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마산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9)
사전(21)
- 마산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을 임선(賃船)하여 세곡을 운송하였다. 이를 계기로 선운업자들의 횡포가 심하였다. 이에 1760년(영조 36) 조창을 설치하고 조선과 조군을 배치하여 폐단을 제거할 것을 주장한 경상도관찰사 조엄(趙嚴)의 진언에 따라 좌조창으로서 마산창과 우조창으로서 가산창(駕...이칭별칭좌조창
- 마산창원노동조합총연합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987년 12월 마산과 창원 공단 지역에 만들어진 지역 노동 조합 협의 기구정의1987년 12월 마산과 창원 공단 지역에 만들어진 지역 노동 조합 협의 기구 | 문광부표기Masan Changwon Nodong Johap Chong Yeonhap | MR표기Masan Ch’angwŏn Nodong Chohap Ch’ong Yŏnhap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가산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760년(영조 36) 경상도관찰사 조엄(趙曮)이 조운제도(漕運制度)를 복구하면서 마산창(馬山倉)과 더불어 설치하였다. 적재량이 1,000석인 조선(漕船) 20척이 확보되어 있어서 진주‧곤양‧하동‧단성‧남해‧사천‧고성의 서북면과 의령의 서남면 등 8읍의 세곡을 수...이칭별칭우조창(右漕倉)
- 의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충렬왕 7) 연합군 10여만 명이 제2차 일본정벌에 나섰다. 일본원정이 끝난 뒤에도 이곳에 진(鎭)을 두고 원나라의 군사가 주둔하였다. 몽고정(蒙古井)은 지금까지 남아 있는 당시의 흔적이다. 조선시대에는 마산창(馬山倉, 또는 左漕倉)이 있어 8개 군현(郡縣)의...이칭별칭굴자군(屈自郡)
- 삼남지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자주 논의하였던 기록이 많이 나온다. 17세기 후반의 조운에 있어서 삼남지방이 전국의 87%를 차지하였는데, 마산창(馬山倉)ㆍ법성창(法聖倉)ㆍ공진창(貢進倉) 등 이름 있는 해창(海倉)을 통하여 이들 세곡을 운반하였으므로 세곡 운반에 대한 규정이 엄하였다. 대원군...이칭별칭하삼도(下三道)
고서·고문서(18)
- 기장(機張)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1879 B031879 기장 機張 정치행정 慶尙道地理志 慶尙道 序 _ 納處三 金海地佛巖倉 昌原地馬山倉 (古之石頭倉) 泗川地通洋倉 各以附近納稅 沿全羅·忠淸海路 漕轉納于京倉 歲在甲申 以海路危嶮 廢漕運 立陸轉之法 納于忠淸道忠州地慶原倉昆南 固城 泗川 河東十一日程 珎城 咸...출처전거慶尙道地理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구도(狗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8782 B028782 구도 狗島 도서 전라남도 輿地圖書 慶尙道 昌原 田稅 ... 百二十八石五斗九刀九合七夕三月本府馬山倉收捧裝載漕船發船于馬山江口向巨濟見乃梁固城蛇梁島東江南海露梁全羅道順天狗島興陽喜然島長興牛豆島靈巖葛豆浦珍島碧波亭羅州亦島務安塔聖島靈光法聖浦茂長安邊浦萬頃群山玉果...출처전거輿地圖書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구도(狗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8783 B028783 구도 狗島 도서 전라남도 輿地圖書 慶尙道 鎭海 田稅 ... 六十四石十三斗八刀四夕二月昌原馬山倉收捧三月裝載漕船發船于馬山江口向巨濟見乃梁固城蛇梁島東江南海露梁全羅道順天 狗島興陽喜然島長興牛頭島靈巖葛頭浦珍島碧波亭羅州亦島務安塔聖島靈光法聖浦茂長安邊浦萬頃群山玉...출처전거輿地圖書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노량(露梁)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7289 B037289 노량 露梁 군사교통 輿地圖書 慶尙道 昌原 田稅 田稅(米六百七十八石一斗七合六夕太三百二十八石五斗九刀九合七夕三月本府馬山倉收捧裝載漕船發船于馬山江口向巨濟見乃梁固城蛇梁島東江南海露梁全羅道順天狗島興陽喜然島長興牛豆島靈巖葛豆浦珍島碧波亭 ...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노량(露梁)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7290 B037290 노량 露梁 군사교통 輿地圖書 慶尙道 鎭海 田稅 田稅(米一百五十六石一斗一刀三合五夕太六十四石十三斗八刀四夕二月昌原馬山倉收捧三月裝載漕船發船于馬山江口向巨濟見乃梁固城蛇梁島東江南海露梁全羅道順天狗島興陽喜然島長興牛頭島靈巖葛頭浦珍島碧波亭 ...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4)
-
마산창 / 馬山倉 [경제·산업/경제]
경상남도 마산시 합포구 합포동에 설치되었던 조선시대의 조창. 1760년(영조 36) 경상도관찰사 조엄(趙嚴)의 진언에 따라 좌조창으로서 마산창과 우조창으로서 가산창(駕山倉)이 설치되었다. 마산창에는 1척의 적재량이 1000석인 조선 20척이 준비되어 있어서 창원·함
-
율구미 / 栗九美 [지리/인문지리]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해안 어귀에 있었던 옛 지명. 1900년 러시아가 이 곳에 극동함대의 석탄저장소와 해군병원을 건설하기 위하여 우리 나라 정부로부터 조차(租借)하기로 협약이 되었으나 1년 만에 일본의 항의로 취소되었다. 이 곳은 조선시대에 마산창(馬山倉)을
-
삼남지방 / 三南地方 [지리/인문지리]
운에 있어서 삼남지방이 전국의 87%를 차지하였는데, 마산창(馬山倉)ㆍ법성창(法聖倉)ㆍ공진창(貢進倉) 등 이름 있는 해창(海倉)을 통하여 이들 세곡을 운반하였으므로 세곡 운반에 대한 규정이 엄하였다.
-
삼랑창 / 三浪倉 [경제·산업/경제]
납, 운송하였다. 김해는 본래 마산창 소속이었으나, 삼랑창이 설치되면서 소속이 바뀌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