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뗀석기” 에 대한 검색결과 5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2)

사전(4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필요한 용도에 맞게 만든 것으로 사냥에 필요한 무기와 일상용 도구로 사용되었다. 를 만들 때는 돌의 선택이 매우 중요한데, 이는 석기의 질이 여기에 좌우될 뿐만 아니라 좋은 형태의 석기가 사용 목적에 알맞게 잘 만들어질 수 있는지가 또한 돌에 달렸기 때문이...
  • 대항리패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면에 새겨져 있다. 이 밖에 대형박편을 이용한 돌도끼[石斧]모양의 5점이 발견되었다. 서해안에서 자주 보이는 역석기(礫石器) 계통의 반암제(班岩製)이다. 이 유적은 빗살무늬토기시대의 유적으로도 볼 수 있으나 민무늬토기와 김해토기가 함께 반출되는 점이 주목...
    이칭별칭대항리조개무덤|대항리조개무지|대항리조개더미
  • 자르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물건을 자르는데 사용된 구석기시대의 . [개설] 주로 큰 격지를 사용해 만든다. 전체의 모양이 거의 장방형으로 날을 격지의 끝부분에 만들며 직선 또는 볼록날이 대부분이다. 특히, 주먹도끼 전통문화인 아슐리안기에 발달된 연모이다.
  • 잔석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구석기 말기와 중석기시대 사용된 세모꼴 따위의 기하학적 형태의 작은 . [개설] ‘세석기(細石器)’라고도 한다. 주로 작살 또는 살촉 등에 사용되었다. 폭 1~1.5cm 이하, 길이 5cm 이하의 것을 칭하는 경우가 많다. 단독으로...
    이칭별칭세석기(細石器)
  • 양평대심리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된다고 하겠다. 석기는 〔打製石器〕와 간석기〔磨製石器〕가 함께 출토되었다. 가 압도적으로 많으나 두 가지 기술이 함께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철기는 비교적 교란이 되지 않았던 지역에서 출토되었다. 쇠도끼 4점, 칼 1점, 쇠호미〔鐵鋤〕 1점, 쇠살촉...

고서·고문서(1)

  • *1.8; 5차: **2.2 5차: 1.8*1.2* 4개체 여 3개체 성인 3개체 백악, 갈판, 갈돌, 2점 토기 8점, 방추자 fibula, 칼, 송곳 2점 가위 걸개 12점, 귀걸이 삽 골각기 2점, 조개 2점 있음...
    대표표제어졸로토이 쿠르간 3호분 | 발굴조사연대2000년대 | 고분군졸로토이 쿠르간 | 무덤조성연대1차: 청동기, 3, 5차: 초기철기

기타자료(3)

  • 구석기시대의 가 수습되면서 알려지게 되었다. 그 후 유물층 확인을 위한 시굴조사를 거쳐 2002년부터 3년간 3차에 걸친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남양주시 호평동은 수도권의 주택난을 해소하기 위하여 1994년 호평동과 평내동 일대 약 58만평을 택지개발지구로 지정하...
    발행연도2008 | 발굴기관한국토지공사/경기문화재단 부설 기전문화재단 | 발굴지역경기도
  • . 또한 전돌과 철제 허리띠장식, 상평통보, 석기류(, 바퀴날석기편) 등도 함께 수습되었다. 기와류는 무문이 많으며, 선문과 어골문도 출토되었다. 막새는 암, 수막새편이 1개체씩 출토되었는데, 수막새편은 귀목문으로 추정된다. 자기는 백자가 대다수이며 분청사기편과...
    발행연도2003 | 발굴기관세종대학교박물관경기도박물관 | 발굴지역경기도
  • 평택 궁리 유적 –고덕 영화 APT 신축부지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1점이 찾아졌고, 제4기 갱신세층이 조사지역에 광범위하게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조사지역은 조사를 착수할 때에는 조사지역 내에 밤나무 밭과 아카시아, 소나무 등 각종 활엽수와 침엽수림이 우거져 있었다. 유적의 서쪽으로 400~500m 지접에 좌교천이 북동...
    발행연도2009 | 발굴기관경기문화재단 부설 기전문화재연구원/영화건설 | 발굴지역경기도

주제어사전(2)

  • / chipped stone implement [역사/선사시대사]

    법이 관찰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자료들이 많이 남아 있어서 구석기 연구가 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는데, 의 발굴조사와 그것에 대한 중점적인 연구가 구석기학의 큰 기준을 이루고 있다. 는 연모를 만들려고 하는 돌감을 중심으로 떼기를 베풀어 떼낸 격지

  • 냇돌석기 / ─石器 [역사/선사시대사]

    강자갈의 한 면에서 한 조각 또는 그 이상의 소석편을 떼어낸 뒤에 사용하는 구석기시대의 . 역석석기(礫石石器, chipped pebble tools)라고도 부르며 인류가 최초로 만든 석기이다. 약 200만년 전 정도로 보는 것이 학계의 지배적인 견해이다. 이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