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명온공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
사전(7)
- 예장청등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네 명과 낭청(郎廳)으로 궁내부주사급 네 명이 차출되었다. 「사목」에는 예장청의 응행사목(應行事目)이 적혀 있는데, 이때의 제반 의절(儀節)은 『명온공주방등록(明溫公主房謄錄)』에 따라 마련된 것으로 되어 있다. 장례 절차에 따라 소요된 물품은 여흥부대부인과 흥선대원...
- 길례요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동뢰의(同牢儀) 등 10종의 의식을 수록하였다. <왕손가례>는 1767년(영조 43)에 왕손 은언군(恩彦君)의 가례에 행하였던 의절을 기록하였다. 제2책의 <공주가례>에는 1822년(순조 22)에 명온공주(明溫公主)의 가례에 행하였던 의절을 소개하였다. 예조의...
- 숙선옹주(淑善翁主)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능이 있어, 역대 공주와 옹주 가운데 가장 많은 작품을 남겼다. 부모를 그리는 「偶吟(우음)」, 조카인 명온공주(明溫公主)를 생각하는 「月夜懷明溫(월야회명온)」, 은자(隱者)의 삶을 노래한 「逢隱者(봉은자)」 등의 한시가 그것이다. 이 한시들은 부마 홍현주의 문집인 『...
- 별궁(別宮)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례를 치르면 모두 궁궐 밖으로 나가 생활하였다. 이들의 살림집이 바로 궁가이다. 대표적인 궁가로는 순조의 장녀 명온공주(明溫公主)가 거주하던 죽동궁(竹洞宮), 고종의 잠저이자 흥선대원군이 살던 운현궁, 대원군의 조카이자 고종의 사촌형인 이재원(李載元)이 살던 계동궁(桂...상위어궁궐(宮闕) | 관련어가례(嘉禮), 궁가(宮家), 사묘(私廟), 세자빈(世子嬪), 왕비(王妃), 육례(六禮), 잠저(潛邸), 혼례(婚禮)
- 가례증해(家禮增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010. 김미영 외, 『조상제사 어떻게 지낼 것인가』, 민속원, 2012. 김문식, 「1823년 명온공주(明溫公主)의 가례 절차」, 『조선시대사학보』 제56호, 조선시대사학회, 2011. 김영자, 『종가의 제례와 음식1-의성김씨 학봉 김성일...
고서·고문서(11)
- 명온공주가례등록(明溫公主嘉禮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823년 순조(純祖)의 장녀인 명온공주(明溫公主, 1810~1832)와 김현근(金賢根)의 가례(嘉禮)를 기록한 등록의 정본(正本)이다. 『명온공주가례등록』은 3종이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K2-2640, K2-2641, K2-2642) 그 중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명온공주가례등록(明溫公主嘉禮謄錄)(1)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823년 순조(純祖)의 장녀인 명온공주(明溫公主, 1810~1832)와 김현근(金賢根)의 가례(嘉禮)를 기록한 등록이다. 『명온공주가례등록』은 3종이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K2-2640, K2-2641, K2-2642) 그 중 K2-2640과...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명온공주가례등록(明溫公主嘉禮謄錄)(2)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823년 순조(純祖)의 장녀인 명온공주(明溫公主, 1810~1832)와 김현근(金賢根)의 가례(嘉禮)를 기록한 등록이다. 『명온공주가례등록』은 3종이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K2-2640, K2-2641, K2-2642) 그 중 K2-2640과...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구 풍덕관둔은 명온공주방이 사패한 땅이니 개성부가 도조를 받는 것은 부당하며 추수기를 즉시 명온공주방에 돌려주라는 훈령.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明溫公主房 奴의 訴에 따르면 明溫公主房 소관인 舊 豊德官屯 田畓과 官舍 기지 堤堰을 지난 1838년에 賜牌한 바, 작년 陞總 후에 結價를 度支部에 상납하고 田畓은 明溫公主房에서 秋收하는데, 이번에 이 屯의 舍音의 보고에 따르면 松營 本官의 傳令 내에 이 屯은 度支部로...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공주군에 있는 명온공주방의 사패지의 결수를 다시 조사하여 탁지부에 보고하라는 훈령.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明溫公主房 奴의 訴에 따르면 公州郡에 있는 명온공주방 庄土가 원래는 壯勇營屯이었다가 壯勇營이 혁파된 이후에는 均役廳에 잠시 移屬되었으며 현재는 명온공주방의 賜牌가 되었다 함. 그런데 당초 結이 30여 結에 불과하고 현재 남은 畓 또한 10여 石落에 불과한데 공주군에서...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주제어사전(1)
-
명온공주 / 明溫公主 [역사/조선시대사]
1810년(순조 10)∼1832년(순조 32). 순조의 딸로 어머니는 순원왕후이다. 동녕위 김현근에게 하가하였다. 김현근은 진사 김한순의 아들이다. 1817년 명온공주로 봉해졌으며 1823년 김현근과 혼인하였으나 태어날 때부터 몸이 병약해 혼인한지 9년 만에 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