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마패” 에 대한 검색결과 20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1)

사전(4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역마(驛馬)의 지급을 규정하는 패. [내용] 발(發)라고도 한다. 조선시대에는 공무로 출장가는 관원은 주로 역마를 이용하였다. 이 때 상서원으로부터 발급하는 를 증표로 삼았다. 이와 같은 의 연혁은 고려 원종 때에...
    이칭별칭발마패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에 관리나 왕족이 공사로 지방에 나갈 때 역마 사용 자격을 증명하던 둥근 구리판의 표지.
    정의조선시대에 관리나 왕족이 공사로 지방에 나갈 때 역마 사용 자격을 증명하던 둥근 구리판의 표지.[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mapae | MR표기map’a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發) 목(木), 순패(巡牌), 역마(驛馬) 정치행정/인신·패·표 물품 도구 대한민국 조선시대 조선시대 윤훈표 역마(驛馬) 사용 나무, 구리, 종이 ...
    동의어발마패(發馬牌) | 관련어목마패(木馬牌), 순패(巡牌), 역마(驛馬)
  • 이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데 기여한 공으로 1401년(태종 1) 익대좌명공신(翊戴佐命功臣) 4등에 책록되고 영양군(永陽君)에 봉작되었다. 그 뒤 좌부대언(左副代言)ㆍ참지의정부사를 거쳐 1410년 예조ㆍ호조 판서에 이르렀으며, 1412년 지의정부사로 있다가 1414년 병조판서가 되어 ...
    이칭별칭 정경(貞景)|영양군(永陽君)
  • 야순동패(夜巡銅牌)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위하여 밤에 궁중과 도성(都城) 안팎을 순찰하던 군사들이 순라를 돌 때 지니던 표신이다. [용례] 壽童希顔蓀應箕等 議崔孟孫盜事<孟孫以尙瑞院書吏 偸因啓覆命議政府> 啓曰 律曰盜起馬御寶聖旨則斬 我國則無聖旨御押 且律云盜衙門印信及夜巡銅牌皆斬 以此觀之 則盜起馬御...
    관련어경첨(更籤), 표신(標信)

고서·고문서(139)

  • 76721 B076721 동래 東萊 정치행정 萬機要覽 軍政編一 驛遞 [總例] 九, 兵使二二․一六, 水使一三, 全羅監司四一․三二․二五․一六, 兵使一五․左水使一三, 右水使二二․一五, 濟州牧使二一․一六, 慶尙監司三一․二...
    출처전거萬機要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1751 B071751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36年 2月 11日_013 ○李㙫, 以兵曹言啓曰, 卽接尙瑞院所報, 則倭人處, 回答書契, 齎去譯官鄭翰益, 上年八月, 下去東萊時, 髮字號受去矣。 聞其子訃, 罔夜上來之際, 止宿於黃山驛村, 行到鵲院近處, 逢賊十...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사촌누님 최 남자 길림성(吉林省) 도문시(图们市) 월청향 촌 2 2 사촌누님, 소식, 길림성, 도문시, 월청향, ...
    대표표제어사촌누님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서울 정 남자 길림성(吉林省) 도문시(图们市) 월청향(月晴乡) 촌 1 1 서울, 우리, 새해, 명절, 뜨거운, 인...
    대표표제어서울 | 성씨
  • 조선시대 역학서:1778_방언집석_太和殿 죠회밧 뎐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
    뎐 朝房 죠방 牌樓 패루 牌匾 현판 品級山 품패 擎天柱 경텬쥬 內苑裏 대궐 후원 下 궐문밧 하 簷網 쳠하의 텰망 獸頭 즛개 貓頭尾 막새
    편명1778_방언집석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구술자료(1)

  • 해버려갖고 암행어사. 뭐라고 하지? [조사자: ?] 아니에요. 암행어사 뭐요. [조사자: 출도?] 네. “출도요” 하고 이렇게 소리를 지르는 거예요. 그 소리를 듣고 잔치 벌였던 사람들이 막 도망을 가더라고요. 이렇게 막 도망을 가갖고 숨은 사람도 있고 막
    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김설화 [중국(한국족), 여, 1983년생, 유학 8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신문·잡지(13)

  • 査覈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의병대장민죵식이가군즁에령고각도에통문을엇지마시고로일본군령부에셔그리허 대단즁 이라더라
    게재일1906년 6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還収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부에셔 평양군슈 리슈옥씨의게 뎐훈기 향록젼 슈쇄일관은 거론치말고 마와 공문은 즉각에 부로 상송케라 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3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行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대구군슈 리범셕씨가 부로 뎐보기를 찰리 박졔흥을 착슈 로 임의 관찰부에 젼칙야 관찰부에셔  본군에 훈칙엿스나 아즉지 착슈치 못엿데 지금 박졔흥이가 를쳐셔 대구 형리에게 로문고 방장 입셩려 오니 엇더케 거랴 엿더라
    게재일1902년 8월 18일 | 기사분류잡보
  • 뎡규원 쟝원셥이란사이를 만들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뎡규원 쟝원셥이란사이를 만들어 가지고 가어 노릇을 랴다가 법샤에 피착이 되엿 쳥파 사 김윤죠 김츈화 량인은 역졸 노릇을 랴다가 도망 엿다더라
    게재일1899년 11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우표와 얘기 박용구 40 우표전시회의 심사에 제안함 정종휴 45 일본 미인화 우표 씨리이즈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2

기타자료(2)

  • 묘포유적(苗圃遺址) [발해 네트워크의 역사적 위상: 육로, 수로 그리고 해로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역사 유적 고대 묘포유적(苗圃遺址) 중국 묘포유적(苗圃遺址) 주거유적 발해 길림성(吉林省) 도문시(圖們市) 월정향(月睛鄕) 묘포유적.pdf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
    대표표제어마패묘포유적(馬牌苗圃遺址) | 유적소재국가중국 | 유적명마패묘포유적(馬牌苗圃遺址)
  • 24개돌유적(二十四塊石) [발해 네트워크의 역사적 위상: 육로, 수로 그리고 해로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역사 유적 고대 24개돌유적(二十四塊石) 중국 24개돌(二十四塊石) 건축유적 발해~요·금 길림성 도문시(圖們市) 월청향(月睛鄕) 촌3대(村三隊) 24개돌.pdf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대표표제어마패24개돌유적(馬牌二十四塊石) | 유적소재국가중국 | 유적명마패24개돌(馬牌二十四塊石)

주제어사전(3)

  • / [정치·법제/법제·행정]

    역마의 지급을 규정하는 패. 조선시대에는 공무로 출장가는 관원은 주로 역마를 이용하였다. 이 때 상서원으로부터 발급하는 를 증표로 삼았다. 의 한 면에는 대소 관원의 등급에 따라 마필의 수효를 새기고 다른 한 면에는 자호(字號)와 연·월 및 상서원인(尙瑞院印

  • 부직장 / 副直長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상서원의 정8품 관직. 조선시대 상서원은 새보(옥새와 옥보)·부패(병부·순패·)·절술(신표와 대부)을 관장하던 기관이다. 1466년(세조 12) 1월의 관제개혁에서는 상서사가 상서원으로 승격되면서 윤을 정(正)으로, 승을 판관으로, 녹사를 부직장으로 고

  • 감결 / 甘結 [역사/조선시대사]

    해 수령에게 내릴 수 있다. 그 때에는 관인(官印) 대신 ()를 감결의 몇 군데에 찍는다.서식은 기두(起頭)에 ‘甘結某邑(감결모읍)’ 또는 ‘甘結各邑(감결각읍)’이라 쓰고, 내용은 일정한 양식이 없이 지시, 명령하는 내용을 쓴다. 결사(結辭)도 지시, 명령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