마 워싱턴
  • 조선의 정권교체 관련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린 No. 273 A. 304 독일어 보고서 일본 내 정한론(征韓論) 분위기 고조와 (森有禮)의 베이징행 (森有禮)
    대표표제어조선의 정권교체 관련 | 발신자아이젠데허 | 수신자비스마르크 | 발신지에도(도쿄) | 수신지베를린
  • 운요호 사건에 대한 일본 내 반응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돌, 전쟁, 정한론, 원정, 군비확장, (森有禮), 청국 No. 216 I.B.15.
    대표표제어운요호 사건에 대한 일본 내 반응 | 발신자수상 대리 | 수신자재외공관 | 발신지베를린 | 수신지상트페테르부르크 런던 워싱턴 베이징
  • 일본의 전권대신 조선 파견에 관한 건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베이징 베를린 No.3 A.1332 보고 가 총리아문에 외교문서를 전달하고, 청국이 조선 정부가 일본 정부에 우호적 태도를 보이도록 요청. (森有禮), 총리아문, 아이젠데허(K. Eisendecher), 강화도조약, 조일조약,...
    대표표제어일본의 전권대신 조선 파견에 관한 건 | 발신자Brandt | 수신자Bülow | 발신지베이징 | 수신지베를린

주제어사전(1)

  • / 森有禮 [정치·법제/외교]

    1847-1889. 일본 외교관. 주청 일본공사. 강화도조약과 관련하여 이홍장과 협상. 1870년 소변무사에 임명되어 초대 미국공사가 되었다. 미국공사 외에도 외무대보를 역임하였다. 1875년 일본정부는 를 주청 일본공사에 임명하였다. 1879년에는 영국공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