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명재유고” 에 대한 검색결과 20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2)

사전(19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치사상 연구에 참고가 될 자료들이 많으며, 서한‧묘지명‧행장 등은 당시 인물 연구와 사회 동향 내지 당쟁‧예송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규장각도서 등에 있다. / 초학획일지도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 윤증의 문...
  • 윤동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사헌 행교(行敎)이며, 어머니는 은진송씨(恩津宋氏)로 장령(掌令) 기후(基厚)의 딸이다. 1712년(숙종 38) 증조부 선거의 『노서유고(魯西遺稿)』를 교정하여 간행하였고, 1731년(영조 7) 윤증의 『(稿)』를 편찬, 간행하였다. 172...
    이칭별칭 사정(士正)| 일암(一庵)
  • 윤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서로는 『』‧『명재의례문답(明齋疑禮問答)』‧『명재유서』 등이 있다. [상훈과 추모] 1722년(경종 2) 소론파 유생 김수구(金壽龜)‧황욱(黃昱) 등의 상소에 의해 복직되었다. 홍주의 용계서원(龍溪書院), 노성(魯城)의 노강서원(魯岡書院...
    이칭별칭 자인(子仁)| 명재(明齋), 유봉(酉峰)| 문성(文成)
  • 양위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돌아왔다. 뒤에 중부참봉(中部參奉)에 임명되지만 모친상을 당하여 상례를 극진히 하다가 병을 얻어 죽었다. 조정에서는 그의 효행을 높이 평가하여 정려를 내렸다. 『(稿)』 『남계집(南...
    이칭별칭경섭(景涉)
  • 성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베풀었다고 한다. 글씨에 뛰어나 특히 큰 글자를 잘 썼다. 시호는 정혜(靖惠)이다. 『숙종실록(肅宗實錄)』 『(稿)』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이칭별칭 자교(子喬)| 매변(梅邊), 정옹(鼎翁)| 정혜(靖惠)

고서·고문서(3)

  • 축과 코에 꿰맨 솔기가 없고, 코끝이 넓적한데 흰 분을 칠했다. 발막, 分套, 分套鞋라고 한다.(尹拯,󰡔稿󰡕제29권,〈與子行敎〉참조) 1사(事)를 주었다. ○여순(呂純)이 소고기를 보내주었다. 十一日乙未, 微陰。 十一日乙未, 微陰。 ○居同家。服膏藥。下血...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부쳐서 인지(引之)에게 보내도록 했다. 권예손(權禮孫)이 찾아와서 분토(分土) 분토(分土) : 예전에 주로 상류층 노인들이 신던 마른신의 한 가지로, 뒤축과 코에 꿰맨 솔기가 없고, 코끝이 넓적한데 흰 분을 칠했다. 발막, 分套, 分套鞋라고 한다. (尹拯, 󰡔稿...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풍악록(楓嶽錄)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다. 소론의 영수로 송시열(宋時烈)과 대립하였다. 저술로 『』‧『명재의례문답(明齋疑禮問答)』 등이 있다.의 필적이 많았다. 주인은 내가 어떤 사람인지 모르고, 나도 서먹서먹하여 가진 것을 드러낼 길이 없어 한참동안 그냥 앉아 있었다. 사문(師門)을 왕래하는 일에...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심육(沈錥)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주제어사전(2)

  • / 稿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 윤증의 시문집. 51권 26책(본집 46권 23책, 별집 4권 2책, 부록 1권 1책). 목활자본. 1732년(영조 8) 아들 행교와 손자 동원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본집의 권1은 사부 2편, 시 140여 수, 권2∼4는 시 460여수, 권5

  • 윤증 / 尹拯 [종교·철학/유학]

    1629(인조 7)∼1714(숙종 40). 조선 후기의 학자. 성혼의 외증손, 아버지는 선거, 어머니는 이장백의 딸이다. 서인이 노론과 소론으로 분리될 때 소론의 영수로 추대되어 송시열과 대립하였다. 저서로는『』·『명재의례문답』·『명재유서』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