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떼개” 에 대한 검색결과 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격지를 떼어내는 끝이 크고 무겁고 잡이가 긴 석기. [내용] 구석기시대 유물 가운데 하나이다. ‘flaker’를 번역하여 사용한 용어로 돌망치‧나무공이‧뿔‧뼈 등 석편을 떼어내는 데 사용된 모든 도구를 지칭한다. 중기구석기시대에는 ...
    이칭별칭flaker
  • 양구상무룡리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47, 찌르개 50, 사냥돌 1, 긁개 349, 밀개 57, 자르개 6, 째개 2, 주먹까뀌 1, 주먹대패 13, 뚜르개 19, 톱날 7, 홈날 10, 돌망치 84, 13, 모루돌 7, 몸돌 37, 격지 230, 덜된 연모 617, 부스러기 285점이다.
  • 동해발한동구석기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역은 편평하게 이루어져 있었다. 생활면에서는 큰 모루돌이 여기저기 자리잡고 있었고 석기 제작공구로 사용했을 망치돌‧쪼으개‧ 등이 발굴되었다. 망치돌 중에는 바닷가에서 주워왔을 것으로 추정되는 자갈돌이 있었다. 이것은 당시 사람들이 바닷가에 나가 생활했음을 알...
  • 홍천하화계리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2점, 모루돌 1점, 미늘 21점, 화살촉 36점, 창끝 4점, 몸돌 33점, 돌날몸돌 27점, 덜된연모 201점, 격지‧부스러기 4,330점이었다. 구석기시대에 많이 나타나는 큰 석기들인 주먹도끼‧찍개‧사냥돌‧주먹대패와 같은 것은 줄어드는 반면에 작은...
  • 금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발견된 바 있다. 그 다음 중간층의 유물로는 격지석기나 몸돌석기‧돌망치‧‧주먹도끼‧쌍날찍개‧찌르개 등이 발굴되었다. 맨 위층의 유물로는 새기개가 많이 출토되고 있다. 특히, 이 시대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는 주거지에서는 기둥자리와 화덕자리, 그리고 담을...

주제어사전(1)

  • / [역사/선사시대사]

    격지를 떼어내는 끝이 크고 무겁고 잡이가 긴 석기. 구석기시대 유물 가운데 하나이다. ‘flaker’를 번역하여 사용한 용어로 돌망치·나무공이·뿔·뼈 등 석편을 떼어내는 데 사용된 모든 도구를 지칭한다. 중기구석기시대에는 주로 직접타격법에 의하였으므로 돌망치가 사용되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