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매산집” 에 대한 검색결과 1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1)

사전(10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史)』(현상윤, 민중서관, 1949) 조선 말기의 문신, 학자 홍직필의 시문집. 1866년(고종 3)에 임헌회, 서정순, 신춘조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규장각도서.
  • 정중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소를 하여 그 시정을 진정한 바 있다. 저서로 『』이 있고, 편저로는 『포은속집(圃隱續集)』ㆍ『가례집요(家禮輯要)』ㆍ『주서절요집해(朱書節要集解)』가 있다. 『영조실록(英祖實錄)』 『국조방...
    이칭별칭 도옹(道翁)| 매산(梅山)
  • 홍익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원시에 합격하여 처음 벼슬이 광릉참봉(光陵參奉)이 되고, 이어 창평현령을 역임하였다. 『()』에는 능참봉으로 있을 때인 1814년(순조 14)에 사촌형인 직필이 ‘능관(陵官)은 비록 낮은 벼슬이나 그 책임이 막중하므로 직분을 충실하게 행할 것’을 당부하는...
    이칭별칭 익여(翊汝), 윤여(允汝)| 수와(守窩)
  • 민회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칭별칭 의암(義庵)
  • 김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국조인물지(國朝人物志)』
    이칭별칭 응지(凝之)

고서·고문서(4)

  • 은거에 관련한 자료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이 자료집은 조선총독부 중추원에서 조선의 은거(隱居)에 관하여 조사하여 정리한 것이다. 조선총독부 중추원 용지에 작성되었으며, 은거와 관련한 제사의 상속 문제를 주로 정리하였다. 조선시대 문헌에서 관련 내용을 발췌한 문헌조사보고로, 󰡔()󰡕 등 개인 저...
    분류민사 | 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출판사없음
  • 양자에 관한 자료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이 자료집은 이이(李珥, 1536~1584)의 󰡔율곡전집(栗谷全集)󰡕와 홍직필(洪直弼, 1776~1852)의 󰡔()󰡕 등 조선의 개인 저술 문집류 자료를 대상으로 양자에 관한 기록을 발췌하여 수록한 문헌조사 보고서이다. 조선총독부 중추원 용지에 작성...
    분류민사 | 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출판사없음
  • 洪直弼이 鄭奎元에게 보낸 簡札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의 문집인 『』에 일부가 실려있다.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경상대 고문헌 도서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감화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城月, 戱寄李佐幕-德永, 烏島歸路奉和西郭李箕應, 古羅峴和蒼廬士溫-鼎基-癸酉, 酬杏亭-之翰, 周王山拈韻一絶, 佳巖歸路遇雨馬上口號, 滯雨栗里次韻, 贈洪參議-時濟-謫中-甲戌, 贈崔都事-仁簡-之任關東, 贈族弟而執令-鼎秉-謫所, 五月十日獨步後庭喜窨竹抽竿-丁丑, 乙亥春寓佛寺...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5)

  • / [생활]

    별집류(別集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이며, 판종은 필사본(筆寫本)이다. 규격은 29.5×20.5cm이다. 표제는 인재수록(仁齋隨錄)이다.

  • 창렬암기 / 彰烈巖記 [문학/고전산문]

    을 '창렬(彰烈)'로 고치고 절벽 위에 새겨넣었다. 이 글은 홍직필(洪直弼)이 그들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지은 것으로,《()》권28에 수록되어 있다.

  • 정중기 / 鄭重器 [종교·철학/유학]

    되고, 뒤에 형조참의에 이르렀다. 저서로《》이 있고, 편저로는 《포은속》·《가례집요》·《주서절요집해》가 있다.

  • 홍익필 / 洪翼弼 [종교·철학/유학]

    1777년(정조 1)∼1825년(순조 25). 조선 후기의 문신. 직필의 사촌동생이다. 1805년(순조 5)에 생원시에 합격하여 처음 벼슬이 광릉참봉, 창평현령을 역임하였다.《》에는 능참봉으로 있을 때인 1814년(순조 14)에 사촌형인 직필이 ‘능관은 비록 낮

  • 홍일순 / 洪一純 [종교·철학/유학]

    1804년(순조 4)∼1856년(철종 7). 부친은 홍우필이다.《》에 의하면 1818년(순조 18)에 매산 홍직필의 양자가 되었다.《일성록》에 의하면, 1845년(헌종 11) 1월 3일에 초사로 가감역에 제수되었고 1848년(헌종 14)에 과천현감을 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