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맹자” 에 대한 검색결과 4,4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365)

사전(1,122)

  • TD_I1_O_0030 경서·경학 焚經籍, 五經 秦, 漢孝文, 宋, 漢, 淸, 元, 明, 唐, 晉, 金, 李朝 公孫丑, 萬章, 直齋陳氏, 趙岐, 陸善經, 張氏, 丁公, 憑休, 虞允文, 孫奭, 趙吉士, 鄭耕老, 周密, 歐陽脩, 張栻, 蔡模, 李昶...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2권 1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J_0096 인물 非賢人, 履周之地, 食周之粟, 無周之心, 威文, 口舌求合, 利祿, 忍人, 辯士, 詩禮發家, 市井販婦, 醜詆, 聖賢, 宋儒 宋 莆田鄭厚, 仲尼, 文武成康, 梁惠, 齊宣, 湯武, 儀秦 J_07_01_02 지봉유...
    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7권 1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J_0099 인물 聖於文, 賢於文, 鬼神於文 王世貞, 司馬遷, 班氏 檀弓考工記, 莊列楞嚴, 易, 春秋, 左氏, 老子 J_08_01_01 지봉유설 8권 1장 1절
    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8권 1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O_0020 인물 孟氏, 三遷, 軻, 子輿, 田氏, 子思門人, 鄒國亞聖公, 亞聖, 子車, 子居, 周烈王四年己酉四月二日生, 周赧王壬申正月十五日卒, 浩然之氣, 井地, 儒家, 易, 本心之善, 孺子入井, 惻隱, 羞惡, 知能之良, 道德, 不忍人...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7권 3장 1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S_0110 인물 周敬王四十一年壬戌, 威烈王二十三年戊寅, 顯王三十三年乙酉 魏, 齊 子思, 夫子, 惠王, 伯魚, 顔淵, 敬王, 程子, 朱子 綱目, 中庸 S_18_01_14 성호사설 18권 1장 14절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18권 1장 1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1)

  • 정본 여유당전서 7-요의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
    분야종교‧철학 | 유형단행본
    1.要義 卷一 (1)梁惠王 第一 (2)公孫丑 第二 (3)滕文公 第三 (4)離婁 第四 2.要義 卷二 (1)萬章 第五

고서·고문서(2,491)

  • 四端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kt_00018 문화‧생활 작품 조선 심경부주질서(心經附註疾書) 心經附註卷二 四端 四端 이익(李瀷, 1681~1763) HCCH_19:1 四七分理氣之說, 退溪、高峯有許多議論. 至李栗谷, 却又專守高峯初說, 曰: “四端是七情中善一邊也.” 近世, 或有引朱子四端亦...
    서명심경부주질서(心經附註疾書)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080 文集 卷八 ITKC_MP_0597A_0080_010_0080 策 정약용(丁若鏞) 公車類|對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n...
    권차명文集 卷八 | 문체公車類|對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내용분류종교/풍속-유교 | 형식분류고서-경전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逸句 逸句(일구)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逸句 국중본(나)ㆍ규장각본(나)ㆍ국중본(가)ㆍ장서각본에는 《逸句》가 없다. HCME_A:1 “人之所知, 不如人之所不知信矣.” 【見梁武帝《勅答臣下神滅論》. 又見釋道安《敎指通局》.】 HCME_A:2 “君王無好智, 君王無好勇. 勇智之過生乎患禍, 所遵...
    서명맹자질서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外篇 外篇(외편)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外篇 규장각본(가)ㆍ화경당본ㆍ국중본(나)ㆍ규장각본(나)ㆍ국중본(가)에는 《外篇》이 없다. 장서각본에 따라 보충한다. 【《日知錄》. 下同.】 HCME_B:1 《》曰: “紂貴爲天子, 死曾不若匹夫.”【《史記》伍被對淮南王語.】 HCME_B:2 又曰: “夫有意而不知...
    서명맹자질서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구술자료(19)

  •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몇 가지 이야기를 계속해 주고는 밤에 하는 재미있는 텔레비젼 프로가 있다며 자기는 그것을 꼭 보러 가야 한다면서도 이야기는 계속되었다. *
    조사일시1982-07-17 | 조사장소경기도 옹진군 영종면 | 제보자최영화
  • 소에게 읽히겠다는 머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계속해서 들려준 이야기다. *
    조사일시1982-08-11 | 조사장소충청북도 영동군 학산면 | 제보자송재충
  • 최두환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으로 읽음(23:52)2) 양혜왕편을 독서성으로 읽음(27:17)송서 최두환B면 없음대담 이후에 최두환이 서전과 를 독서성으로 읽는다. C-008 최두환 대담조사.pdf pdf C
    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최두환
  • 이윤형 음악조사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른 시창(송서, 율창)을 녹음한 자료이다. 2) 음질 상 전적벽부 시전 관저장 영남루시 강릉경포대시 추풍감별곡 삼설기 관산융마 경시영대장 동몽선습 마상봉한식 천자문 평시조 청산리 기타 1997-08-06 경
    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윤형
  • 이기종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3:20) 2) 천자문 음독(14:31) 3) (18:06) 4) 7언 당음(19:33) 5) 5언 당음(22:03)시창 이기종대담 이후에 이기종이 시창한다.B면 없음 C-014 이기종 대담.pdf pdf
    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기종

기초학문(42)

  • 의 도덕창조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유희성, 게재일 : 2007
    28960 유희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양명학회/한국양명학회 2007 의 도덕창조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의 도덕생명 사상: 이전의 本性論과 비교하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병환, 게재일 : 2001
    09413 김병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범한철학회 2001 의 도덕생명 사상: 이전의 本性論과 비교하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
    유형논문 | 게재일2001
  • ()》의 사역문(使役文) 연구(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형호, 게재일 : 2007
    06883 이형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문학회 2007 《()》의 사역문(使役文) 연구(硏究)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의 마음공부–인간의 자존감 회복의 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5
    69029 한국연구재단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5 의 마음공부–인간의 자존감 회복의 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와 순자의 윤리로 본 형사법의 간통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종우, 게재일 : 2016
    15653 이종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유교학회 2016 와 순자의 윤리로 본 형사법의 간통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
    유형논문 | 게재일2016

신문·잡지(675)

  • 能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미국셔울 화셩돈에 나라의셔 작만한 고가 잇난 각항 셔과 신문을 싸아노코 사마다 한가한 틈을타셔 보게하얏고  소경들을 위하야 셔을 들엇스되 글 획이 두드러져셔 손으로 만져보고 알게 하얏다더라
    게재일1901년 6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 誓殺負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군부대신 권즁현씨 건으로 피착된 강원상한의 대강 공쵸 임의긔얏거니와 그 강한공쵸에 우리가 당쵸 최찬졍의 본지 계속야 동지쟈 십팔인이 약죠뎡고 현졍부대신을 업시기로야대신한아에각각셰사식뎡 나난권군대를 쳐치비인고로 그약죠와갓치 다가 여의치못...
    게재일1907년 3월 28일 | 기사분류잡보
  • 64 김봉훈 평북로동신문사 리달환 【벽동】바야흐로 최후돌격전에 들어선 벽동군의 문맹퇴치사업은 드디어 백열화한 경쟁적□들적으로 전개되고 있는데 지난 3월 5일 벽동면 동하동 160명 전체 문들은 완전히 문의 수치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이를 동하동...
    대표표제어평북로동신문_1948_0319_03 | 책임주필김봉훈
  • 410 김봉훈 평북노동신문사 원식 【삭주】 문맹퇴치사업에 삭주군 내 각 중학교 민□에서 조직□□자□□□□ □□□□□ 많은 효과를 가져오고 있다. 범잡한 평북선차내를 뚫고만 가면서 □객들을 향하여 「여러분 가운데는 문가 계시지 않습니까? 여러분의 가...
    대표표제어평북로동신문_1948_0116_04 | 책임주필김봉훈
  • 평양특별시인민위원회 교육부 평양특별시 인민위원회 교육부에서는 오는 12월 1일부터 금년 말까지에 걸쳐 동기 문맹퇴치 돌격기에 돌입하기 위한 준비로서 11월 12일부터 14일까지에 걸쳐 시내 문 재조사 사업을 일제히 개시하게 되었다. 이번 문 재...
    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48_1117_02

기타자료(15)

  • 조사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조사표 문조사표 교육 문헌 평생교육 문해교육 교육총류 통계ㆍ조사 잡지
    범주1평생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중앙교육연구소 | 사료철명문교월보
  • (통계) 문 조사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통계) 문 조사표 (통계) 문 조사표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통계ㆍ조사 잡지...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사료철명문교월보
  • (어록) 선에 관하여-에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어록) 선에 관하여-에서 (어록) 선에 관하여-에서 (語錄) 善에 관하여-에서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청석 | 사료철명교육전남
  • 조사-1959년 12월 31일 현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조사-1959년 12월 31일 현재 문조사-1959년 12월 31일 현재 文調査-1959年 12月 31日 現在 교육 문헌 교육총류 통계ㆍ조사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종서 | 사료철명중앙교육연구소조사연구
  • (교육논단) 기능적 문의 구제 방안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논단) 기능적 문의 구제 방안 (교육논단) 기능적 문의 구제 방안 교육 문헌 평생교육 문해교육 교육총류 교육학
    범주1평생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정상학 | 사료철명교육경남

연구과제(3)

주제어사전(51)

  • / [종교·철학/유학]

    사서류(四書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 판종은 석인본(石印本)이다. 규격은 20.1×12.9cm, 반곽은 16.7×10.8cm이다. 표제는 동판사서집주(銅版四書集註), 판심제는 ()이다. 권수는 5권 1책이다. 권삼현신(權參鉉信)이 원

  • 언해 / 諺解 [언론·출판/출판]

    경부(經部) - 사서류(四書類). 선조(宣祖) 명찬. 목판본, 규장각 1820년(순조 20) 14권 7책. 표제는 맹해(孟解)이다. 간기는 경진(庚辰, 1820) 신간내각장판(新刊內閣藏板). 선조의 명으로《》의 원문에 구결을 달고 언해한 책이다.

  • 집주대전 / 集註大全 [언론·출판/출판]

    경부(經部) - 사서류(四書類). 호굉(胡廣) 등 수명편(受命編). 목판본(신간). 한성(漢城) 규장각 1820년(순조 20) 14권 7책. 표제는 (), 간기는 경진(庚辰, 1820) 신간내각장판(新刊內閣藏板).《()》에 주석한 책이다. 표지에 편목

  • 사서삼경 / 四書三經 [문학/한문학]

    유교의 기본 7가지 경전. 『논어』·『』·『대학』·『중용』·『시경』·『서경』·『역경』을 지칭한다.『대학』과『중용』은 원래『예기』의 편명이었던 것을 주자(朱子)가『논어집주』10권과『집주』7권에『대학장구』1권,『중용장구』1권을 더하여 사서라 하고『사서혹문(四書或問

  • 성선설 / 性善說 [종교·철학/유학]

    인간의 본성은 본래 선하다고 보는 학설. 가 최초로 체계화시켰다. 그에게 있어서 성선이라 함은 인간 고유의 본질로서 인성이 선하다는 것이다. 는 성선의 사실을 인의예지의 4단으로 설명했다. 사단은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을 뜻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