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면주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5)
사전(10)
- 면주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고 한 것이다. 이러한 육의전 중 면주전의 국세가 8분이나 되어 상당한 국역 부담을 지고 있었던 시전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각 시전 중에 섬유(纖維) 또는 의료(衣料)를 취급하는 시전이 적지 않았다. 예를 들면 입전(立廛)‧면포전(綿布廛)‧백목전(白木...
- 면주전(綿紬廛)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면주전 면주전 綿紬廛 시전(市廛) 육의전(六矣廛), 금난전권(禁難廛權), 통공정책(通共政策), 유분전(有分廛) 경제산업/상업·무역|경제/재정/공물·진상|왕실/왕실문화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조선 최주희상위어시전(市廛) | 관련어육의전(六矣廛), 금난전권(禁難廛權), 통공정책(通共政策), 유분전(有分廛)
- 유분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대략 대동법실시의 논의가 일어난 선조 말에서 인조대에 걸친 전후로 추측된다. 국역은 최고 10분(分)에서 최하 1분까지로, 초기에는 입전(立廛)이 10분, 면포전(綿布廛)이 9분, 면주전(綿紬廛)이 8분, 지전 (紙廛)이 7분, 저포전(苧布廛)이 6분 등으로 규정, 3...이칭별칭유분각전
- 면주(綿紬)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면포·백저포·인삼 등의 목록에서도 확인된다[『성종실록』 1년 9월 11일]. 면주는 조선후기에 도포·철릭·창의·중치막·배자 등에 사용되었으며, 조선말까지 면주전(綿紬廛)이 존재했던 것으로 보아 보편적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고종실록』 43년 12월 14일...상위어견(絹), 주(紬) | 관련어견(絹), 세주(細紬), 정주(鼎紬), 초(綃), 토주(吐紬, 土紬),
- 육의전(六矣廛)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육의전 육의전 六矣廛 시전(市廛) 육주비전(六注比廛), 육분전(六分廛) 난전(亂廛), 사상(私商), 비단전[縇廛], 백목전(白木廛), 면주전(綿紬廛), 저포전(苧布廛), 지전(紙廛), 어물전(魚物廛), 공랑세(公廊稅), 금난전권(禁難廛...상위어시전(市廛) | 동의어육주비전(六注比廛), 육분전(六分廛) | 관련어난전(亂廛), 사상(私商), 비단전[縇廛], 백목전(白木廛), 면주전(綿紬廛), 저포전(苧布廛), 지전(紙廛), 어물전(魚物廛), 공랑세(公廊稅), 금난전권(禁難廛權)
고서·고문서(23)
- 면주전(綿紬廛)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경제-상업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면주전일용책(綿紬廛日用冊)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경제-상업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금귤(金橘)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木廛·綿紬廛·紙廛·苧布廛·布廛·內魚物廛·外魚物廛·望門床廛·新床廛·東床廛·妙床廛·壽進床廛·九里床廛·綿子廛·鉢里廛·帽子廛·鞋廛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 第三統統首李仁宅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年拾陸庚子等一口時居東面朱田里 婢日娘年拾柒己亥婢石禮年參拾伍辛巳辛丑逃亡等壬子戶口相准 第三戶 幼學卞昌奎年參拾伍辛巳本草溪父學生光琮祖學生興玉曾祖學生石堅外祖學生崔慶沃 本慶州侍母崔氏年伍拾玖丁巳妻崔氏年參拾伍辛巳籍慶州父學生舜益祖學生泰峀曾祖贈嘉 善大夫漢城府左尹兼五衛都摠府副摠管重漢外祖學...연도_면이름1795년_대현면(大峴面) | 면이름대현면(大峴面) | 마을이름第二臥瓦里
- 2 第二統統首辛德厚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拾己亥辛亥逃亡四所生奴弓長牙年肆拾伍甲辰癸丑逃亡奴今牙年 伍拾己亥婢莫進二所生婢崔進年伍拾肆乙未莫進四所生奴崔石乙年伍拾己亥五所生婢四今年肆拾壹戊申同婢一所生婢命丹年貳拾玖庚申 二所生奴命九年貳拾陸癸亥奴廉石乙二所生奴於叱金免賤各戶去五口時居東面朱田里買得婢召史一所生婢或進同婢五所生婢莫今年柒拾己 ...연도_면이름1768년_대현면(大峴面) | 면이름대현면(大峴面) | 마을이름第一臥瓦里
기초학문(1)
- 개항전후기 시전상업의 변화-- 綿紬廛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고동환, 게재일 : 200825775 고동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08 개항전후기 시전상업의 변화-- 綿紬廛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유형논문 | 게재일2008
신문·잡지(1)
- 코리아평론_1977_18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金敬得君のケースを一般化せよ 54 기사분절필요 金敬得君はなぜ弁護牛を志願したか, 54. 北朝鮮短信 56 北韓の両面作戦 ...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