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말모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4)
사전(10)
- 말모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편찬이 시작되어 거의 원고가 마무리되었으나 편찬자들의 사망‧망명 등으로 출판되지 못하고 현재는 그 일부의 원고가 남아 있다. 현전하는 『말모이』는 표제가 ㅁㅏㄹㅁㅗㅇㅣ로 가로 풀어쓰기로 되어 있으며, ‘알기’‧‘본문(本文)’‧‘찾기’‧‘자획(字劃)찾기’로 짜여져...
- 조선말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會)에서의 대역사전(對譯辭典)인 『신자전(新字典)』의 편찬에 이어 주시경(周時經)‧권덕규(權德奎)‧이규영(李奎榮)과 함께 국어사전인 『말모이』를 편찬하다가 1914년 주시경이 죽자 그 사전의 바탕이 되는 문법책으로 만든 것이 곧 이 『조선말본』이다. 따라서, 이...이칭별칭깁더조선말본
- 온갖것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창제 기념가」는 제5절에 “국문창제기념식(國文創製紀念式) 거행(擧行)해보세.”라는 구절이 있는데, 이는 오늘날의 ‘한글날’에 관한 가장 오래된 언급으로 보인다. 품사분류표인 「씨난틀」은 당시 주시경(周時經)의 주재하에 편찬되던 국어사전 『말모이』의 특이한 문법표...
- 말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말은 이규영의 비망록 「온갖것」‧「금강뫼탐험노래」 속에서 자신을 이른 말임이 밝혀졌다. 이로 보면 이 책은 저자가 조선광문회에서 주시경의 국어사전 『말모이』를 편찬하던 24세에 집필한 것이 된다. 「이규영말듬」(김민수‧하동호‧고영근 편, 『역대한...
- 한글적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에 따라 추정된 것이다. 내용은 첫재떼 말본 ㄱ(소리‧씨 몸씨) 59장, 말본 ㄴ(씨 토시) 낙질(落秩), 말본 ㄷ(씨 모임씨‧월) 26장, 둘재떼 씨숲(몸모이‧토모이) 낙질, 셋재떼 옛말모이 15장, 넷재떼 사투리모이 낙질 등이다. 문법 3권, 문법자료 1권,...
고서·고문서(4)
- 한겨레 말모이 : 장승욱의 우리말 살림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한겨레 말모이 : 장승욱의 우리말 살림사전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한겨레 말모이 : 장승욱의 우리말 살림사전 장승욱 지음 하늘연못...대표표제어한겨레 말모이 : 장승욱의 우리말 살림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조선어사전〉(1938)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다.개 (안) 비나눈따위가오다가걷움. (말모이) 감동 [感動](제) 저절로느끼어지는것. (말모이) 기다려(待) 나기지잇는것. (보통학교조선어사전) 감동(感動) 늣기는것. (보통학교조선어사전) 개다 ‘自’ 비가 그치고 구름 안개가 흩어지다. (조선어사전) 감동(感動...대표표제어〈조선어사전〉(1938) 해제 | 편저자문세영 | 권수1책
- 〈큰 사전〉(1947-1957)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기획부터 출판까지 30여 년이 걸린 이 사전은 한일병합 직후 주시경의 주도로 편찬한 〈말모이〉를 잇는 것이기도 하다. 또한 이 사전은 1958년 이후 편찬된 국어사전의 젖줄이 되었다. 1958년 이후, 즉 이 사전이 완간된 직후부터 여러 국어사전이 출간되었는데, 이 사...대표표제어〈큰 사전〉(1947-1957) | 편저자조선어학회(한글학회) | 권수6책
- 〈국어학 사전〉(1995)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글맞춤법통일안의 제정, 조선어사전 편찬회로부터 이어받은 각종 사전 편찬 작업, 기관지 한글 발행과 학술활동, 한글 운동 및 한글 순화 운동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한글학회에서는 '말모이'로 알려진 〈조선말 큰사전〉 그리고 〈중사전〉, 〈소사전〉, 〈새한글사전...대표표제어〈국어학 사전〉(1995) 해제 | 편저자 한글학회 | 권수 1책
멀티미디어(60)
-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1)- 김두봉,이규영과 권덕규 외 5주차. 조선어학회 사건에 스러진 별 – 이윤재와 조선어학회 6주차.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2)- 이극로,문세영 외 7주차. 1930년대철자법 논쟁 - 박승빈 8주차. 북한의 근대 문법가들 9주차. 주시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1)- 김두봉,이규영과 권덕규 외 5주차. 조선어학회 사건에 스러진 별 – 이윤재와 조선어학회 6주차.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2)- 이극로,문세영 외 7주차. 1930년대철자법 논쟁 - 박승빈 8주차. 북한의 근대 문법가들 9주차. 주시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1)- 김두봉,이규영과 권덕규 외 5주차. 조선어학회 사건에 스러진 별 – 이윤재와 조선어학회 6주차.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2)- 이극로,문세영 외 7주차. 1930년대철자법 논쟁 - 박승빈 8주차. 북한의 근대 문법가들 9주차. 주시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1)- 김두봉,이규영과 권덕규 외 5주차. 조선어학회 사건에 스러진 별 – 이윤재와 조선어학회 6주차.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2)- 이극로,문세영 외 7주차. 1930년대철자법 논쟁 - 박승빈 8주차. 북한의 근대 문법가들 9주차. 주시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1)- 김두봉,이규영과 권덕규 외 5주차. 조선어학회 사건에 스러진 별 – 이윤재와 조선어학회 6주차. 『말모이』와우리말 지킴이들(2)- 이극로,문세영 외 7주차. 1930년대철자법 논쟁 - 박승빈 8주차. 북한의 근대 문법가들 9주차. 주시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주제어사전(2)
-
말모이 / [언어/언어/문자]
자들의 사망·망명 등으로 출판되지 못하고 현재는 그 일부의 원고가 남아 있다. 현전하는 『말모이』는 표제가 ㅁㅏㄹㅁㅗㅇㅣ로 가로 풀어쓰기로 되어 있으며, ‘알기’·‘본문(本文)’·‘찾기’·‘자획(字劃)찾기’로 짜여져 있다. 청색 원고지에 붓으로 쓴 이 원고본은 판심서명
-
한글적새 / [언어/언어/문자]
말본 ㄱ(소리·씨 몸씨) 59장, 말본 ㄴ(씨 토시) 낙질(落秩), 말본 ㄷ(씨 모임씨·월) 26장, 둘재떼 씨숲(몸모이·토모이) 낙질, 셋재떼 옛말모이 15장, 넷재떼 사투리모이 낙질 등이다. 문법 3권, 문법자료 1권, 고어집 1권, 방언집 1권으로 되어 있으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