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마전” 에 대한 검색결과 1,70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94)

사전(33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기도 연천 지역의 옛 지명. [내용] 본래 고구려 때의 천(淺, 또는 泥沙波忽)인데, 신라 경덕왕 때임단(臨湍)으로 고쳐 우봉군(牛峰郡)의 영현으로 삼았다. 고려 초기에 으로 고쳤고, 1018년(현종 9)장단(長...
    이칭별칭마전천(麻田淺)|니사파홀(泥沙波忽)|임단(臨湍)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신라시대 공물을 마련하기 위하여 촌락공동으로 삼[麻]을 재배하던 토지. [내용] ≪신라촌락문서 新羅村落文書≫에 기재된 은 각 촌에 면적이 거의 균등하게 배분되고 있다. 그러나 그 귀속관계를 보이는 설명이 기록되어 있지 않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신라시대의 관서. [내용] 경덕왕 때 일시 자인방(梓人房)으로 고친 일이 있다. 내성(內省) 소속으로 토기의 제작, 생산을 담당했다. 소속관원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三國史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신라시대의 관서. [내용] 경덕왕 때 일시 직방국(織紡局)으로 고친 일이 있다. 내성(內省)에 소속되어 국왕의 의복 제작을 담당하였다. 소속관원으로 간(干) 1인, 사(史) 8인, 종사지(從舍知) 4인을 두었다. 三國...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기록이 보이기는 하나, 그 신빙성에 관해서는 많은 의문이 따른다. 983년(성종 2)에 지방 공해전을 선정할 때 역전(驛田)을 둘 것을 제정한 것이 아마 그 시초가 아닐까 생각한다. 그러나 이 때 설정된 지방 공해전의 규정에는 에 관한 구체적 항목은 없다. ...

고서·고문서(938)

  • 世宗實錄地理志 卷第一百四十八 京畿都觀察 縣 45 本高句麗 淺縣新羅改名臨湍爲牛峯郡領縣高麗改今名顯宗戊午屬長 湍任內爲尙書都省所掌文宗壬寅直隷開城府後置監務官後革監務合于積城縣恭讓王己巳復置監務本朝太宗癸巳例改爲縣監四境東距漣川十三里西距長湍十二里南距積城八里北距朔寧十八里戶一百四...
    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얼 김 남자 길림성(吉林省) 용정시(龙井市) 노두구진 화평호동 30조 1호 2 1 얼, 보내주신, 달력, 애창가요...
    대표표제어얼마전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얼 김 여자 대구광역시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조선족제2중학교 3 3 얼, 조선족들, 성씨들, 묶어놓...
    대표표제어얼마전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얼 강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목릉현(穆棱县) 하서향 갱신촌 2 1 얼, 오매에도, 바라던, 기타교본, 받게되었...
    대표표제어얼마전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얼 김 남자 내몽골 자치구(内蒙古自治区) 액이고납시 1 1 얼, 보내주신, 라지오고장수리책, 받았서요, 천만감사, 고...
    대표표제어얼마전 | 성씨

구술자료(14)

  • 암 전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1-01-13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상동면 | 제보자김영필
  • 마굴소와 암(岩)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 이야기에 이어서 “그건 그렇고 인자”라고 말하고 구술하였다. 앞 이야기에 비하여 자세하게 구술하였다.*
    조사일시1981-01-12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상동면 | 제보자김태욱
  • 옛 지명이 삼복골인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이야기 후에 바로 다음을 구연하였다.
    조사일시2010년 7월 10일 (토) | 조사장소임실군 신평면 용암리 94-1번지 북창마을 제보자 자택 | 제보자신상철
  • 정득만 대담조사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료이다. 2) 음질 상 정득만 소완준 박춘재 김수현 김순태 이창배 12잡가 방물가 장타령 선소리 산타령 삼개패 동막패 왕십리패 성북동패 청패 진고개패 호조다리패 배오개다리패 답교놀이 탈춤 소고 시조;잡가;연희음악; 1985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시조;잡가;연희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정득만
  • 함경도 이원 민속놀이 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테이프에는 박성주(朴成柱)가 얘기하는 함경남도 이원 지방 민속놀이에 대한 얘기가 담겨져있다. 진치기나 진떨이라고 부르던 놀이는 함경도에 없었으며 가메싸움이라고 불리던 기을 학교에서 했다고 한다. 버들피리와 풀피리를 하였고 이것을 회떼기라고는 하지 않았다. 풀피리는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성주

기초학문(2)

  • 중동철도에서의 사업전개와 경영실태 : 아사다 마사후미(雅文)의 『中東鉄道経営史:ロシアと満州1896-1935』를 읽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3
    71764 한국연구재단 만주학회 2013 중동철도에서의 사업전개와 경영실태 : 아사다 마사후미(雅文)의 『中東鉄道経営史:ロシアと満州1896-1935』를 읽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中東鉄道における事業展開と経営実態: 雅文『中東鉄道経営史ーーロシアと「満洲」1896-1935』を読んで(중동철도에서의 사업전개와 경영실태 : 아사다 마사후미(雅文)의 『中東鉄道経営史:ロシアと満州1896-1935』를 읽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3
    69779 한국연구재단 中国研究所 2013 中東鉄道における事業展開と経営実態: 雅文『中東鉄道経営史ーーロシアと「満洲」1896-1935』を読んで(중동철도에서의 사업전개와 경영실태 : 아사다 마사후미(雅文)의 『中東鉄道経営史:ロシアと満州1
    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353)

  • 溫一(吉田商店支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溫一(吉田商店支店) 부산 溫一 吉田商店支店 富平町2-76 - - 장유 미소(味噌) - 13 - 釜山商工名錄, 193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麻田溫一(吉田商店支店) | 지역부산 | 품목- | 영업종목장유 미소(味噌) | 자료출처釜山商工名錄, 1937년
  • 조선출판경찰월보 005호 김승묵 복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05호 김승묵 복(伏殿) 미기재 김승묵(金昇黙) 경성(京城) 조선_1929년 1월 10일 불허가 치안 미기재 복 경북(慶北) 모 부호의 생전의 사실을...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05호 김승묵 복마전 | 출판물명복마전(伏魔殿)
  • 금번에 법국황셩에셔 유명 활동사진긔...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금번에 법국황셩에셔 유명 활동사진긔계가 도야 명일부터 시작야 일하오 칠뎜반으로붓터 구시지 활동오니 사방쳠군 림홈 쳐소 문밧 다리 동편 벽둘집 입쟝표 상등신화 三十젼 동 하등 동 十五젼 法國人 告白
    게재일1907년 4월 23일 | 기사분류광고
  • 금번에 법국황셩에셔 유명 활동사진긔...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금번에 법국황셩에셔 유명 활동사진긔계가 도야 명일부터 시작야 일하오 칠뎜반으로붓터 구시지 활동오니 사방쳠군 림홈 쳐소 문밧 다리 동편 벽돌집 입쟝표 상등신화 三十젼 동 하등 동 十五젼 法國人 告白
    게재일1907년 4월 19일 | 기사분류광고
  • 금번에 법국황셩에셔 유명 활동사진긔...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금번에 법국황셩에셔 유명 활동사진긔계가 도야 명일부터 시작야 일하오 칠뎜반으로붓터 구시지 활동오니 사방쳠군 림홈 쳐소 문밧 다리 동편 벽둘집 입쟝표 상등신화 三十젼 동 하등 동 十五젼 法國人 告白
    게재일1907년 4월 20일 | 기사분류광고

멀티미디어(9)

기타자료(44)

  • 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6563 남한 경성 경복중학교 소화19년 4월 현재 동창회 회원명부 1944 112면 현;現 경성부 청진정 48 제16회 1941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복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후조;厚造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6770 남한 전북 전주사범학교 2-43 제2회 졸업기념 n.r. 7면 후조;厚造 제2회
    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원경;金瑗經;후미자;フミ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6682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慶雲 1942―12―03 78면 (학과)본과신제도 김원경;金瑗經;후미자;フミ子 경성부 안국정 63-1 32회 1942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cc2-0263 유구 2014-07-31_0.6346399_전주 유적(I‧II구역) 표지.jpg 전주 유적(I‧II구역) 全州 遺蹟(I‧II區域) 2008/09 호남문화재연구원/전주시 376 윤덕향,이영철,한수영,박수현, 조희진...
    발행연도2008/09 | 발굴기관호남문화재연구원/전주시 | 발굴지역전라북도
  • cc2-0264 유구 2014-07-31_0.2045252_전주 유적(III구역) 표지.jpg 전주 유적(III구역) 全州 遺蹟(III區域) 2008 호남문화재연구원/전주시 511 윤덕향,이영철,한수영,박수현,조희진,신흥남,김상...
    발행연도2008 | 발굴기관호남문화재연구원/전주시 | 발굴지역전라북도

주제어사전(13)

  • / [정치·법제/법제·행정]

    역마를 기르기 위해 그 재원으로서 설치된 토지. 고려시대에 이라는 토지 종목이 존재했다는 것은 1388년(우왕 14)에 조준(趙浚)의 상소문 내용에 “마위구분전(馬位口分田)은 전례대로 절급하라.”는 대목이 있는 사실로 미루어 확인할 수가 있지만, 그 구체적 내용

  • /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연천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구려 때의 천(淺, 또는 泥沙波忽)인데, 신라 경덕왕 때임단(臨湍)으로 고쳐 우봉군(牛峰郡)의 영현으로 삼았다. 고려 초기에 으로 고쳤고, 1018년(현종 9)장단(長湍)에 예속시켜 상서도성(尙書都省)의 소관이 되었다.

  • 군읍지 / 郡邑誌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군(현 연천군 미산면)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필사본. 표지에는 ‘邑誌(읍지)’로 되어 있다. 장서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1899년 군에서 편사(編寫)한 이본(異本) 1책과 고종 연간 편찬된

  • 권황 / 權滉 [종교·철학/유학]

    1543(중종 38)∼1641(인조 19).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권상, 어머니는 나운걸의 딸이다. 1576년(선조 9) 진사시에 합격하고, 음보로 의금부도사가 되었다. 형조좌랑, 호조좌랑, 장악원첨정, 한산군수, 군수를 역임하였다.

  • 이시항 / 李時沆 [종교·철학/유학]

    1690년(숙종 16)∼1749년(영조 25). 조선 후기 문신. 이강 후손, 증조는 이종배, 조부는 이분. 부친 이후식과 모친 김총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숙부는 이후영이다. 군수 시절 백성들 구휼에 힘써 편히 살게 해 주었다. 슬하에 6남 1녀를 두었는데,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