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만장굴” 에 대한 검색결과 2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

사전(2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자연환경] 은 그 밑에 계속되는 김녕의 사굴(蛇窟)과 해안까지 연장되는 김녕절굴, 그리고 전체 끝부분의 굴까지가 동일용암동굴계임이 1981년 한국동굴학회와 일본동굴협회의 합동학술조사에 의하여 확인되었고, 이듬해 6월에는 국제화산동굴학회에서 공인...
  • 제주도김녕굴및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 일대에 걸쳐 있는 용암동굴지대. [개설] 1962년 12월 3일 천연기념물 제98호로 지정되었다. 김녕굴과 은 제주도 동북쪽에 있는 용암동굴지대의 대표적 동굴이다. [자연환경]...
  • 김녕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북제주군 구좌읍 동김녕리 에 있는 용암동굴. [개설] 김녕굴과 은 하나의 화산 동굴계에 속하고 있었으나 후에 동굴 천장이 함몰되어 두 개의 동굴로 구분된 것으로, 거문오름 용암동...
    이칭별칭김녕사굴|사굴|만장굴
  • 수산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건을 지니고 있다. 이 화산동굴은 용암동굴로 세계 제7위에 해당하는 동굴로 우리 나라에서는 빌레못굴‧()에 이어 세 번째로 긴 굴이다. 동굴의 지표면은 거의 평탄한 지역에 있는데, 내부지역은 경사가 심한 곳이 많고 그 지형적 변화도 심하다. 이것은...
  • 덕천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일의 동굴시스템인 시스템의 일부분으로서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지는 동굴이다. 풍화를 많이 받아 낙반이 빈번하여 동굴 노출이 심하며 동굴의 규모도 작고 서식생물(棲息生物)로는 거미류만이 있을 뿐이다. 한국의 동굴(문화공보부, 1971) ...

기타자료(1)

  • (교육논단) 용암동굴의 형태해석과 형성과정 연구 -을 중심으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논단) 용암동굴의 형태해석과 형성과정 연구 -을 중심으로- (교육논단) 용암동굴의 형태해석과 형성과정 연구 -을 중심으로- (敎育論壇) 熔岩洞窟의 形態解釋과 形成過程 硏究 -을 中心으로- 교육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신유영 | 사료철명교육제주

주제어사전(7)

  • /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동김녕리에 있는 용암동굴. 주굴(主窟) 8,928m, 총길이 1만685m 중 현재 확인된 길이는 7,400여m. 천연기념물 제98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동굴의 입구는 총 3개로 되어 있다. 은 그 밑에 계속되는 김녕의 사굴(蛇窟)과

  • 제주 김녕굴 및 / 濟州 金寧窟─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 일대에 걸쳐 있는 용암동굴지대. 1962년 12월 3일 천연기념물 제98호로 지정되었다. 김녕굴과 은 제주도 동북쪽에 있는 용암동굴지대의 대표적 동굴이다. 동굴내부는 일부 구간에 낙반이 산재하고 최기에 동굴생성물의 파손이 있었

  • 김녕굴 / 金寧窟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에 있는 용암동굴. 김녕굴과 은 하나의 화산 동굴계에 속하고 있었으나 후에 동굴 천장이 함몰되어 두 개의 동굴로 구분된 것으로, 거문오름 용암동굴계에 해당한다. 동굴들의 총 연장은 15.798m이고, 김녕굴의 총길이는 705m이

  • 수산굴 / 水山窟 [지리/자연지리]

    제7위에 해당하는 동굴로 우리 나라에서는 빌레못굴·()에 이어 세 번째로 긴 굴이다. 동굴의 지표면은 거의 평탄한 지역에 있는데, 내부지역은 경사가 심한 곳이 많고 그 지형적 변화도 심하다. 이것은 용암이 흘러내리기 이전의 지표면의 지형이 복잡하였음을 말해주

  • 덕천굴 / 德泉窟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덕천리에 있는 용암동굴. 길이 232m. 지층은 신생대 제4기에 분출된 표선리현무암층(表善里玄武岩層)에 속한다. 한국동굴학회의 주관으로 이루어진 한일합동조사에 의하면, 이 동굴은 세계 제일의 동굴시스템인 시스템의 일부분으로서 매우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