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명경업” 에 대한 검색결과 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

사전(1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경학(經學)에 밝은 인재를 선발하는 과거제도의 한 과목. [내용] 은 제술업(製述業)보다는 비중이 낮았으나 다른 잡업보다 중요시되었으므로 제술업과 더불어 양대업(兩大業)이라 불렸다. 선발된 급제자 수효도 제술업보다는 훨씬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 시대에, 과거에서 경학에 능한 인재를 관료로 선발하기 위해 시경, 서경, 역경, 춘추, 예기 등의 과목을 시험으로 보던 분과
    정의고려 시대에, 과거에서 경학에 능한 인재를 관료로 선발하기 위해 시경, 서경, 역경, 춘추, 예기 등의 과목을 시험으로 보던 분과 | 문광부표기myeonggyeongeop | MR표기myŏnggyŏngŏp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동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및 조선 초기 문과(文科) 급제자의 등급 중 제술업에 급제한 사람의 등급. [내용] 고려시대의 문과는 크게 국자감시(國子監試)와 예부시(禮部試)로 나뉘었고, 예부시에는 제술업(製述業)과 ()이 있었는데, 이 가운데 제술업...
  • 잡업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잡업에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과거제가 실시된 초기부터, 양대업(兩大業)인 제술업(製述業)과 ()에 비해 잡업은 경시되었으며 후기로 갈수록 더했다. 조선시대에 들어서는 명산업과 명서업이 취재 시험으로 바뀌고, 경전(經傳) 시험인 삼례‧삼전‧하론업이...
    이칭별칭잡술인|잡학인
  • 예부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登第)‧중제(中第)‧중과(中科) 등으로 표현된다. [내용] 예부시를 보조하는 예비고시로서 현종 때의 계수관시(界首官試), 덕종 때의 국자감시(國子監試), 예종 때의 승보시(升補試 : 入齋考試) 등이 있었다. 예부시 과목은 제술업(製述業)‧...
    이칭별칭예위|춘당시|춘위|동당시

고서·고문서(4)

  • 34076 B034076 남산 南山 산악 輿地圖書 補遺篇(京兆, 松都, 水原) 松都舊誌序 _ ... 滿月臺西) 八仙宮(在松岳山頂○李穡詩石路縈回到山頭八仙宮觀俯神州) 九齋學堂(在紫霞洞口) 高麗顯宗以後干戈纔息未遑文敎文憲公崔沖慢召後進敎誨不倦學徒坌集遂分九齋曰樂聖大中誠造道...
    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九齋曰樂聖大中誠造道卛性進德大和待聘謂之侍中崔公徒凡應擧者必詣徒中學焉及冲沒後凡赴擧者亦皆隷名九齋籍中謂之文憲公徒又有儒臣立徒者十一弘文公徒侍中鄭倍傑一稱熊川徒匡憲公徒參政盧朝南山徒祭酒金尙賓西園徒僕射金無滯文忠公徒侍郞殷鼎良愼公徒平章金義珍一云郞中朴明保貞敬公徒平章黃瑩忠平公徒柳監貞憲公徒侍...
    출처전거中京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集遂分九齋曰樂聖大中誠造道率性進德大和待聘謂之侍中崔公徒 凡應擧者必詣徒中學焉及沖沒後凡赴擧者亦皆隷名九齋籍中謂之文憲公徒又有儒臣立徒者十一弘文公徒侍中鄭倍傑一稱熊川徒匡憲公徒參政盧朝南山徒祭酒金尙賓西園徒僕射金無滯文忠公徒侍郞殷鼎良愼公徒平章金義珍一云郞中朴明保貞敬公徒平章黃瑩忠平公徒柳監貞...
    출처전거新增東國輿地勝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遺文과 家傳을 바탕으로 김승학이 지은 취헌공의 묘지명이다. 13∼4세에 이미 長文을 지었다. 從族丈趙龍來의 문하에 들어가 을 익혔다. 1836년에 4서 3경을 직접 손으로 적어 산사의 승방에서 주야로 읽고 암송하였으 2)묘지명에 생몰연대는 표시되어 있으나 이름은...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2)

  • / [교육/교육]

    고려시대 경학에 밝은 인재를 선발하는 과거제도의 한 과목. 은 제술업보다는 비중이 낮았으나 다른 잡업보다 중요시되었으므로 제술업과 더불어 양대업이라 불렸다. 선발된 급제자 수효도 제술업보다는 훨씬 적었으나 다른 잡업보다는 많았다.

  • 동진사 / 同進士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및 조선 초기 문과 급제자의 등급 중 제술업에 급제한 사람의 등급. 고려시대의 문과는 크게 국자감시와 예부시로 나뉘었고, 예부시에는 제술업과 이 있었는데, 이 가운데 제술업에 급제한 사람을 갑과·을과·병과 및 동진사로 구분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전시에서 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