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마과회통” 에 대한 검색결과 19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1)

사전(2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中國漢方』(藥業新聞社, 1981) 『朝鮮醫學史及疾病史』(三木榮, 富士精版印刷株式會社, 1963) 정약용이 편저한 마진에 관한 의서. 6권 3책, 필사본. 장서각도서. ...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798년에 정약용(丁若鏞, 1762-1836)에 의하여 편술된 마진(麻疹: 홍역)에 관한 의서(醫書).
    정의1798년에 정약용(丁若鏞, 1762-1836)에 의하여 편술된 마진(麻疹: 홍역)에 관한 의서(醫書).[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Magwa hoetong | MR표기Magwa hoet’o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임서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소아과 의원. [내용] 1752년(영조 28) 『임신진역방(壬申疹疫方)』을 저술한 것 외에는 별로 알려진 것이 없다. 이 책은 현재 전해지지 않으나 정약용(丁若鏞)의 『()』에 ‘임서...
  • 임신진역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52년(영조 28)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임서봉(任瑞鳳)의 의서(醫書). [내용] 이 책은 현재 망실되어 그 내용을 알 수 없으나, 정약용(丁若鏞)의 ≪ ≫ 권1에 인용된 제가성씨서목(諸家姓氏書目) 가운데에서 ‘임서봉...
  • 종두심법요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00년(정조 24) 정약용(丁若鏞)이 종두(種痘)의 유래에 대하여 쓴 책. [내용] 활자본. 정약용이 쓴 『()』의 권말에 부록으로 실려 있다. 중국 청나라 때 『의종금감(醫宗金鑑)』 중에 채록된 유과종두심법요지(幼科種...

단행본(1)

  • 정본 여유당전서 34-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
    분야과학 | 유형단행본
    1. 一 2. 二 3. 三 4. 四 5. 五 6.

고서·고문서(169)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130 文集 卷十三 ITKC_MP_0597A_0130_010_0200 序 정약용(丁若鏞) 序跋類|序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文集 卷十三 | 문체序跋類|序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外感論 三 【景岳云:“病必自表而入者,方得謂之表證。若由內以及外,便非表證。”】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580 六 ITKC_MP_0597A_1580_030_0060 外感論 三 【景岳云:“病必自表而入者,方得謂之表證。若由內以及外,便非表證。”】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
    권차명麻科會通 六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裡證論 一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580 六 ITKC_MP_0597A_1580_030_0070 裡證論 一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
    권차명麻科會通 六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虛實論 一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580 六 ITKC_MP_0597A_1580_030_0090 虛實論 一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
    권차명麻科會通 六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藥露記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580 六 ITKC_MP_0597A_1580_030_0370 藥露記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
    권차명麻科會通 六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신문·잡지(1)

  • 민세안재홍전집 : 茶山先生과種痘法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젠너, 天然痘, 牛痘術, 李能和, , 奎章閣, 朴齊家, 丁學淵, 李瀷, 實學派 B19341215신조02
    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1)

  • / [과학기술/의약학]

    1798년(정조 22)에 정약용에 의하여 편술된 마진(홍역)에 관한 의서. 6권 3책. 필사본. 이 책은 우리나라 마진학의 최고봉이라는 평을 들었는데, 마진치료에 대한 수준이 상당히 발전되어 있었다는 것은 자랑할 만하다. 내용을 크게 나누면, 원증편·인증편·변사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