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맹사성” 에 대한 검색결과 1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1)

사전(8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太祖實錄 太宗實錄 世宗實錄 國朝榜目 海東名臣錄 國朝名臣錄 燃藜室記述 海東雜錄 大東奇聞 ...
    이칭별칭 자명(自明)| 고불(古佛)
  • TD_L7_D_0245 남자 漢城尹, 壯元, 左議政, 務持大體, 不治産業, 不蔽風雨, 騎牛, 宰相, 旌門 新昌 誠之, 希道, 辛禑, 我英廟, 文貞 D_07_01_103 대동운부군옥 7권 1장 103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7권 1장 10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문신 한국 고려~조선 우왕~세종 김구진 이범직 2016 성지(誠之)⋅자명(自明) 동포(東浦)⋅고불(古佛) 문정...
  • 선생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기도 광주시 광주읍 직리에 있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의 유택. [내용] 경기도 기념물 제21호. 맹씨 문중의 산인 맹산(孟山) 중턱에 위치하고 있다. 봉분은 장대석(長臺石)을 이용한 장방형(長方形)의 호석(護石)...
    연계항목맹사성선생묘(孟思誠先生墓)
  • 맹만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60(현종 1)∼1710(숙종 36).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신창(新昌). 자는 시중(施中). 좌의정 사성(思誠)의 후손이며, 할아버지는 세형(世衡)이고, 아버지는 승지 주서(胄瑞)이며, 어머니는 홍처심(洪處深)의 딸이다...
    이칭별칭 시중(施中)

고서·고문서(18)

  • 37126 B037126 연어 年魚 수산물 世宗實錄 十一年(1429) 夏四月 세종실록_11104024_002 ○召府院君李稷、左議政黃喜、右議政、判府事卞季良等議曰: “似聞使臣, 欲親往年魚産處造醢。 從之則將開萬世之弊, 不從則有虧享上之儀, 何以處之? 唱歌女兒三十名, 何...
    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始役, 來秋畢役何如?” 黃喜、、權軫等以爲: “非獨此弊, 吉州、鏡城等官大雨, 人多死亡, 禾穀亦傷, 不可役民。 春不役民, 雖有成法, 然不得已之役, 則何計春節? 而況從民願役民, 王政美事, (謂)〔請 ...
    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江界 閭延 江界 閭延 외교 命安崇善,往議政府,議于黃喜··權軫·許稠·崔閏德·河敬復·趙末生·鄭欽之·崔士康等曰"今義州官吏,欲捕逃僧,遣人于連山把截,雖爲捕僧遣之,然擅發人至上國之境,似違於法,將加罪責乎?姑置勿論乎?" 喜等曰"義州官發差批送人遼東,...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中國 中國 野人 군사 ○平安道監司馳報"野人四百餘騎突入閭延之境,摽掠人物,江界節制使朴礎率兵追之,還奪被擄人二十六口·馬三十匹·牛五十隻.我國人戰死者十三,中箭者二十五.日暮未得窮追."上怒甚,卽召黃喜··權軫·入番都鎭撫趙末生·兵曹判書(崔士廉)[崔士康] 等...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慶源府 蘇多老 慶源 孔州 慶源 蘇多老 富居站 斡木河 豆滿江 斡木河 咸吉道 咸興 孔州 野人 慶源 군사 외교 ○戊戌/召黃喜··權軫·河敬復·沈道源等議事...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구술자료(6)

  • 과 공당놀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와 두 번째 만남이었다. 제보자는 언제나 유쾌하고 재미있었다. 구연은 마을회관에서 이루어졌다. 이야기를 잘 듣기 위해 제보자를 작 은 방으로 모셨다. 젊은 이장이 따라 들어왔는데, 제보자는 젊은 이장이 자신을 잘 따른다고 했다. 조사 목적을 잘 이해하고 있던 ...
    조사일시2009. 2. 21(토) | 조사장소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북창리 초리마을 회관 | 제보자이문성
  • 과 봉사 점장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앞의 이야기가 끝나자 청중 한 분이 나서며, 개오륜(犬王倫)에 대한 이야기를 하겠다고 했다. 녹음을 극구 반대했기 때문에 알지 못하게 녹음을 했으나, 녹음 테이프가 다 되어서 서두만 녹음되었다. 이야기의 내용은, 이조 명종 때 강승지가 있었는데, 민승지가 강승지를...
    조사일시1981-07-29 | 조사장소경상북도 안동군 풍산읍 소산동 | 제보자김시규
  • 안동 부사 의 세가지 업적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사자가 여러 가지 이야기를 물어 보다가 맹사성(孟思誡)과 상전(桑田) 김씨(다른 이야기에서는 상전 김씨와 맹사성의 관계로 이야기되었다.)에 관한 이야기를 물었더니, 김대현씨가 나서서 이 이야기를 했다. 이 이야기는 안동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진 이야기였다. 이야기...
    조사일시1981-07-21 | 조사장소경상북도 안동시 옥정동 | 제보자김대현
  • 황희 정승과 의 청렴결백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황희 정승 일화에 이어 고려 충신 이야기를 하시며, 맹사성의 일화를 구연해주었다.
    조사일시2009. 3. 7(토) | 조사장소전라북도 장수군 계북면 매계리 189-1번지 박희목 자택 | 제보자박희목
  • 청백리 황희 정승과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단종의 시신을 잘 보살펴 벼슬을 받았다는 이야기가 마치고, 자연스레 왕과 신화에 관련된 이야기가 이어졌다. 조사자의 의도된 질문에 의한 것이 아니라, 제보자가 바로 바로 이야기를 이어나갔다.
    조사일시2010. 3. 27(토) | 조사장소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마지1리 봉수길 자택 | 제보자봉수길

신문·잡지(2)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360(공민왕 9)∼1438(세종 20).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아버지는 고려 수문전제학 희도, 최영의 손서이다. 1386년(우왕 12)에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춘추관검열, 내사사인, 이조참의, 사헌부대사헌, 예조참판, 이조판서, 우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 강호사시가 / 江湖四時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초기에 ()이 지은 시조. 4수로 된 연시조이다. 형식은 3·4, 3·5, 4·3에서 약간 벗어나는 형태이며, 초장은 모두 ‘강호(江湖)’라는 말로 시작되고, 종장 3·4구에서는 각 작품 모두가 ‘역군은(亦君恩)이샷다’로 끝난다. 연시조 형태로는 최초

  • 시여 / 詩餘 [문학/고전시가]

    작가에 대한 해설 몇 편으로 되어 있다. 수록 작가는 최충(崔冲)·이존오(李存吾)·길재(吉再)·()·조광조(趙光祖)·이이(李珥)·송시열(松時烈)·이하조(李賀祖) 등 모두 75명이며, 시조 제목이 있는 작품은 관암(冠岩)·취병(翠屛)·송애(松崖)·산중신곡(山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