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마식령산맥”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7)
사전(47)
- 마식령산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낭림산맥의 마식령 부근에서 분기하여 강원도와 황해도의 도계를 따라 남서주하여 경기도 개성과 강화도에까지 이르는 산맥. [개설] 이 산맥은 추가령(楸哥嶺) 구조곡(構造谷)의 북측을 따라 나란히 달리며 임진강과 예성강의 분수령을 이룬다. 낭림...
- 서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무렵에도 그대로 서곡이라 하였으며, 조선시대도 같은 이름으로 계속되었다. 서쪽에는 백암산(白巖山)ㆍ저두봉(猪頭峯) 등을 비롯한 높은 산이 있는 마식령산맥이 솟아 있고, 동쪽은 대사봉(大寺峯)을 경계로 하여 문산면(文山面)과 접하면서 비옥한 안변평야에 임해 있다....이칭별칭경곡현(0xB884谷縣)|수을탄현(首乙呑縣)
- 문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9) 그대로 소속시켰다가 뒤에 문산(文山)으로 한자이름을 바꾸었다. 조선시대에는 문산사(文山社)로 되었다가 경술국치 이후 석왕사면이 되었다. 문산현의 서쪽은 설봉산(雪峰山)을 비롯한 높은 산이 솟은 마식령산맥의 동사면을 이루고, 동쪽은 비옥한 안변평...이칭별칭가지달현(加支達縣)|청산(靑山)|문산현(汶山縣)
- 동백년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함경남도 문천군 풍하면과 황해도 곡산군 동촌면‧이령면에 걸쳐 있는 산. [내용] 높이 1,246m. 마식령산맥에서 언진산맥이 분기하는 곳에 위치한다. 산의 동쪽 계곡으로 문천군 풍상면에서 발원하는 임진강이 남쪽으로 흐른다. ...
- 마식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함경남도(咸鏡南道) 문천군(文川郡) 풍산면 과 문천면 사이에 있는 고개. [개설] 강원도(江原道)와 황해도(黃海道)의 경계를 이루는 마식령산맥(馬息嶺山脈)의 최북단에 있는 고춘봉(高春峯...이칭별칭마수령(馬樹嶺)
주제어사전(10)
-
마식령산맥 / 馬息嶺山脈 [지리/자연지리]
낭림산맥의 마식령 부근에서 분기하여 강원도와 황해도의 도계를 따라 남서주하여 경기도 개성과 강화도에까지 이르는 산맥. 이 산맥은 추가령(楸哥嶺) 구조곡(構造谷)의 북측을 따라 나란히 달리며 임진강과 예성강의 분수령을 이룬다. 낭림산맥에서 분기할 때는 해발고도가 1,00
-
동백년산 / 東百年山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문천군 풍하면과 황해도 곡산군 동촌면·이령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246m. 마식령산맥에서 언진산맥이 분기하는 곳에 위치한다. 산의 동쪽 계곡으로 문천군 풍상면에서 발원하는 임진강이 남쪽으로 흐른다. 산은 전체적으로 험악하고 가파른데, 특히 북동사면은
-
두류산 / 頭流山 [지리/자연지리]
평안남도 양덕군 구룡리와 강원도 천내군 동흥리, 법동군 용포리의 경계에 있는 산. 두류산의 높이는 해발 1,323m로 마식령산맥에 속하며, 북서쪽으로 재령산(載靈山, 1,208m)에 이어진다. 문천면에서 남서쪽으로 약 25㎞ 떨어져 있고 원산시에서 서쪽으로 약 35㎞
-
명지덕산 / 明地德山 [지리/자연지리]
황해도 곡산군 운중면과 강원도 이천군 산내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911m. 동북쪽의 이덕산(梨德山, 1,298m)·봉황산(鳳凰山, 1,250m)·입암산(立巖山, 1,107m) 등과 함께 마식령산맥의 주봉을 이루면서 서남방향으로 길게 내려뻗고 있다. 산세를 살펴보면
-
문산 / 文山 [지리/인문지리]
. 조선시대에는 문산사(文山社)로 되었다가 경술국치 이후 석왕사면이 되었다. 문산현의 서쪽은 설봉산(雪峰山)을 비롯한 높은 산이 솟은 마식령산맥의 동사면을 이루고, 동쪽은 비옥한 안변평야가 전개되어 예로부터 농경 중심지로 알려진 지역이다. 서울에서 철령을 거쳐 관북지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