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망개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
사전(16)
- 망개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소 있어 다른 나무 밑에서도 자랄 수 있다. 각국에서 희귀한 종류로 취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수피가 독특하고 열매가 곱고 잎이 아름다워 관상가치가 높은 수종이다. 속리산 법주사 앞에 있는 망개나무는 껍질을 벗겨 달인...
- 보은속리산의망개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충청북도 보은군 내속리면 사내리에 있는 망개나무. [내용] 천연기념물 제207호. 나무의 나이는 미상이다. 높이 12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 0.78m이고, 가지의 길이는 동서로 5.5m, 남북으로 11m이다. 망개나...연계항목보은속리산의망개나무(報恩俗離山의망개나무)
- 제원송계리의망개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에 있는 망개나무. [내용] 천연기념물 제337호. 나무의 나이는 150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 26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 1.4m에 달한다. 줄기는 밑에서 2개로 갈라졌는데 1개는 썩었다.연계항목제원송계리의망개나무(堤原松界里의망개나무)
- 괴산사담리의망개나무자생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사담리에 있는 망개나무 자생지. [내용] 천연기념물 제266호. 면적 1,116,046㎡. 속리산국립공원 가장자리를 흘러내리는 용대천(龍大川)을 중심으로 하여 냇가의 전석지(轉石地 : 암반에서 떨어져연계항목괴산사담리의망개나무자생지(槐山沙潭里의망개나무自生地)
- 탈골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있다. 이 절의 좌측에는 심한 가뭄에도 마르지 않는 유명한 약수터가 있고, 동쪽으로 400여m 떨어진 곳에 천연기념물 제207호로 지정된 망개나무가 있다. 『사지(寺誌)』(충청북도, 1982) 『한국(韓國)...
주제어사전(3)
-
망개나무 / Berchemia berchemiaefolia (MAK.) KOIDZ. [과학/식물]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 학명은 Berchemia berchemiaefolia (MAK.) KOIDZ.이다. 가지는 적갈색이고 작은 피목(皮目)이 산재한다. 잎은 어긋나며 긴 타원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7∼12㎝, 너비 3∼5㎝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
보은 속리산 망개나무 / 報恩 俗離山─ [과학/식물]
충청북도 보은군 내속리면 사내리에 있는 망개나무. 천연기념물 제207호. 나무의 나이는 미상이다. 높이 12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 0.78m이고, 가지의 길이는 동서로 5.5m, 남북으로 11m이다. 망개나무는 갈매나무과에 딸린 낙엽성 활엽교목이며 중국의 중부와 일
-
보은 서원리 소나무 / 報恩 書院里─ [과학/식물]
수령은 600년으로 추정된다. 서원계곡 산록 길가의 경작지 가장자리에서 자라고 있으며, 앞에 내가 흐르고 앞산에는 희귀수종의 하나인 망개나무가 드문드문 보인다. 서낭나무로 살아남은 나무의 하나이며 법주사 입구의 정이품송과 내외지간이라고 하는데 정이품송이 곧추 자란 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