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면복” 에 대한 검색결과 48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62)

사전(20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전기에서 조선 말기까지 국왕이 제례(祭禮) 때 착용한 관복. [내용] 고대 중국에서 생겨난 전형적인 한족(漢族)의 제복(祭服)이다. 은 ≪외기 外記≫에 의하면 “황제(黃帝)가 면을 만들어 수류(垂旒 : 면류관의 주옥을
    이칭별칭곤복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길례ㆍ가례ㆍ흉례에 착용했던 왕ㆍ왕세자ㆍ왕세손의 법복(法服). 은 길례 시에는 종묘, 사직, 영녕전, 선농제, 기우제 등에 제복(祭服)으로 착용하였고, 가례(嘉禮) 시에는 백관조하의, 납비의, 수책의, 정조, 동지 조하 시에 착용하였다. 국장인 흉례 시에는 대렴(大...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 전기에서 조선 말기까지 국왕이 제례(祭禮) 때 착용한 관복.
    정의고려 전기에서 조선 말기까지 국왕이 제례(祭禮) 때 착용한 관복.[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myeonbok | MR표기myŏnbo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법복(法服), 왕복(王服), 제복(祭服) 규(圭), 대대(大帶), 말(襪), 면(冕), 방심곡령(方心曲領), 상(裳), 석(舃), 수(綬), 의(衣), 중단(中單), 패(佩), 패옥(佩玉), 폐슬(蔽膝), 후수(後綬), 혁대(革...
    상위어법복(法服), 왕복(王服), 제복(祭服) | 하위어규(圭), 대대(大帶), 말(襪), 면(冕), 방심곡령(方心曲領), 상(裳), 석(舃), 수(綬), 의(衣), 중단(中單), 패(佩), 패옥(佩玉), 폐슬(蔽膝), 후수(後綬), 혁대(革帶) | 관련어가례(嘉禮), 길례(吉禮), 흉례(凶禮)
  • 단문복(袒)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단문복 단문복 袒 복(服) 무복친(無服親) 단문친(袒免親) 생활 풍속의생활/의복 의복 대한민국 조선 이민주 [정의] 오복(五服)을 입지 않는 친족의 상(喪)에 입던 상복(喪服). [내...
    상위어복(服) | 동의어무복친(無服親) | 관련어단문친(袒免親)

고서·고문서(204)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장 남자 길림성(吉林省) 덕혜현(德惠县) 2 2 , 편지, 도착, 방송국, 사정, 9일밤, 방송, 후일, 큰오빠집,...
    대표표제어면복 | 성씨
  • 2044 중국 정사 원사 지 078 기타 元史78 志28第 輿服1 質孫 百官質孫 冬之服凡九等 大紅納石失一 大紅怯綿里一 大紅官素一 桃紅藍綠官素各一 紫黃鴉青各一 夏之服凡十有四等 素納石失一 聚線寶里納石失一 棗褐渾金間絲蛤珠一 大紅官素帶寶里一
    국가중국 | 서명원사 | 왕대기타  
  • 2045 중국 정사 원사 지 079 충숙왕(忠肅王) 1 1314 12 元史78 志28第 輿服1 服色等第 服色等第 仁宗延祐元年冬十有二月 定服色等第 詔曰 比年以來 所在士民 靡麗相尚 尊卑混淆 僭禮費財 朕所不取 貴賤有章 益明國制 儉...
    국가중국 | 서명원사 | 왕대충숙왕(忠肅王)  1
  • 惟三祀十有二月朔,伊尹以,奉嗣王歸于亳。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580 梅氏書平 卷二 ITKC_MP_0597A_0580_090_0010 惟三祀十有二月朔,伊尹以,奉嗣王歸于亳。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
    권차명梅氏書平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東漢荆州刺史郭賀謝於賜之日,勑令去襜帷,令百姓見其容服,以彰有德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30_1030 東漢荆州刺史郭賀謝於賜之日,勑令去襜帷,令百姓見其容服,以彰有德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신문·잡지(48)

  • 북쳥군거 박이가 무건으로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북쳥군거 박이가 무건으로 남산에셔 봉화를 들다가 경부에 피착엿다더라
    게재일1900년 11월 7일 | 기사분류잡보
  • 本人의所有仁川多所在發字터밧五日耕柴...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人의所有仁川多所在發字터밧五日耕柴塲二十駄柿棘△栗雜木數百株草家十六間곳文券을遺失엿사오니知舊間照亮홈 仁川多所面禾洞居 尹聖僉 謹告
    게재일1903년 5월 29일 | 기사분류광고
  • 누구던지 신문 일 건이 잇거든 소...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누구던지 신문 일 건이 잇거든 소상히 젹어 본샤 투함통에 너으시되 거지와 셩명이 분명치 아니이지 안을 터이오 <1898년 08월 19일 금요일 제01권 제009호>
    게재일1898년 8월 18일 | 기사분류광고
  • 恩津葛麻面咸積坪畓四石十斗落連山東面鳥동...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恩津葛麻面咸積坪畓四石十斗落連山東面鳥동坪十六斗落同南面壯동坪二斗落文記을本月十九日에賷上京城타가到餠店譯塲遺失얏스니母論內外國人拾得고休紙施行홈 連山赤隅居 閔善基告白
    게재일1905년 12월 27일 | 기사분류광고
  • 本人이南署美洞契堅丼洞居金彝泰許에典當...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人이南署美洞契堅丼洞居金彝泰許에典當廣州中大在畓問字七斗落文卷五張中에新文記一張만推去고四張은遺失云故로未推而廣告오니內外國人勿論고拾得와도休紙施行오며或有賣買之端이라도見欺치마시오 △島辛在淳 告白
    게재일1902년 5월 14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5)

  • 문화유적 시굴조사 보고서-1. 여주 도곡리 석불좌상 주변지역 시굴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확인하였으나, 조성시기나 용도는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도곡리 석불좌상 주변지역에 대한 조사과정에서 출토된 유물은 크게 도기와 기와로 나누어진다. 도기의 경우 전부 편으로만 확인되었으나 도원을 통해 완, 단경호, 대호, 대옹 등의 기형을 추정할 수 있으며,...
    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수원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경기도
  • 다. 조사 종료 후 유적공개에 어려움이 있으나 현장보존과 토사유출로 인한 성벽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비닐 등을 깔고 전토를 시행하였고, 향후 성곽복원을 위한 문화재지정 및 성내 시설물에 대한 조사 및 복원, 정비계획 등을 마련하기로 하였다. 1997.06.20~1...
    발행연도2001 | 발굴기관부산광역시립박물관 | 발굴지역부산광역시
  • 율에 따른 도원을 실시한 결과 석탑이 통일신라시대 후기 삼층석탑의 전형적인 양식임을 활인할 수 있었다. 잔존하고 있는 석탑재는 하대갑석 1매, 상대중석 3매, 상대갑석 1매, 1층 옥개석 1매, 2층 옥개석 1매가 있으나, 지대석, 하대중석, 하대감석, 상대중석,...
    발행연도2004/10/22 | 발굴기관강원문화재연구소 | 발굴지역강원도
  • 동지환, 옥, 관정 등 169점이다. 그리고 Ⅱ-1 구역 지표상에서 자기류, 청동기류, 토기류 등이 모두 11점 수습되었다. 건물지에서는 자기류, 기와류 등이 확인된다. 토광묘에서 출토된 토도류는 지표수습유물을 포함해 모두 21점으로 이 가운데 완형이거나 도원이...
    발행연도2007 | 발굴기관㈜태왕/(사)대경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경상북도
  • 포항 학천리유적발굴조사보고서Ⅲ - 횡구식석곽묘 외 -(본문1∙2), -(사진)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반침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중앙과 전면 초석 및 적심시설은 전부 유실되었으나, 초석을 판단할 수 있는 1기의 석재와 함께 적심석이 허물어진 것으로 판단되는 적석무더기를 대략적으로 연결하여 도원하면 건물의 전체 평면형태는 정면 3칸, 측...
    발행연도2002 | 발굴기관포항시/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경상북도

주제어사전(18)

  • / [생활/의생활]

    고려 전기에서 조선 말기까지 국왕이 제례 때 착용한 관복. 고대 중국에서 생겨난 전형적인 한족의 제복이다. 은 우리 나라에서 국왕의 조근 및 봉사지복으로서 천지·종묘·사직·선농에 제사하고 정조·동지·성절 등에 착용하던 대례 제복이었다. 왕세자가 천지·종묘·사직에

  • 장면부통령 저격사건 / 張統領狙擊事件 [정치·법제/정치]

    1956년 9월 28일 민주당 제2차 전당대회가 열리던 서울 명동 시공관에서 장면 부통령이 저격당한 사건. 장면은 왼손에 권총 1발을 맞았을 뿐 암살은 모면했다. 사건 직후 경찰은 범인이 28세의 제대군인 김상붕이며, 저격동기는 <민주당이 당파싸움만 하는데 실망했고,

  • 법복 / 法服 [생활/의생활]

    (服飾禁制) 등을 보더라도 신라의 왕과 왕비가 당나라 황제의 예복인 ()이나 황후복인 적의(翟衣)를 착용했다는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고려에 이르러서는 처음에는 신라의 복장제도를 그대로 습용하다가 요나라가 득세하면서 그들로부터 왕의 을 받기도 하였다. 이 때

  • 구장복 / 九章服 [생활/의생활]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현의(玄衣)와 청색 중단(中單)으로 구성된 구한말의 왕실복식. 구장복이란 왕이나 황태자가 국가의 대례(大禮)와 제례(祭禮), 흉례(凶禮)에 사용하는 구장문(九章文)의 () 일습을 의미한다. 은 규(圭)와 면(冕), 의(衣), 상(裳)

  • 면류관 / 冕旒冠 [생활/의생활]

    ()에 쓰던 관. 면류관은 중국 고대 관모의 하나인 작변(爵弁)에서 발달된 것으로 후한(後漢) 때 완성되었다. 작변은 세포(細布)를 옻칠하여 머리를 넣는 각을 만들고 그 위에 평천판을 더한 형태이다. 여기에 유(旒)·광(纊)·진(瑱)·담(紞) 등의 수식을 더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