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명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89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720)
사전(4,154)
- 鳴沙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C0_D_0082 鳴沙 지리(기타) 東海, 高城, 通川, 海濱 勝覽 D_06_02_46 대동운부군옥 6권 2장 46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6권 2장 4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明史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2_O_0024 明史 사서·역사학 江防, 海防, 禦倭 順治二年, 萬曆初 江南桐城, 長陵, 安南, 魏, 定, 黔, 成, 英, 臨淮, 南昌, 京師, 南京, 北平, 龍潭, 鍾山, 孝陵, 北京, 金山, 遼, 金, 元, 四海, 山西, 山東, 陝西, 澤...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5권 1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명사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지부의 관원이다. 김웅이 재물로 가난한 백성을 구제한 일과 죽을 때 많은재물을 불살라 지부에 보용한 공으로 수명을 10년 연장한다는 왕명을 전한다. 그리고 지부사자 3인에게 김웅을 원래 신체로 돌려보내라고 명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명사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명나라의 사신으로, 박팽년, 하위지 등이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고 있을 때 조선에 와 세조를 만난다. 207) 다른 [사각전] 이본에는 이 이야기가 보이지 않는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명사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양아들. 雖晩定螟嗣 托身有所 而忽忽不樂置途棲遑, 신좌모(申佐模), 43-121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단행본(4)
- 한국 수학문명사 [한국과학문명사 총서 발간 (3단계) | 전북대학교]저자 : 김영욱, 이장주, 장혜원 ... | 출판사 : 들녘 | 출판일 : 20220527모든 문명의 중심에 수학이 있다. 수학의 힘 없이 문명의 발전도 이룰 수 없다는 것은 세계 4대 문명이 증명한다. 수학은 인간 사고의 핵심이며, 수를 사용하는 방법을 통해 농경의 발전에 따른 인구의 증가나 부의 축적, 토기, 치수, 직물 제작과 교역, 도시 형성 등이 ...
- 토기와 도자기: 한국 도자기 문명사 [한국과학문명사 총서 발간 (3단계) | 전북대학교]저자 : 김종일, 권오영, 장남원, 한혜선 ... | 출판사 : 들녘 | 출판일 : 20220428한국의 토기와 도자기문화의 발전 과정을 기존과는 다른 시각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성형기법, 산지 추정, 사회적 기능 및 역할과 고유의 미감을 포착하는 것과 관련한 기존의 연구와 달리, 문명사적 관점에서 토기 및 도자기 제작기술이 여타 다른 분야의 제작에 끼친 영향에 대...
- 한국 금속문명사: 주먹도끼에서 금관까지 [한국과학문명사 총서 발간 | ]저자 : 김종일, 성정용, 성춘택, 이한상 ... | 출판사 : 도서출판 들녘 | 출판일 : 20191130인류는 도구와 기술을 개발하고 사용하면서 환경에 적응해 왔다. 도구와 기술의 발전 과정은 인류 문명의 변화 과정을 이해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이 연구는 한국 과학문명의 변화와 발전 과정을 선사 및 고대로부터 도구와 기술의 혁신, 변화, 발전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
- 韓國學研究論文集(三) [중국문화대학 | Chinese Culture University]저자 : ... | 출판사 : 中國文化大學華岡出版部 | 출판일 : 2014.12.유형단행본한국어의 불규칙 활용에 대하여 - 임홍빈 조사 ‘에게’와 결합하는 무정물 명사의 유정성 연구 - 한승규 한국어 교육을 위한 보조사 목록의 설정에 대한 연구 - 박준석 대만인을 위한 한국어 발음교육
논문(9)
- 천부경의 생명사상 [한국선도, 중국도교의 차이점 연구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저자 : 임태현 | 게재정보 : 인문학 연구 76권, 게재일 : 2009.04분야정치‧법제 | 유형논문
- 한국의 지명사전 편찬 동향과 지향점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저자 : 김기혁 | 게재정보 : 민족문화연구
- 도교와 생명 - 도교의 생명사상 [한국선도, 중국도교의 차이점 연구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저자 : 임태현 | 게재정보 : 도교문화연구유형논문
- 조선 전기 對明使行과 平安道의 護送・運送 부담 [조선시대 對明 使行시스템에 대한 기초자료 연구 | 고려대학교]저자 : 권내현 | 게재정보 : 史叢
- 道德与生命 - 道家生命思想的理论观念及其形态 - [한국선도, 중국도교의 차이점 연구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저자 : 임태현 | 게재정보 : 도교문화연구 32권, 게재일 : 2010.04분야정치‧법제 | 유형논문
고서·고문서(3,712)
- 명사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명사 지 남자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허평구(和平区) 민족가 2단3리2호 6 3 명사, 사용, 도움, 우리말...대표표제어명사 | 성씨지
- 佛名辭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佛名辭典 인문학 불교학 불교일반 佛名辭典 고성훈 지음; 일지 해설 우리출판사 서울 1997 불교; 종교; 불명; 수계; 일...대표표제어佛名辭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불교학 | 소분류불교일반
- 인명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인명사전 인문학 기타인문학 기타인문학일반 인명사전 백진희 글 대우출판사 서울 1994 인명; 인물; [국중]어린이청소년...대표표제어인명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기타인문학 | 소분류기타인문학일반
- 인명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인명사전 인문학 기타인문학 기타인문학일반 인명사전 삼성당편집부 편 삼성당 서울 1996 인명; 인물; [국중]어린이청소...대표표제어인명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기타인문학 | 소분류기타인문학일반
- 영명사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1650 P-SDK-01650-P-A-06-06 P-SDK-01650-P-A-06-06-1 P-SDK-01650-P-A-06-06-2 영명사 永明寺 고문화의 구도 평양 명승 봉투 있음. 6매 세트. 사제엽서 지리 사찰 근대 ...자료명영명사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구술자료(72)
- 명사십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장소경상남도 사천 | 제보자최소점
- 명사십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언문풀이나 하나 하고 마치자고 하자 언문풀이는 못한다고 하면서 명사십리를 서두로 노래를 시작했다. *조사일시1985-04-06 | 조사장소전라북도 정읍군 감곡면 | 제보자김요지
- 명사십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민요 17]에 이어서 들려주고는 “더 이상 못하겠다□며 노래하기를 포기해 버렸다. 제보자는 설화를 채록할 때는 혼자 이야기를 독점하였었다.*조사일시1985-04-28 | 조사장소전라북도 정읍군 북면 | 제보자문성운
- 명사 도회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는 [설화 8]이 끝나자 참 좋은 얘기라며 또 한자리 해달라고 청했다. 그러자 장영길 제보자가 내가 풍수 얘기 한다며 자청하여 얘기를 꺼냈다. 시간이 갈수록 구진하고 재미있는 얘기가 많이 나왔다. *조사일시1984-04-07 | 조사장소전라남도 승주군 월등면 | 제보자장영길
- 명사 박상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야기를 하는 도중에 손짓이 많지 않았으며 다리를 짧게 꼰 자세로 앉아 앞뒤로 몸을 흔들었다. [설화 1]이 끝나고 준비한 담배를 권하며 다시 이야기를 청하자. 바쁜 때가 아니라면 여유있게 이야기를 할 수 있을 것 같다고 했다. 조사자가 지리서에 관한 이야기를 유...조사일시1985-03-24 | 조사장소전라북도 정읍군 감곡면 | 제보자전병옥
기초학문(460)
- 색 명사의 특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임정혜, 게재일 : 201254149 임정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프랑스학회 2012 색 명사의 특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유형논문 | 게재일2012
- 南朝の神明思想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463320 한국연구재단 東アジア仏敎硏究会 2014 南朝の神明思想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유형논문 | 게재일2014
- 경계성 명사류의 명사 연쇄 구성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유혜원, 게재일 : 200724697 유혜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언어학회 2007 경계성 명사류의 명사 연쇄 구성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유형논문 | 게재일2007
- 가산명사인가 불가산명사인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양승관, 게재일 : 201140988 양승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스페인어문학회 2011 가산명사인가 불가산명사인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유형논문 | 게재일2011
- 명사-명사 개념결합의 처리과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신현정, 게재일 : 200533743 신현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심리학회:일반 2005 명사-명사 개념결합의 처리과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유형논문 | 게재일2005
신문·잡지(943)
- 關稅明查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황성신문 關稅明查 1906년 4월27일 서울 서울 경성상업회의소에서 탁지부에 총대를 보내 1년 간 각 해관 수입액 내역을 질문...대표표제어關稅明查 | 연월일1906년 4월27일 | 지역서울
- 寄金銘謝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미국상항에유학장셰쳔(張世天)씨 신문금 원외에 본보확장데 야 무한치하고 경비에보용라고 금四원을 긔부얏기 그 셩의를 사례노라게재일1907년 8월 2일 | 기사분류잡보
- 銘謝寄金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미국영지 포아도 오을 나구리에 거류 한인 셔상근 최셩근씨등 사십칠인이국 보상에 의금 미화 삼십원을 슈합야 보고 본사에 연조로 미화 이원팔십젼을 긔부얏고 남분외 원경민씨 금 이환을 본사에 긔부얏고 남셔 조동 리동규씨 금 오십젼을 긔부얏스니 감사...게재일1907년 6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鳴謝廣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中署雜穀㕓車德鉉이가鄭龍煥으로同事다가鄭氏로말아마大蕩敗을當후一年間를恒產이無고지다가親知故舊僉君子에海量洪思을偏蒙야新基本金을添給야雜穀廛을重設케되舊債는一切排年還報케야쥬압시니僉位債△의게償祝鳴謝압다 雜穀廛車德鉉 告白게재일1906년 6월 18일 | 기사분류광고
- 名士演說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금일하오 칠졈반에 명 최셩현씨가 황셩긔독쳥년회에셔 연셜다 그문뎨에 나라이엇지면 문명것과 국권을 엇지면 회복것과 사마다엇더 의무를 가져야 근본을 셜명다더라게재일1906년 4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229)
- 과천 관악산 관악‧일명사지 시굴 및 발굴조사보고서-일명사지 발굴조사보고-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과천 관악산 관악‧일명사지 시굴 및 발굴조사보고서-일명사지 발굴조사보고- l6-0164_#1 유구 일명사지 도면2.일명사지 유구 현황도 2013-09-13_0.4992487_일명사지 도면2.일명사지 유구 현황도.jpg l6-0164_#2제목과천 관악산 관악‧일명사지 시굴 및 발굴조사보고서-일명사지 발굴조사보고-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족의식과 정체성 4주차. 불안한 근대, 미래를 사유하다 5주차. 조선 도학과 일본 주자학의 간극 6주차. 고학(古學)에서 국학(國學)으로 7주차. 위정척사사상의 문명사적 함의 8주차. 박은식: ‘진아(眞我)’로 근대를 꿰뚫다 – 양지(良知)로 계몽이성과 마주하다 9주차강좌제목일본의 근대와 한국철학 | 강의자박정심, 원용준, 안승우
- 족의식과 정체성 4주차. 불안한 근대, 미래를 사유하다 5주차. 조선 도학과 일본 주자학의 간극 6주차. 고학(古學)에서 국학(國學)으로 7주차. 위정척사사상의 문명사적 함의 8주차. 박은식: ‘진아(眞我)’로 근대를 꿰뚫다 – 양지(良知)로 계몽이성과 마주하다 9주차강좌제목일본의 근대와 한국철학 | 강의자박정심, 원용준, 안승우
- 족의식과 정체성 4주차. 불안한 근대, 미래를 사유하다 5주차. 조선 도학과 일본 주자학의 간극 6주차. 고학(古學)에서 국학(國學)으로 7주차. 위정척사사상의 문명사적 함의 8주차. 박은식: ‘진아(眞我)’로 근대를 꿰뚫다 – 양지(良知)로 계몽이성과 마주하다 9주차강좌제목일본의 근대와 한국철학 | 강의자박정심, 원용준, 안승우
- 족의식과 정체성 4주차. 불안한 근대, 미래를 사유하다 5주차. 조선 도학과 일본 주자학의 간극 6주차. 고학(古學)에서 국학(國學)으로 7주차. 위정척사사상의 문명사적 함의 8주차. 박은식: ‘진아(眞我)’로 근대를 꿰뚫다 – 양지(良知)로 계몽이성과 마주하다 9주차강좌제목일본의 근대와 한국철학 | 강의자박정심, 원용준, 안승우
연구결과보고서(1)
- 한국과학문명사 총서 발간 (3단계) [한국과학문명사 총서 발간 (3단계) | 전북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기타자료(136)
- 각계명사의 입지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각계명사의 입지전 각계명사의 입지전 各界名士의 立志傳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잡지...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조동식, 장택상, 현제명, 김성진, 윤병철 | 사료철명학원
- (연재교양) -이 로 끝난 명사의 표기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연재교양) -이 로 끝난 명사의 표기 (연재교양) -이 로 끝난 명사의 표기 교육 문헌 교육과정 기타교육과정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갑재 | 사료철명문교행정
- 앙케트-명사들의 중학 시절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앙케트-명사들의 중학 시절 앙케트-명사들의 중학 시절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잡...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사료철명학원
- (특집부록) 생물술어급고유명사집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특집부록) 생물술어급고유명사집 (특집부록) 생물술어급고유명사집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기타총류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사료철명영남교육
- (귀환보고) 명사와 학병궐기대회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귀환보고) 명사와 학병궐기대회 (귀환보고) 명사와 학병궐기대회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기타총류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신금옥 | 사료철명학병
연구과제(21)
-
한국과학문명사 총서 발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신동원 | 전북대학교 | 2010 | 국내 | 전북
-
한국과학문명사 총서 발간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국내
-
한국과학문명사 총서 발간 (3단계)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신동원 | 전북대학교 | 2016 | 국내 | 전북
-
언간에 나타난 분류사의 분포와 의미 연구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배영환 | 제주대학교 | 2013 | 국내 | 제주
-
역주조선왕조실록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최진옥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07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152)
-
명사 / 名詞 [언어/언어/문자]
격조사를 취하고, 그 관형어의 꾸밈을 받을 수 있는 단어들로서 주로 사물의 명칭을 나타내는 품사. 대체로 사물의 명칭과 개념을 나타내며, 대명사·수사와 함께 체언에 포함된다. 명사 또는 이름씨라는 말은 글자 그대로 사물을 가리키거나 부르는 의미기능을 지닌다. 이는 사
-
고유명사 / 固有名詞 [언어/언어/문자]
특정한 대상이나 유일한 대상을 가리키는 명사의 일종. 같은 명칭을 가진 집합에 속하는 어떠한 대상이라도 보편적으로 가리킬 수 있는 보통명사(普通名詞)와 대립된다. 대표적인 고유명사는 사람이름이며, 이밖에 땅이름·산이름·강이름·나라이름·바다이름·사건이름·상점이름·회사이
-
대명사 / 代名詞 [언어/언어/문자]
품사의 일종. 발화장면(發話場面)이나 담화 또는 문장 속에 주어진 대상이나 문장 자체를 이름 대신 직접 가리켜 부르는 단어의 집합을 말한다.대명사가 발화장면 속에 주어진 인물이나 사물을 직접 가리킬 때 이를 화용적 용법(話用的用法)이라 하고, 담화나 문장 속에 주어진
-
동명사 / 動名詞 [언어/언어/문자]
명사와 비슷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사·형용사, 즉 용언의 한 활용형. 알타이(Altai) 언어학에서 많이 사용되는 용어로서의 동명사는 부가어적(附加語的) 용법과 명사적 용법의 어미를 모두 포괄하는 것인데, 국어 문법에서는 전자를 관형사형 어미라고 하고 후자를 명사형 어
-
명사록 / 溟槎錄 [문학/고전산문]
조선 영조 때 오대령(吳大齡)이 한문으로 지은 일본 사행기(使行記). 필사본. 1책 84장. 한어통역관[漢學通事]인 작자가 1763년(영조 39) 통신사행(通信使行)의 상통사(上通事)로 종사관 김상익(金相翊)을 따라 일본에 다녀온 사실을 기록하고 있다. 1763년 8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