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망곡례” 에 대한 검색결과 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

사전(13)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국상을 당하여 빈소나 의례가 행해지는 장소에 나가지 못하고 그곳을 바라보며 곡을 하는 의식. 상례의 의식에 참여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의례 장소가 있는 방향을 바라보며 거행하는 것을 ()라고 한다. 국장 관련 의궤에 보이는 는 상례 의식에 국왕이 직접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사(喪事) 왕실왕실의례/흉례 의식 행사 대한민국 조선 임민혁 [정의] 시신을 안치한 곳에서 행해지는 의절에 참석치 못하는 왕과 비빈(妃嬪) 이하 모든 인원들이 시신...
    관련어상사(喪事)
  • 구용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곡을 할 자리에 가지 못하고 그쪽을 향하여 애곡하는 것)를 행하였다. 1689년 남인들의 무함(誣陷)으로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이 출향(黜享 : 문묘 배향을 거두어 치움)되었는데, 1694년 정국이 다시 반전되자 기호유생의 소수(疏首)가 되어...
    이칭별칭 대현(大見)| 경타재(警惰齋)
  • 청강선생후청쇄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정간(李貞幹)과 사궤장(賜几杖), 이정간 자손의 번성과 영화, ② 처조부 상진(尙震)의 덕행, ③ 서원의 흥기와 향교의 몰락, ④ 왕건(王建)을 위한 숭의전(崇義殿) 제향, ⑤ 친상(親喪)의 백포립(白布笠)과 산릉하관시의 (), ⑥ 통역관으로부터 들은 순안...
    이칭별칭후청쇄어
  • 숭문당(崇文堂)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1)에 장렬왕후(莊烈王后)가 인조의 혼전에 를 행하고자 하는 의사를 나타냈다[『효종실록』 즉위년 8월 23일]. 이전까지는 혼전 의례에 대비 이하 내명부는 참여하지 않았으나, 장렬왕후의 뜻에 따라 혼전과 내전이 연결되는 위치에 있던 숭문당의 마당에서 를 행하...
    상위어창경궁(昌慶宮), 편전(便殿) | 관련어내전(內殿), 동궐(東闕), 명정전(明政殿), 창덕궁(昌德宮), 희정당(熙政堂)

고서·고문서(8)

  • 李熹公實錄資料 3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3006022014300602_001 李熹公實錄資料 3 자료제391호 李熹公從宦錄 궁내청 공문서관 85352 03 81 1874년 12월 17일(음력) 고종이 禁川橋에 친림하여 ...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故大勲位李王国葬書類 巻四・大正十五年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96 문서 정무총감 각도지사 1926.04.30 이왕(순종)의 국장일이 결정되면 국장당일에는 관청 주최로 지방 관민과 학교생도와 함께 遙拜 또는 등을 행하며, 다른 봉도 계획이 있을 경우 위의 예에 준하여 거행하라는...
    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5. 04. 06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故大勲位李王国葬書類 巻四・大正十五年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47 문서 정무총감 각도지사 1926.04.30 조선총독부 정무총감이 각도지사에게 내린 지시로서 이왕(순종)의 국장 당일에 행할 각종 奉悼 계획의 기준이다. 모두 네 가지였다. 첫째 일반 지방에서 遙拜나 는 적당한 각...
    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5. 04. 06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綸音到縣,宜聚集黎民,親口宣諭,俾知德意。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誅殛不可辭也,而可犯乎!○余謫嶺南,見荒村小聚,皆有綸音閣。一間之屋,當其北墉,橫以長板,每奉綸音貼于板上,父老羅拜其前。國有慶則羅拜,國有恤則羅拜,遂於其前行,有大議必會於其下。此天下之美俗也,宜以此俗通于諸路。 153 ~ 154쪽
    권차명牧民心書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하관할 때 대궐 뜰에서 를 행하다. 反虞할 때 어가를 모시고 교외에 나가서 迎哭하고 어가를 따라 돌아오다. 龍洲趙絅을 찾아뵙다. ○10월, 師傅李褥의 几筵에 가서 곡하다. 親病을 아뢰고 고향으로 돌아오다. ○12월, 또 病狀을 아뢰다. 1650년 (33세) 효...
    분야문학 | 유형문헌

신문·잡지(1)

  • 그날아참에 관문안이 되고 를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그날아참에 관문안이 되고 를 신후에 삼일 복으로 죠관이 모다 쳔담복 오모오각 흰신을 신게고 각부부원에셔 삼일 무를 뎡지고 각학교에셔도 삼일폐학을더라
    게재일1900년 10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

    국상을 당하여 빈소나 의례가 행해지는 장소에 나가지 못하고 그곳을 바라보며 곡을 하는 의식. 상례의 의식에 참여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의례 장소가 있는 방향을 바라보며 거행하는 것을 라고 한다. 국장 관련 의궤에 보이는 는 상례 의식에 국왕이 직접 참석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