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만보산사건” 에 대한 검색결과 5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2)

사전(2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어지게 되면서 분쟁도 격화되어 갔다. 그러나 다행히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은 채 중국인 지주와 주민들이 일단 철수하면서 진정되었다. 그런데 일본 관동군은 장춘 영사관측을 이용하여 조선일보 장춘지국장 김이삼(金利三)을 유인, 에 대한 과장된 허위 특보를 제...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31년 7월 중국 지린성 창춘현 만보산 지역에서 일제의 술책으로 조선인 농민과 중국 농민이 벌인 유혈 사태.
    정의1931년 7월 중국 지린성 창춘현 만보산 지역에서 일제의 술책으로 조선인 농민과 중국 농민이 벌인 유혈 사태.[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Manbosan Sageon | MR표기Manbosan Sak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근대신어 : ()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6486 마항 滿洲萬寶山에서中國農民이朝鮮農民과衝突한事件 만주 만보산에서 중국 농민이 조선 농민과 충돌한 사건 의眞相(別乾坤 42, 1931.8. 4면) 의 진상(別乾坤 42,...
    출전新語辭典[靑年朝鮮社] | 계통분류 [과학지식] 사건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6487 마항 滿洲萬寶山에서中國農民이朝鮮農民과衝突한事件 만주 만보산에서 중국 농민이 조선 농민과 충돌한 사건 의眞相(別乾坤 42, 1931.8. 4면)
    출전新語辭典[民潮社] | 계통분류 [과학지식] 사건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신언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항일기운을 고취시켰다. 그의 언론활동 가운데 특히 돋보이는 것이 1931년 7월에 발생한 ‘()’의 취재보도였다. 그는 이 사건이 한ㆍ중 두 민족을 이간시키려는 일제의 간교한 술책에 기인하고 있다는 점을 정확히 간파, 한인의 중국인 배척운동...
    이칭별칭 은암(隱巖)

단행본(1)

  • 근대 동아시아인의 이산과 정착 [중국해양대학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
    저자 : 이해영(중국해양대학), 김경호(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연구교수), 김태웅(서울대학교 ... | 출판사 : 도서출판 경진 | 출판일 : 2010.12.30
    분야역사 | 유형단행본
    사서사: ''의 문학화를 중심으로 (4)만주국의 실체 고발하기와 사회주의자들의 반만항일투쟁 형상화: 강경애의 간도 체험 작품을 중심으로 (5)일제강점기 간도 이주와 그 형상화의 두 양상: 안수길의《북간도》와 리근전의《

논문(2)

고서·고문서(2)

  • 흑룡강성, 조선민족출판사, 미술, 편집, 일, 함씨, 서신, 사연, 할아버지, 사적, 함씨, 31운동, 참가, 활동, 20년대초, 길림일대, 항일운동, 1931년, , 일본인, 만주일보사, 이용, 왜곡, 선전, 중한민족, 감정, 만주일보사, 습격, 암살, 19...
    대표표제어 | 성씨
  • 붖잡혀가, 중국, 대련, 려순가목, 고생, 해방, 1944년, 12월, 집, 돌아와, 가목, 얻은, 질병, 고생, 1946년, 8월, 도라가섯씀니다, 사실역사, 해명, 알만한, 분들, 사망, 흘러간, 력사, 허사, 되였기에, 안타갑찌않캣슴니까, 고국역사, 사실...
    대표표제어가정안치 | 성씨

기초학문(9)

  • 과 중국공산당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손승회, 게재일 : 2003
    31677 손승회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양사학회 2003 과 중국공산당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소설 『萬寶山』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손승회, 게재일 : 2006
    02857 손승회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6 소설 『萬寶山』과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과 중국의 언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손승회, 게재일 : 2007
    24622 손승회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역사문화연구소 2007 과 중국의 언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지역너머의 (1931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손승회, 게재일 : 2007
    20749 손승회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지역너머의 (1931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과 동아시아 기억의 터 - 한국인들의 기억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3
    70956 한국연구재단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3 과 동아시아 기억의 터 - 한국인들의 기억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
    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17)

  • 민세안재홍전집 : 政治的試鍊期이다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703 1931 7 6 1 1 安在鴻(무기명) 안재홍 政治的試鍊期이다 失策을거듭하면斷然히不可 신문 조선일보 사설 사회 직접자료 1권 , 滿洲 A19310706조선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一九三二年度 新聞界의展望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會, 滿洲事變, , 平壤事件, 國際聯盟 B19320115비판01
    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출판경찰보 119호 애국화도 현대항일영웅전사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대항일영웅전사, 본서는 () 및 만주사변(滿洲事變)에 관한, 그림을 곁들인 이야기책인데, 전반적으로 황군의 행동을 곡설하고, 그것이 위신 실추에 연관되며, 항일투쟁을 고취하는 것이기 때문에 금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일제강점...
    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119호 애국화도 현대항일영웅전사 | 출판물명애국화도(愛國畫圖) 현대항일영웅전사(現代抗日英雄戰史)
  • 출판경찰보 113호 부흥초급중학교과서 본국사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중국어 , 만주사건 본서(本書)는 중등학생용(中等學生用)의 교재(敎材)로서, ‘국난시기(國難時期)’라는 제목의 기사는 황군(皇軍)이 조선민(朝鮮民)을 선동(煽動)하여 재지지나민(在支支那民)의 토지약탈(土地掠奪)‧재산몰수(財産沒收) 등을 하게 만들고,...
    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113호 부흥초급중학교과서 본국사 | 출판물명부흥초급중학교과서(復興初級中學敎科書) 본국사(本國史) 제4책(第四冊)
  • 출판경찰보 101호 삼민주의월간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일본 언론·출판 문헌 근대 출판경찰보 101호 삼민주의월간 삼민주의월간(三民主義月刊) 제3권 제5기 미기재 미기재 광주(廣州) 일본_1937년 1월 28일 금지 안녕 중국어 , 대지 경제침략 ‘일본의
    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101호 삼민주의월간 | 출판물명삼민주의월간(三民主義月刊) 제3권 제5기

주제어사전(3)

  • / [역사/근대사]

    1931년 7월 2일 중국 길림성 장춘현 만보산 지역에서 한인 농민과 중국 농민 사이에 일어났던 충돌 사건. 만보산 지역에 이주해 온 조선 농민 38가구가 쑹화 강에서 물을 끌어오는 수로 공사를 진행하자, 인근 중국 농민들이 항의. 이때 경찰이 자국민 보호라는 명분으로

  • 최금경 / 崔金莖 [역사/근대사]

    에 있을 때 조선총독부 실정으로 일어난 ()으로 한국인과 중국인 간의 갈등이 깊어지자, 같은 해 7월 김만유(金萬有)·홍병모(洪炳模) 등과 함께 의 진실을 담은 격문 2,000여 매를 인쇄하여 홍병모·김만유·이동재(李銅材)·유영경(柳榮京) 등

  • 김기추 / 金基秋 [종교·철학/불교]

    은밀히 활동하였다. 1928년초에는 일본의 사상범에 대한 검거선풍에 의해서 체포되어 〈치안유지법〉 위반죄로 징역 3년을 선고받았다. 1931년 7월 이 일어났을 때는 부산의 중국음식점 동반루를 부수고 일본형사들에게 쫓기어 만주로 가서 박대좌라는 한국인 장교 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