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마상재” 에 대한 검색결과 17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1)

사전(15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없으나, 1362년 7월에 이성계(李成桂)가 원군과 싸울 때 적장이 찌르는 창을 다음에 설명하는 의 다섯번째 동작으로 피했다고 하므로, 고려 때 이를 행했을 것이라고 짐작된다. 또 1619년(광해군 11)에 서울의 살꽂이[箭串]에서 임금이 참석한 가운데 재...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달리는 말 위에서 기마수‧마상재인이 갖가지 재주를 부리는 기예.
    정의달리는 말 위에서 기마수‧마상재인이 갖가지 재주를 부리는 기예.[두산백과] | 문광부표기masangjae | MR표기masangja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 【정의 및 이칭】 ()는 말을 타면서 재주를 부리는 기예로, 군사훈련의 목적성을 가진 무예의 일종이다. 의 연행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숙련된 기마술이 전제되므로, 말을 다루는 기술과 예술성을 갖춘 전문인이 연행한다.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2794 놀이 () 달리는 말 위에서 여러 가지 기예를 부리는 무예. 원래는 격구처럼 말 타는 기술을 닦기 위한 군사훈련 종목이었으며 흔히 마희(馬戱) ‧ 곡마(曲馬) ‧ 말광대 ‧ 마재(馬才)라고도 하였...
    유형분류놀이
  • 도(圖)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2796 유물 도(圖) ()를 그린 육필(肉筆) 지본착색화(紙本着色畵). 18세기 중기에 가부키(歌舞伎)의 간판을 제작한 도리파(鳥居派) 일문(一門)인 도리 기요노부(鳥居淸信, 1702-17...
    유형분류유물

단행본(1)

  • 한국전통연희총서4 동물재주부리기 동물가장가면희 [한국전통연희총서 | 고려대학교]
    저자 : 김지훈, 하을란, 김태동 ...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201130
    동물재주부리기는 산악散樂․백희百戱라는 이름으로 불린 동아시아 공동의 전통연희 종목 가운데 하나이다. 동물가장가면희는 연희자들이 각종 동물을 형상화한 가면을 쓰고 동물로 분장해 극적인 장면을 연출하는 전통연희이다. 말놀이는 인간이 수렵․목축을 하던 시대부터 있었을 것이다...

고서·고문서(13)

  • 大駕至鍊戎臺閱武,觀有述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010 詩集 卷一 ITKC_MP_0597A_0010_020_2330 大駕至鍊戎臺閱武,觀有述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
    권차명詩集 卷一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선좌승타구포:조선풍속자료집설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조선총독부 중추원에서 선(扇)․좌승(左繩)․타구(打毬)․포(匏)에 대하여 조사한 책으로 535매로 구성되어 있다. 중추원 촉탁 이마무라 도모(今村鞆)이 집필하였으며 1937년 『조선풍속자료집설』로 간행되었다.
    분류일상생활 | 소장처国立国会図書館 | 출판사朝鮮総督府中枢院
  • 68713 B068713 동래 東萊 정치행정 仁祖實錄 十二年(1634) 十二月 인조실록_11212008_001 ○庚寅 / 東萊府使李弘望馳啓曰: “倭使藤智繩所齎書契, 不卽出示, 只言求得數十人, 而便要上京, 其情叵測。” 禮曹回啓曰: “藤倭出來後, 初頭說話, 不過求請...
    출처전거仁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萬物門2_猿騎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猿騎 “猿騎戱”者, 今俗謂“”, 能於走馬上, 飛踏如猿鳥. 此軍門兵兵: 와세다대본에는 ‘馬’로 되어 있다. 士能之, 或似有補於騎射, 則不比程材雜劇之無用, 雖存之, 不妨. 或有能騎雙馬者.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五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68714 B068714 동래 東萊 정치행정 仁祖實錄 十二年(1634) 十二月 인조실록_11212008_001 ○庚寅 / 東萊府使李弘望馳啓曰: “倭使藤智繩所齎書契, 不卽出示, 只言求得數十人, 而便要上京, 其情叵測。” 禮曹回啓曰: “藤倭出來後, 初頭說話, 不過求請...
    출처전거仁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

연구과제(2)

주제어사전(2)

  • / [예술·체육/체육]

    달리는 말 위에서 여러 가지 기예를 부리던 무예 격구처럼 말타는 기술을 닦기 위한 군사훈련 종목이다. 우리나라에서 언제부터 시행했는지는 미상. 1362년 7월에 이성계가 원군과 싸울 때 적장이 찌르는 창을 의 다섯번째 동작으로 피했다하므로, 고려 때 이를 행했을

  • 무예이십사기 / 武藝二十四技 [예술·체육/체육]

    ·낭선(狼筅),쌍수도(雙手刀)·예도(銳刀)·왜검(倭劍), 제독검(提督劍)·본국검(本國劍)·쌍검·마상쌍검(馬上雙劍)·월도(月刀)·마상월도·협도(挾刀) 및 등패(藤牌)의 요도(腰刀)와 표창(標槍), 권법(拳法)·곤봉·편곤(鞭棍)·마상편곤·격구(擊球)·() 등 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