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망궐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9)
사전(84)
- 망궐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궁궐이 멀리 있어서 직접 궁궐에 나아가서 왕을 배알하지 못할 때 멀리서 궁궐을 바라보고 행하는 예. [내용] 망궐례를 행하는 경우는 대체로 세 가지로 구분된다. ① 외직으로 근무하는 관찰사ㆍ목부사ㆍ군수ㆍ첨사ㆍ만호ㆍ우후ㆍ절도사ㆍ통제...
- 망궐례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음력 초하루와 보름에 각 지방의 관원이 궐패(闕牌)에 절하던 의식. 임금을 공경하고 충성심을 표시하기 위해 임금과 궁궐의 상징하는 ‘궐(闕)’자를 새긴 패를 만들어 각 고을 관아의 객사에 봉안하고 예를 올렸음. 朔講想必不廢 汝又差初一日望闕禮執事, 정경세(鄭經世), 4...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망궐례(望闕禮)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3009 행사 망궐례(望闕禮) 망궐례 望闕禮 외지에 나가 있는 관리가 직접 왕을 배알(拜謁)하고 경의를 나타낼 수 없을 때, 멀리서 궁궐을 바라보고 전패(殿牌)에 절하는 예식. 원래는 음력 초하루와 보름에 관리들이 지방 관청이나 왕...유형분류행사
- 망궐례(望闕禮)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망궐례 망궐례 望闕禮 가례(嘉禮), 빈례(賓禮), 조하례(朝賀儀) 향궐하례(向闕賀禮), 향제궐행하례(向帝闕行賀禮) 망궁례(望宮禮), 망배례(望拜禮), 요하의(遙賀儀), 조회(朝會) 왕실왕실의례|왕실/왕실구성원/왕 ...상위어가례(嘉禮), 빈례(賓禮), 조하례(朝賀儀) | 동의어향궐하례(向闕賀禮), 향제궐행하례(向帝闕行賀禮) | 관련어망궁례(望宮禮), 망배례(望拜禮), 요하의(遙賀儀), 조회(朝會)
- 황의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의장과 유사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는 동지(冬至)와 신정의 황제에 대한 망궐례(望闕禮), 황제의 성절(聖節 : 생일) 하례(賀禮) 의식 때, 그리고 황제의 조칙(詔勅)을 받거나 표문(表文 : 중국과의 외교시 일정한 서식을 갖춘 문서)을 올리는 행사 때 주로...이칭별칭황색의장
고서·고문서(24)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0518 B010518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34年 12月 20日_017 好矣。 泰遠曰, 緩好比午一樣, 而右三部虛軟矣。 膺祐曰, 脈候舒暢極好矣。 上曰, 翰林考出實錄乎? 其奏之。 下番柳敍五伏而奏之。 上曰, 當年依法行之矣, 丁丑則無望闕禮乎? 尙魯曰, 時在...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2302 B012302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34年 12月 20日_017 好矣。 泰遠曰, 緩好比午一樣, 而右三部虛軟矣。 膺祐曰, 脈候舒暢極好矣。 上曰, 翰林考出實錄乎? 其奏之。 下番柳敍五伏而奏之。 上曰, 當年依法行之矣, 丁丑則無望闕禮乎? 尙魯曰, 時在...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略陳其梗槪焉。 先臣當初官仁川地, 倡率士夫, 奔問宗社, 兼行正朝望闕禮, 入往江都, 江都宗社所在, 不忍離去, 而家屬猶未處置, 故辭于大臣出來紫燕島, 再入江都之日, 與工曹正郞朴知警永訣, 曰江都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717 B004717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18年 5月 21日_020 ... 中路, 未得扈從之事, 已列於前疏中, 臣姑擧先臣死節事跡, 略陳其梗槪焉。 先臣當初官仁川地, 倡率士夫, 奔問宗社, 兼行正朝望闕禮, 入往江都, 江都宗社所在, 不忍離去, 而家屬猶未處置...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722 B004722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18年 5月 21日_020 ... 倡率士夫, 奔問宗社, 兼行正朝望闕禮, 入往江都, 江都宗社所在, 不忍離去, 而家屬猶未處置, 故辭于大臣出來紫燕島, 再入江都之日, 與工曹正郞朴知警永訣, 曰江都形勢必敗無疑, 固知此...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1)
- 14세기 元明교체기의 胡‧漢共存과개경의 望闕禮 공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은정, 게재일 : 201761553 정은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세사학회 2017 14세기 元明교체기의 胡‧漢共存과개경의 望闕禮 공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유형논문 | 게재일2017
주제어사전(3)
-
망궐례 / 望闕禮 [종교·철학/유학]
궁궐이 멀리 있어서 직접 궁궐에 나아가서 왕을 배알하지 못할 때 멀리서 궁궐을 바라보고 행하는 예. ① 외직으로 근무하는 관찰사·목부사·군수·첨사·만호·우후·절도사·통제사 등이 왕이나 왕비의 탄신일을 비롯하여 정월초하루·한식·단오·추석·동지 등 명절날에 왕과 왕비, 세
-
망제 / 望祭 [종교·철학/유학]
종묘(宗廟)에서 음력 보름날 지내던 제사와 왕이 9주(州)의 대천(大川)과 오악사독(五岳四瀆)을 바라보면서 지내던 제사. 조선조 왕실에서 행하였던 망궐례(望闕禮)라든가 망릉례(望陵禮)ㆍ망묘례(望廟禮)의 의식도 망제와 유사하다.
-
대례 / 大禮 [종교·철학/유학]
祭禮)가 있다. 가례에는 왕의 등극(登極)과 사위절차(嗣位節次)가 있으며, 왕비가례(王妃嘉禮)·납비친영절차(納妃親迎節次)가 있고, 중국과의 관계에서 생긴 망궐례(望闕禮)·영칙(迎勅) 등이 있다. 제례로는 성황(城隍)·선농(先農)·기우(祈雨)·영성(靈星)과 관왕묘(關王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