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마식령” 에 대한 검색결과 10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9)

사전(6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함경남도(咸鏡南道) 문천군(文川郡) 풍산면 과 문천면 사이에 있는 고개. [개설] 강원도(江原道)와 황해도(黃海道)의 경계를 이루는 산맥(山脈)의 최북단에 있는 고춘봉(高春峯...
    이칭별칭마수령(馬樹嶺)
  • 산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낭림산맥의 부근에서 분기하여 강원도와 황해도의 도계를 따라 남서주하여 경기도 개성과 강화도에까지 이르는 산맥. [개설] 이 산맥은 추가령(楸哥嶺) 구조곡(構造谷)의 북측을 따라 나란히 달리며 임진강과 예성강의 분수령을 이룬다. 낭...
  • 복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지류인 서곡천(瑞谷川)이 형성한 충적평야인 안변평야의 중심부를 차지하는 농경의 중심지이다. 예로부터 쌀ㆍ보리ㆍ옥수수 등을 비롯하여 콩ㆍ팥ㆍ사과 등 농산물의 산출이 많은 곳으로 유명하였다. 또한, 남쪽에 철령(鐵嶺), 서쪽에 () 등의 관문이 있어서 관...
    이칭별칭복령(福靈)|복녕향(福寧鄕)|복평향(福平鄕)
  • 법동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있던 마을이라 하여 비롯된 지명이다. [자연환경] 법동군은 강원도 영서 북부 고원지대에 속한다. 서부에는 아호비령산맥(阿虎飛嶺山脈), 북부 및 동부에는 산맥(山脈)이 뻗어 있으며, 여기에는 두류산(1,323m)‧저두봉(1,340m)...
  • 서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무렵에도 그대로 서곡이라 하였으며, 조선시대도 같은 이름으로 계속되었다. 서쪽에는 백암산(白巖山)ㆍ저두봉(猪頭峯) 등을 비롯한 높은 산이 있는 산맥이 솟아 있고, 동쪽은 대사봉(大寺峯)을 경계로 하여 문산면(文山面)과 접하면서 비옥한 안변평야에 임해 있다....
    이칭별칭경곡현(0xB884谷縣)|수을탄현(首乙呑縣)

고서·고문서(26)

  • 在朝鮮國仁川、元山、釜山三口, 今年應行擴充之閒行里程, 玆由彼此委任大臣議訂, 開列于左。 第二條, 仁川口, 東限安山、始興、果川, 東北限陽川、金浦, 北限江華島。 元山口, 西限德源府管轄, 南限安邊府管轄古龍池院, 北限文川郡管轄業加直。 釜山口, 東限機張, 西限金海, 南限鳴湖,...
    출처전거高宗實錄 | 지역분류인천광역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전경이다. 원산시 송도원에 있는 해수욕장은 700여 년 전 이곳 주민들이 바닷바람과 모래의 이동을 막기 위하여 소나무를 옮겨심기 시작한 때부터 여기에 솔밭이 생겼으며 19세기 말, 20세기 초부터 해수욕장으로 이용되었다. 송도원 해수욕장은 산줄기에서 뻗어 내린...
    자료명송도원 해수욕장 조탕 | 발행처梅田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조선 제일이라 칭하는 송도원 원산 해수욕장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
    해수욕장은 700여 년 전 이곳 주민들이 바닷바람과 모래의 이동을 막기 위하여 소나무를 옮겨심기 시작한 때부터 여기에 솔밭이 생겼으며 19세기 말, 20세기 초부터 해수욕장으로 이용되었다. 송도원 해수욕장은 산줄기에서 뻗어 내린 높고 낮은 수려한 산줄기들과 동해...
    자료명조선 제일이라 칭하는 송도원 원산 해수욕장 | 발행처元山府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기에 솔밭이 생겼으며 19세기 말, 20세기 초부터 해수욕장으로 이용되었다. 송도원 해수욕장은 산줄기에서 뻗어 내린 높고 낮은 수려한 산줄기들과 동해의 맑고 푸른 물결, 바다 기슭을 따라 펼쳐진 흰 모래밭과 붉게 피는 해당화, 사철 푸른 소나무숲들이 하나로 잘...
    자료명송도원 해수욕장 | 발행처梅田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시작한 때부터 여기에 솔밭이 생겼으며 19세기 말, 20세기 초부터 해수욕장으로 이용되었다. 송도원 해수욕장은 산줄기에서 뻗어 내린 높고 낮은 수려한 산줄기들과 동해의 맑고 푸른 물결, 바다 기슭을 따라 펼쳐진 흰 모래밭과 붉게 피는 해당화, 사철 푸른 소나무숲...
    자료명송도원 해수욕장 대여 별장 | 발행처梅田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신문·잡지(1)

  • 1947년 12월 6일 357 서창훈(徐昌勳) 원산시 철산리 16번지 강원인민보사 성 김화군, 김성대교, 인제군, 북면, 철원군, 이천군, 회양군, 영북면, 문천군, 덕원면, 김성, 염철조, 이춘성, 정실조, 엄진설, 김재영, 박창□,...
    대표표제어강원인민보_1947_1206_03 | 날짜1947년 12월 6일 | 책임주필서창훈(徐昌勳)

주제어사전(14)

  • /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咸鏡南道) 문천군(文川郡) 풍산면과 문천면 사이에 있는 고개. 의 동남쪽에 있는 철령이 서울을 비롯한 영서지방과 관북지방을 연락하는 교통의 요지라고 한다면, 은 관북지방과 평안남도의 동부지역 및 황해도 등의 관서지방을 연결하는 주요 교통로였다. 특

  • 산맥 / 山脈 [지리/자연지리]

    낭림산맥의 부근에서 분기하여 강원도와 황해도의 도계를 따라 남서주하여 경기도 개성과 강화도에까지 이르는 산맥. 이 산맥은 추가령(楸哥嶺) 구조곡(構造谷)의 북측을 따라 나란히 달리며 임진강과 예성강의 분수령을 이룬다. 낭림산맥에서 분기할 때는 해발고도가 1,0

  • 가릉령 / 加陵嶺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후창군 칠평면 대흥동과 함경남도 장진군 군내면 삼포리 사이에 있는 고개. 높이 1,440m. 예로부터 아득령(牙得嶺)·검산령(劍山嶺)·거차령(巨次嶺)·기린령(麒麟嶺) 및 () 등과 함께 낭림산맥을 넘어 관북지방과 관서지방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로의

  • 복령 / 福令 [지리/인문지리]

    롯하여 콩ㆍ팥ㆍ사과 등 농산물의 산출이 많은 곳으로 유명하였다. 또한, 남쪽에 철령(鐵嶺), 서쪽에 () 등의 관문이 있어서 관북지방을 경략하는 중요한 곳이었다.

  • 동백년산 / 東百年山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문천군 풍하면과 황해도 곡산군 동촌면·이령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246m. 산맥에서 언진산맥이 분기하는 곳에 위치한다. 산의 동쪽 계곡으로 문천군 풍상면에서 발원하는 임진강이 남쪽으로 흐른다. 산은 전체적으로 험악하고 가파른데, 특히 북동사면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