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만인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3)
사전(47)
- 이만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22∼? 조선 말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도여(道汝). 이황(李滉)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휘명(彙明)이다. 영남만인소의 소두(疏頭) 이만손(李晩孫)의 친족이다. 1858년(철종 9) 전시(殿試)에서 병과(丙科)로...
- 만인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인이 연명하는 정도의 작은 규모였다. 그러나 후대로 내려가면서 1000명대를 능가하는 규모로 더욱 커져갔다. 그리하여 18세기 말 이후에는 1만인 내외의 유생들이 연명한 대규모의 집단 상소도 간혹 나오게 되는데, 이를 일컬어 흔히 만인소라 하게 되었다. 최초의...
- 만인소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881년 영남의 유생 1만여 명이 정부의 개화 정책에 반대하여 올린 상소.정의1881년 영남의 유생 1만여 명이 정부의 개화 정책에 반대하여 올린 상소.[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Maninso | MR표기Manins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영남만인소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881년 영남의 유생 1만여 명이 정부의 개화 정책에 반대하여 올린 상소.정의1881년 영남의 유생 1만여 명이 정부의 개화 정책에 반대하여 올린 상소.[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Yeongnam manin so | MR표기Yŏngnam manin s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강진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는 강력하게 반대하여 1881년 「영남만인소(嶺南萬人疏)」를 지어 사학(邪學)을 이 땅에서 몰아내야 한다고 주장하고, 영남유생들에게 통문을 보내 연합전선을 펴면서 개화정책을 반대하다가 이만손(李晩孫)과 함께 유배되었다. 저서로는 『역암문집』 12권이 있다. ...이칭별칭 진오(晋五)| 역암(?庵)
고서·고문서(24)
- 1851년 병산서원(屛山書院) 통문(通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이 통문은 1851년 2월 1일 병산서원에서 사도세자의 신원을 위해 2월 22일 안동향교에서 개최하는 도회에 옥산서원에서 많이들 참석해달라고 요청하는 내용의 것이다. 이 통문은 1792년(정조 16)에 있었던 사도세자의 신원을 위한 제1차 영남만인소를 언급하며 당시에...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경주 옥산서원
- 李太王實錄資料 17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本府에 推鞫을 설행하였다는 내용으로 『李太王日省錄』(244)에서 채록하였다. 본문에는 영돈령부사 홍순목 등 추국에 참여한 관원들의 명단과 죄인 이만손, 강진규 등을 추국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영남만인소를 올린 유생들을 추국하는 내용이다. 정욱재 2016....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6. 10. 17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太王實錄資料 17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최근 유생들이 번갈아 상소를 하는 문제로 인해 각도의 疏頭들을 불러다 엄하게 신칙하라는 내용으로 『李太王日省錄』(245)에서 채록하였다. 본문에는 최근 일본과의 교류로 인해 상소가 올라오자 이를 해명하고 상소를 금지시키기 위해 지시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영남만인소를...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6. 10. 17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덕도(德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敗 福信武王之子義慈王既降福信據周留城迎王子及刘將與唐兵合 觧圍退保任存後為豊所殺任存即今大興郡是也 黒齒常之西部人也長七尺饒毅有謀畧及義慈王亡常之與十餘人迯去依任存山城不旬日众至二万人蘓定方攻不克唐高宗遺 遣 使招諭乃詣刘仁願降 遅受信 刘仁願至白馬江倭人救扶餘豊者皆敗豊旣悅城陷奔髙句䴡 髙䴡李存...출처전거忠淸道邑誌 | 지역분류평안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덕물도(德勿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敗) 福信(武王之子義慈王旣降福信據周留城迎王子扶餘豊立以爲王引兵圍唐將劉仁願於都城及劉將與羅兵合力解圍退保任存後爲豊所殺任存今大興郡也) 黑齒常之(西部人也長七尺驍毅有謀略及義慈王亡常之與十餘人遊去依任存山城不旬日衆至三萬人蘇定方 ...출처전거輿地圖書 | 지역분류인천광역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2)
- 請萬人疏認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츙쳥도 거는 뎡삼품 리슌면씨가 부에 쳥원기를 황귀비 뎐하를 승봉실로 경향 들이 공의고 만인소를 터이니 상부에셔 위션 인허여 달나고 엿다더라게재일1902년 12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 陞 后萬人疏廳을今移設于南部京約所하옵고...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陞 后萬人疏廳을今移設于南部京約所하옵고將以七月初六日로進伏하오니通文보신 僉君子名帖을今日內修送하고右日上午八點에疏廳으로來會하시오 南部 疏廳 告白게재일1902년 8월 6일 | 기사분류광고
- 陞 后萬人疏廳을今移設于南部京約所하옵고...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陞 后萬人疏廳을今移設于南部京約所하옵고將以七月初六日로進伏하오니通文보신 僉君子名帖을今日內修送하고右日上午八點에疏廳으로來會하시오 南部 疏廳 告白게재일1902년 8월 5일 | 기사분류광고
- 勳院疏廳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만인소쳥은 동 표훈원으로 이뎡얏더라게재일1905년 12월 1일 | 기사분류잡보
- 疏員被捉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토역로 죵로에 회동야 만인소를다 는고로 경무쳥에셔 금지다 더니 그 만인소에 참여려든 라진무씨가 피착엿다더라게재일1902년 12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주제어사전(4)
-
만인소 / 萬人疏 [정치·법제/정치]
는 지방 사족들의 유생 집단이 형성되면서 주도되었다. 18세기 말 이후에는 1만인 내외의 유생들이 연명한 대규모의 집단 상소도 간혹 나오게 되는데, 이를 일컬어 흔히 만인소라 하였다.
-
이만손 / 李晩孫 [종교·철학/유학]
1811년(순조 11)∼1891년(고종 28). 조선 말기의 유학자. 이황의 후손이다. 1881년(고종 18)의 만인소의 소두였다. 전 참판 강진규·이만운, 전 승지 이만유 등 상주·안동 지방 유생들이 연서하여 1881년 2월 고종에게 올렸다. 이것이 <영남만인소>이
-
이만인 / 李晩寅 [종교·철학/유학]
1834년(순조 34)∼1897년(광무 1). 조선 말기 학자. 이황의 후손, 부친 이휘교와 모친 조병주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1877년(고종 14) 제생들에게 강학, 1881년(고종 18) 영남만인소 상소문의 원본을 작성하였다. 1894년(고종 31) 동학농민운
-
황재현 / 黃載顯 [종교·철학/유학]
1848년(헌종 14)∼1903년. 조선 말기의 무인. 1878년 무과에 급제, 선전관에 임명되어 관계에 진출하였다. 1881년 김홍집이《조선책략》을 들여온 것이 발단이 되어 전국이 척사상소로 비등할 때, 영남유생 이만손의 만인소에 이어 충청도 대표로 홍시중과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