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면류관” 에 대한 검색결과 1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4)

사전(6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면복(冕服)에 쓰던 관. [내용] 면관(冕冠)‧평천관(平天冠)이라고도 한다. 은 중국 고대 관모의 하나인 작변(爵弁)에서 발달된 것으로 후한(後漢) 때 완성되었다. 작변은 세포(細布)를 옻칠하여 머리를 넣는 각을 만들고 그 위에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면복(冕服)에 쓰던 관.
    정의면복(冕服)에 쓰던 관.[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myeollyugwan | MR표기myŏllyugw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례복(大禮服), 면복(冕服), 법복(法服), 제복(祭服) 면(冕), 평천관(平天冠) 관모(官帽), 마미두면(馬尾頭冕), 원유관(遠遊冠), 익선관(翼善冠) 생활 풍속의생활/관모 의복 대한민국 ...
    상위어대례복(大禮服), 면복(冕服), 법복(法服), 제복(祭服) | 동의어면(冕), 평천관(平天冠) | 관련어관모(官帽), 마미두면(馬尾頭冕), 원유관(遠遊冠), 익선관(翼善冠)
  • 근대신어 : 가시, 가시관(가시관)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00288 가시, 가시관 가항 가시관 십가에 달린 예수 머리에 가시관을 쓰고 로마 병뎡의 창으로 린 녑구리로서 피가 흘러나린다. 십자가에 달린 예수는 머리에 가시관을 쓰고 로마 병정의 창으로 찔린 옆구리에서는 피가 흘러...
    출전無情[新文館] | 계통분류 [과학지식] 신앙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에케호모, 가시을 쓴 예수(엨세ㆍ호모)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38817 에케호모, 가시을 쓴 예수 아항 엨세ㆍ호모 Ecce Homo 荊冠을 쓴 基督의 畫像 또는 肖像(「보라! 이 사람을」이 原義) 가시을 쓴 기독의 화상 또는 초상(‘보라! 이 사람을’이 원의) 李鍾極...
    출전(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漢城圖書株式會社] | 계통분류 [과학지식] 신앙, 호칭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43)

  • 선한 싸홈 싸호라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다 싸호고 의의 받아쓸지라 받아쓸지라 좋은 싸홈 다 싸호고 의의 예루살렘 성에서 받으라 받으라 요단강 건너가 좋은 싸홈 다 싸호고 의의 예루살렘 성에서 흉악한 마귀의 진 권세를 다 깨치고 승리의 주와 함께 승전가 불러보세 좋은 싸홈...
    구분창가 | 편저자鄭上祿
  • 선한 싸홈 싸호라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행군할 나발 불고 주의 호령 낫스니 십자가의 군기를 세우며 나아가세 좋은 싸흠 다 싸호고 의의 받아쓸지라 받아쓸지라 좋은 싸흠 다 싸호고 의의 예루살렘 성에서 받으라 요단강 건너가 우리 싸움 마치는 날 의의 예루살렘 성에서 [ 2 ] ...
    구분창가 | 편저자曺活湧
  • 별빛을 찬송함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09256 창가 選曲集 22179 1937 高鳳京 神學世界社 邊永瑞 高鳳京 별빛을 찬송함 〈mn〉오선악보 있음〈/mn〉 〈#89〉 어둔 밤 너 별빛은 빛 광채로 아기 예수님게 곱게 빛외여 곤해 잠드신 때 너 직혀 있고나 들이...
    구분창가 | 편저자高鳳京
  • 별빛을 찬송함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09414 창가 동요 300 22184 별빛을 찬송함 〈co〉뿌람스 曲〈/co〉 〈#75〉 어둔 밤 별빛은 빛 광채로 아기 예수님 { } 여 곤해 잠드신 때 내 식히 있고나 드리라 만유의 주시라 어둔 밤 별빛 밝게 빛외라 성인들의 시 {
    구분창가
  • 08686 창가 강신명 아동가요곡선 300 22172 별빛 〈co〉BRAHMS〈/co〉 〈mn〉오선보〈/mn〉 〈#50〉 어둔 밤 너 별빛 은빛 광채로 아기 예수님께 곱게 빛이여 곤해 잠드신 때 너 직혀 있고나 드리라 단유의주시라 어둔
    구분창가

신문·잡지(6)

  • 新聞記者政府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법국의 신졍부 신문긔쟈의 졍부라 지로다 대뎌 법국 졍부대신 십이인즁에 총리 대신이하 팔명이 모다신문긔쟈츌신인셔양인이양신문긔자를 지목야왈 안이 쓰 님군이라 다더라
    게재일1907년 5월 21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 紀念章度制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표훈원에셔 어극 십년 칭경례식 긔렴장을 졔죠단말은 이왕긔 엿거니와 긔렴장 졔도 젼면에는 령슈각을 그리고 후면에 을그리고 어극 십년 망륙슌칭경 입기샤긔렴장이라야 금장이 일쳔벌이오 은장이 일쳔벌이오 동으로 졔죠장이 몃만벌인데 칭경례식일에 각부부...
    게재일1902년 5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 73 광주시 전남로동신문사 트루맨의 명령에 의하여 맥아더는 극동 최고사령과의 직위로부터 파면당하였다. 조선 침략군 최고사령관이며 없는 사실상 일본의 천황이었던 맥아더는 이제 무용지물이 되고 말았다. 트루맨은 맥아더의 파면을 당화하여 결정하였...
    대표표제어전남로동신문_1951_0428_01
  • 젼호련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셩으로도 은나라 수레를 시며 쥬나라 을 쓰시고 의현으로도 부친의 상례 박게 고 모친의 상례 둣터히 엿시며 됴나라 무령왕은 호복을 변후에 패업을 일웟스며 한나라 태조 진나라가 법을 인야 약법삼쟝을 뎡후에 텬하가 좃찻스며 한승샹 졔갈량은 류쟝의...
    게재일1898년 12월 13일 | 기사분류논설
  • 신협약에 관 일본 외무대신 림동씨의 말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되 이번 협약을 의지야 이등통감은 업 왕이라 평도다 영국 타임스 신문은 일본이 한국의 실권을 엇 신즁게 이 가다고 경고엿스나 그실권이 여긔지만 나아간것은 일즉이 식쟈가 다 필요로 아바이오 환시 렬국이 모다 그러히녁이바인고로 나 이...
    게재일1907년 7월 31일 | 기사분류기타

기타자료(1)

  • 당 태종이 주필산 전투에서 승리한 후 3일간의 酺祭를 하사하는 조서(破高麗賜酺詔)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스스로 자기가 맡았다고 생각하여 이로 말미암아 직접 나섰다. 그러므로 화살과 돌이 앞에서 교차하여 巖廊의 길을 이기는 것이 아니고, 갑주가 장식이 되어 을 쓴 모습에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만약 장수에게 명령하여 창을 주면 몸을 받들어 사물을 부리는 것을 부...
    대표표제어당 태종이 주필산 전투에서 승리한 후 3일간의 酺祭를 하사하는 조서(破高麗賜酺詔) | 주제분류외교문서

주제어사전(7)

  • / [생활/의생활]

    면복(冕服)에 쓰던 관. 은 중국 고대 관모의 하나인 작변(爵弁)에서 발달된 것으로 후한(後漢) 때 완성되었다. 작변은 세포(細布)를 옻칠하여 머리를 넣는 각을 만들고 그 위에 평천판을 더한 형태이다. 여기에 유(旒)·광(纊)·진(瑱)·담(紞) 등의 수식을 더한

  • 장복 / 章服 [생활/의생활]

    장문(章文)이 장식된 의복. 황제 이하 왕·문무백관이 착용하였던 제복(祭服)의 한 종류이다. 황제나 왕은 대례(大禮) 제복으로 ()에 곤복(袞服)을 입었는데, 곤복에 장식한 문양의 수(數)에 따라 품급(品級)이 다른 것이 특징이다. 우리 나라에서 장복이 처

  • 공정책 / 空頂幘 [생활/의생활]

    조선시대 왕세자 또는 왕세손이 관례 전에 착용하던 관모. 형태는 에서 평천판없이 각만을 살린 것으로, 모정(帽頂)이 비어 있다. 이 각은 색라로 싸고 지금으로 장식하였으며, 쌍옥도(비녀)를 꽂았다. 양 갓에는 주조를 늘어뜨려 턱밑에서 맺게 되어 있었다. 공정책

  • 적석 / 赤舃 [생활/의생활]

    임금이 정복을 입을 때 신는 붉은색의 신. 대전의 법복인 면복과 평천관 또는 강사포와 원유관을 착용할때 적말과 함께 신는 왕의 신이다. <국조보감>과 <조선왕조실록>에 임금은 에 곤룡포 차림으로 인정전에 납시고, 왕세자는 칠장관ㆍ공정책ㆍ적말ㆍ적석 차림으로 예를

  • 원유관 / 遠遊冠 [생활/의생활]

    조선시대 때 왕과 왕세자가 조현복인 강사포에 쓰던 관 원유관·강사포로 대를 이루는 조복이다. 제복인 ·구장복, 상복인 익선관·곤룡포와 더불어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국왕의 예복으로 계속 준용되었고, 조선 말기에는 고종이 입고 찍은 사진도 있다. ≪세종실록≫ 예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