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망건” 에 대한 검색결과 40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98)

사전(116)

  • 풍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의 당 중앙에 꾸미는 지름 4㎝ 내외의 타원 또는 반달 모양의 장식물. [내용 원산(遠山)이라고도 하며 갓을 고정시키는 구실을 한다. 관자(貫子)처럼 관품(官品)에 따른 규정은 없지만, 갓 밑으로 빛나는 풍잠은 착용자의 격(格...
    이칭별칭원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상투를 틀고, 머리카락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머리에 두르는 장식품. [내용] 따라서 관모라기보다는 머리장식의 하나로서, 그 위에 정식의 관을 쓴다. 은 당‧편자‧앞‧뒤의 네 부분으로 구성되며, 앞이 높고, 옆쪽이 조금 낮...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성인 남자가 상투를 틀 때, 머리털을 위로 걷어 올리기 위해 이마에 두르는 건.
    정의성인 남자가 상투를 틀 때, 머리털을 위로 걷어 올리기 위해 이마에 두르는 건.[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manggeon | MR표기mangg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N3_O_0013 복식제도 繭絲, 小網, 約髮, 邊子, 金、玉, 銅、錫, 圈子, 一品, 漫玉圈, 反玉環中, 二品, 金牽牛花樣, 梅花樣, 苽花樣, 雙螭, 反金圈, 三品, 玉牽牛花樣, 雜雕花樣, 鎪八蓮環子, 三品以下, 士庶, 玳瑁, 羊角, 牛蹄, 琥...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8권 9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모(官帽) 풍잠(風簪), 관자(貫子) 생활 풍속의생활/관모 의복 대한민국 조선 이민주 [정의] 상투를 튼 후 이마에 두르는 머리띠. [개설] 상투를...
    상위어관모(官帽) | 하위어풍잠(風簪), 관자(貫子)

고서·고문서(186)

  • 10459 창가 매일신보사 1923년~1931년 매일신보사 〈ad〉忠􀀀公郡州外面玉龍里三六三〈/ad〉 〈in〉安乘文君報〈/in〉 〈#152〉 솔이개가 톡 차갓다 도리짓자 망긋짓자 〈d〉1930.08.09.〈/d〉
    구분창가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840 喪禮四箋 卷八 ITKC_MP_0597A_0840_030_0160 布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喪禮四箋 卷八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襲用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nk_00024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二 喪禮_襲 襲用 襲用 이익(李瀷, 1681~1763) 答秉休問目 DRAC_2:1:7:7Q 《士喪禮》“襲”條“鬠後加掩”, 《家禮》亦依此“撮髻後加幅巾”, 蓋古禮死者不, 故以掩帛斂髮而已, 則《家禮》...
    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禫用黲笠黲飾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ws_00001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五 喪禮_禫祭 禫用黲笠黲飾 禫用黲笠黲飾 이익(李瀷, 1681~1763) 答 DRAC_5:1:1:1 《家禮》忌日之服, 與大祥行事之服同, 疑若從簡, 而禫亦用此不變也. 今制大祥用白笠等, 則不可不遵綅冠...
    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布頭巾竝用恐衍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ws_00064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五 喪禮_居喪雜儀 布布頭巾竝用恐衍 布布頭巾竝用恐衍 이익(李瀷, 1681~1763) DRAC_5:1:3:2 今之布頭巾, 禮無所着, 恐只是如斜巾帕頭之制, 亦然. 今布與布頭巾, 竝用恐衍, 不肖居...
    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구술자료(48)

  •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장소제주도 제주 | 제보자고순자
  • 훔치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설화 2(잘 사는 딸과 못 사는 딸)에 이어서 재미 있는 이야기라고 부추기었더니 우스개 하나 더 한다면서 구술하였다.*
    조사일시1980-08-03 | 조사장소경상남도 진양군 대곡면 | 제보자하만주
  • 뜨기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박정남씨 댁에서 노래했다. ‘베틀노래’가 끝나고 나서 여러 사람들이 하라고 권유하여 듣게 되었다. 원래는 망건을 뜨면서 불렀는데, 놀이 때에도 불렀다고 한다. 독창으로 불렀다. *
    조사일시1979-08-08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둔덕면 | 제보자송종수
  • 노래 (1)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제보자 두 분 모두 망건을 결었던 경험은 없으나, 망건 결으며 노래했던 분들에게서 배웠다고 하며 이 노래를 불렀다. 2음보 1행의 사설을 부를 때마다 4음보 2행의 후렴이 따른다. 2음보 1행의 사설은 두 제보자가 번갈아 부르고 후렴은 두 분이 함께 부른다. 19...
    조사일시1980-09-25 | 조사장소제주도 제주시 삼도동 | 제보자이여수
  • 노래 (2)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녹음이 시작될 때부터 조사자 주변을 서성거리면서 제보자들이 노래하는 태도를 간섭하고 평가하고 하던 이옥희 여인에게 조사자가 민요를 청했다. 무슨 노래를 부를까 망설이다가 주변에서 망건 노래 부르기를 종용하자 이에 응했다. 망건을 겯는 손놀림과 더불어 자신 있게 노...
    조사일시1980-09-28 | 조사장소제주도 제주시 삼도동 | 제보자이옥희

신문·잡지(45)

  • 還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비셔승 윤갑병씨 일진회 츌신인고로 이왕 단발고 양복지라 비셔승은 님군계 갑가온 벼살인즉 양복으로 공치못다 으로 직상소엿더니 의시치안으심으로 작일부터 윤승지가 에 모고 진다더라
    게재일1906년 5월 18일 | 기사분류잡보
  • -(合資會社 工作所)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合資會社 工作所) 서울 - 合資會社 工作所 漢江通 15-162 청부업 합자회사 도장(塗裝) 공사 청부 78.23 의자, 탁자 겸업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
    대표표제어-(合資會社 網干工作所) | 지역서울 | 품목청부업 | 영업종목도장(塗裝) 공사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鐵道網普及 要是認 朝鮮商議提案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시대일보 鐵道網普及 要是認 朝鮮商議提案 1925년 6월21일 일본 동경 동경상업회의소에서 열린 제31회 전국상업회의소연합회...
    대표표제어鐵道網普及 要望件是認 朝鮮商議提案 | 연월일1925년 6월21일 | 지역동경
  • 興化剃髮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 흥화학교에셔 학도들이 일졔 단발기로야 이십여명은 먼져단발얏 을그져두면 후일에 다시쓰폐단이 잇다고 셔로 을 텰파야 후일을 셰엿다더라
    게재일1905년 10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 斷髮着網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긔관찰 셩기운씨난 명상에 단발난것이 가다야 단발고 도임더니 근머리에도로 을 쓰고 공다고 치소난쟈가 만타더라
    게재일1906년 10월 6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3)

  • 맹간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2704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1940/12) 1940 38면 (28) 제26회 105명(1930년 3월 졸업) 맹간우;又 경기도 고양군 崇仁공립심상소학교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맹간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1291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12 38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28) 제26회 105명(1930년 3월 졸업) 맹간우;又 (주소 및...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박수남;朴壽男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壽男 경성부 체부동201-2 鎬方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0)

  • / [생활/의생활]

    상투를 틀고, 머리카락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머리에 두르는 장식품. 따라서 관모라기보다는 머리장식의 하나로서, 그 위에 정식의 관을 쓴다. 은 당·편자·앞·뒤의 네 부분으로 구성되며, 앞이 높고, 옆쪽이 조금 낮은 모양으로 되어 있다. 재료로는 말총[馬

  • 노래 / [문학/구비문학]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방에 전승되는 민요. 말총으로 ()을 결으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은 조선시대 남성들이 갓을 쓰기에 앞서 머리카락을 단정히 여미어 매는 데 쓰던 것으로, 말총으로 결어서 만든 한갓 머리띠 비슷한 것이다. 곧 상투를 틀고 머리를 잘 가다

  • 장 / [예술·체육/공예]

    말총을 가지고 을 만드는 일 또는 그 일을 하는 장인. 국가무형문화재 제66호. 상투를 틀고 머리카락을 여며서 매는 남성용 머리띠가 이며, 갓이나 탕건은 반드시 위에 덧쓰는 것으로서 과거의 남자는 항상 을 쓰고 있었다. 상인(喪人)은 포망(布網)을 쓰

  • 관자 / 貫子 [생활/의생활]

    에 달아 당줄을 걸어넘기는 구실을 하는 작은 고리. 권자(圈子)라고도 한다. 금·옥·뼈·뿔로 만들었으며, 관품에 따라서 재료 및 새김장식이 달랐다. 은 네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말총으로 촘촘하게 고를 맺어 두른 의 윗부분이 ‘당’이고, 두꺼운 띠처럼

  • 무분전 / 無分廛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의 시전 중 국역부담의 의무가 없던 전. 무분전에는 외장목전·채소전·우전·혜정교잡전·세물전·잡철전·염전·백당전·계아전·복마제구전·내외세기전·백립전·흑립전·좌반전·침자전·내외분전·생치전·전·도자전·종자전 등의 91개 전과 그 밖의 소소한 각 전들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