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명의록” 에 대한 검색결과 9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7)

사전(5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를 옹위한 홍국영(洪國榮)ㆍ정민시(鄭民始)ㆍ서명선(徐命善)의 충절을 선양한 뒤 이 사건의 전말을 공표하기 위한 것이었다. 내용을 살펴보면 권1에 진차(進錄箚)ㆍ진전(進錄箋)ㆍ하찬집제신전교(下纂輯諸臣傳敎)ㆍ도승지홍국영소(都承旨洪國榮疏)ㆍ범...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김치인(金致仁) 등이 편찬한 『』의 속편. [내용] 정조의 명을 받아 당시 문신 김치인 등 12인이 편찬한 저서이다. 1책 45장. 활자본. 1778년(정조 2)에 교서관(校書館)에서 간행되었다. 권두에 진차(進箚...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역사서 한문 한국 조선 정조 성낙수 박종국 2016 김치인 등 찬집청 1777 2권, 권수(卷首), 합 3책 활자본(정유자, 임진자) () ...
  • (續)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역사서 한문 한국 조선 정조 성낙수 박종국 2016 김치인 등 12인 교서감 1778 1책(45장) 활자본 속(續) 규장각 ...
  • 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개설] 1777년(정조 1) 정조의 명에 의해 간행된 ≪≫ 언해서. 3권 4책. ≪≫은 정조가 왕세손으로 있을 때 그의 대리청정(代理聽政)을 반대한 홍인한(洪麟漢)‧정후겸(鄭厚謙) 등의 역모사건의 시말을 공표하여 충도(忠道)를 밝히고자, 정조가 김...

고서·고문서(31)

  • 내용분류사회-역사-역사기록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내용분류사회-역사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내용분류사회-역사-역사기록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1823년 안수록(安壽祿)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23년(순조23)9월 22일에 안수록이 동문 하백원에게 보낸 서간이다. 자명종 제작하는 일이 언제 끝나는지 묻고, 함께 운행과정을 볼 수 없어 한스러워했다.혼정편록을 교정해 보내주길 바라고,기묘유적은 보내드린다고 했다. 무등산유람은 봄에 다시 추진하자고 했고,...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화순 이서 진주하씨 하상래
  • 65224 B065224 도중 島中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正祖 5年 8月 13日_038 ○辛丑八月十三日巳時, 上御誠正閣。 大臣入侍時, 領議政徐命善, 右副承旨徐鼎修, 記事官趙興鎭·金鳳顯, 別兼春秋林錫喆, 以次進伏。 上曰, 俄以捕廳草供事, 已有下敎者, 雖毁之, 可也...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2)

  • 근대계몽기 국문실기 <을사> 연구 - 국문기록 의식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고순희, 게재일 : 2013
    49334 고순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3 근대계몽기 국문실기 <을사> 연구 - 국문기록 의식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근대계몽기 <을사>에 나타난인물의 형상과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고순희, 게재일 : 2013
    49335 고순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국학진흥원 2013 근대계몽기 <을사>에 나타난인물의 형상과 의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13

주제어사전(5)

  • / [종교·철학/유학]

    1776년(정조 즉위년)에 세손(정조)의 대리청정을 반대하던 홍인한·정후겸 등을 사사한 일을 기록한 책. 3책. 인본. 정조의 명에 의해 간행되었다. 1777년(정조 1)에 정조 자신이 찬집청을 설치하고 김치인 등에게 편집하게 하였다. 이 때 정조도 적극 참여해 수록

  • 언해 / 諺解 [언어/언어/문자]

    1777년(정조 1) 정조의 명에 의해 간행된 『』 언해서. 3권 4책. 『』은 정조가 왕세손으로 있을 때 그의 대리청정(代理聽政)을 반대한 홍인한(洪麟漢)·정후겸(鄭厚謙) 등의 역모사건의 시말을 공표하여 충도(忠道)를 밝히고자, 정조가 김치인(金致仁)

  • 언해 / 續諺解 [언어/언어/문자]

    언해(諺解)』의 속편(續編). 2권 1책. 목활자본. 『』에 들어가지 못한 홍상범(洪相範)이 부형(父兄) 홍술해(洪述海) 등의 원수를 갚고자 하여 일으켰던 역모사건을 기록한 『속』을 번역하여 1778년(정조 2) 교서관에서 정유(丁酉) 한글 목

  • 김치인 / 金致仁 [종교·철학/유학]

    다녀왔다. 이후《》, 1785년에는《대전통편》 편찬을 주관하였다. 편저로는《》·《열성지장통기》가 있다.

  • 유언호 / 兪彦鎬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30∼1796). 1761년(영조 37)에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두루 역임하였다. 정조 등극 후에는《》 편찬을 담당하였으며, 정조의 탕평책에 옹호하였다. 문학으로 이름이 있었으며, 외유내강의 인물로서 평가된다. 저서로《칙지헌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