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떡갈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식물학
- 교가리느티나무
- 명주 삼산리 소나무
- 신흥엄나무
연구성과물(85)
사전(72)
- 떡갈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출된다. 왜냐하면, 일본에서는 떡갈나무의 잎으로 떡을 싸는 풍습이 있기 때문이다. 또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떡갈나무의 잎을 냉장고 안에 넣어두면 냉장고에서 나는 불쾌한 냄새를 막을 수 있다고 한다. 열매는 도토리라고 하여 옛날부터 구황음식으로 이용되어 왔다. 도...
- 참나무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참나무를 이르는 말. 진목은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떡갈나무 등을 통칭해서 부르는 말로 건축물이나 기구 따위를 만드는 데 쓰였다. 白狗皮一張法油一合五夕生苧一兩五錢黃蜜五錢回繩次紅綿絲三兩馬木次眞木二箇橫杠次眞木長六尺三寸廣一寸五分厚一寸四片石磵朱, (상호1902...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용흥리백로왜가리번식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강원도 판교군 용흥리에 있는 백로‧왜가리 번식지.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245호. 판교역에서 판교읍 방향으로 4㎞ 지점에 있다. 번식지는 이미 수백 년의 오랜 역사를 갖고 있는데, 이곳에는 소나무‧신갈나무‧떡갈나...
- 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무로 만든 것을 ‘목메’라고 한다. 목메는 떡갈나무‧느티나무‧참나무‧대추나무와 같이 단단한 나무를 사용하며, 머리부분은 비교적 크고 양쪽은 평평하게 되어 있다. 쇠메는 목수 외에 석수‧대장 장이들이 많이 사용한다. 크기에 따라 대형‧중형‧소형으로 나뉘고 사용하는...이칭별칭종규(?揆)
- 신흥엄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함경남도 신흥군 신흥읍에 있는 음나무.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261호. 엄나무는 음나무의 이칭이다. 신흥읍 공원 안에서 자라며 떡갈나무‧잣나무 등의 나무와 더불어 자라고 있다. 주변의 토양은 화강암지대에 생...
고서·고문서(6)
- 장진주(將進酒)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나 유소보장에 백부시마우러여나 어욱새 더욱새 떡갈나무 백양 숲에 가기곳 가량이면 누른 해 흰 달빛과 굴근 눈 가는 비에 소소이 바람 불 제 뉘 한 잔 먹자 하리 하물며 무덤 우에 잔나뷔 수파람할 제 뉘웃친덜 밋치랴구분잡가 | 편저자申泰三
- 조선 민요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たを作り それで娘は 帛を打つ 娘きぬたで 生帠を打てば 若衆のこものにや 艶が出る 砧打. 조선 연초. 조선민요. 떡갈나무를 베어 방망이를 만들어 그걸로 아가씨는 천을 두드리네 아가씨가 방망이로 흰 천을 두드리면 총각의 소도구는 윤기가 나네 다듬이질. 90mm x...자료명조선 민요 | 발행처京城日之出商行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알렌이 제물포 부동산과 별장에 관하여 기록한 건 [근대 전환기 알렌 문서 정리ㆍ해제 및 DB화 | 건양대학교]록한 문서이다. 그는 부동산을 제물포에서 가장 눈에 잘 띠는 땅이라고 소개하였다. 총 면적은 20에이커로 둘레에 철조망이 둘려 있으며, 소나무숲이 무성한 가운데 떡갈나무와 과일나무 등이 자라는 곳이라고 기록하였다. 다음으로 별장에 관해서는 방 4개와 큰 거실, 계단,...문서종류기타 | 생산일자1904년 여름 | 수신자없음
- 태종 하_010 [동아시아 속의 한국고대사 <br>구당서 본기를 기본 텍스트로</br> | 동국대학교]를 신당서 권2, 태종본기, 정관 13년(639) 12월 조, “壬辰, 獵於咸陽"(39쪽) ; 자치통감 권195, 정관 13년 12월 조, “壬辰, 上畋於咸陽"(6150쪽). 是歲에 滁州에서 [上]言하길 산누에[野蠶]가 떡갈나무 이파리를[槲葉] 먹었고, 고치를 만든 것...권수구당서 권3 | 편명본기3 | 대표표제어태종 하_010
- 주역대전 : 漸卦_효사-사효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먹음이 즐겁다”라고 한 말과 서로 그 뜻을 드러내니, 숲으로 점진적으로 나아간 것은 비록 마땅한 일은 아니지만, 혹여 나무의 열매를 얻어서 먹을 수 있다면, 또한 허물이 없다. 각(桷)은 혹여 떡갈나무[槲]의 글자가 생략된 형태일 수도 있는데, ‘곡(槲)’은 상수리나무...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구술자료(1)
- 개구리 공주와 결혼한 막내 왕자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아야 해요. 근데 그 계란도 그냥 찾을 수 있는 것도 아니고 궤짝 안에 계란이 있어요. 그거 찾아야 한다고 방법을 다 알려줘요. 근데 그는 안 죽는 사람들이니까 그 사람이랑 전쟁해야 해요. 그래서 그 궤짝이 어딨는지를 얘기해줘요. 근데 그 궤짝도 오크나무, 떡갈나무?국가아제르바이잔 | 제보자피루자 [아제르바이잔, 여, 1990년생, 유학 2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신문·잡지(5)
- 천지_1979_0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떡갈나무아래에서 김성휘 34 인삼장처녀 현규동 37 고요한 밤 황하성 38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79
- 송화강_1989_0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수필 <떡갈나무>의 매력 전성호 63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89
- 송화강_1989_0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누락 한차례 무효취재에 관한 보고 류빈안 지음, 리장춘 중역 41 떡갈나무 리수길 49 삼동서 김수룡 정...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89
- 함남인민보_1949_0514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저히 조사하고 그 부족수의 신조 수리와 일광소독을 일제히 실시하였다. 또한 종견 용상전 6,000평 상목 묘포 1,200평도 새로히 설정하였다. 더욱이 군인위에서는 금년도부터 새로히 작잠림을 조성하고 있는 바 그 계획면적 1천정보도 이미 적지를 확보하고 떡갈나무 보...대표표제어함남인민보_1949_0514_02 | 책임주필림상준
- 강원인민보_1947_0928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산비탈에 일천이백평에 가까운 조이밭이 소나무 떡갈나무 밤나무 감나무 등의 숲으로 무슨 울타리를 친 것처럼 네모지게 둘러싸어있다. 그렇게 탐탁하게 잘 되지는 않았으나 그래도 키가 늘신하고 도툼스런 이삭들이 고개를 숙인 게 제법이다. 이슬에 함즈르르 젖어있는 보리밭은 사뭇...대표표제어강원인민보_1947_0928_04 | 날짜1947년 9월 28일 | 책임주필서창훈(徐昌勳)
기타자료(1)
- (교단 문예) 떡갈나무 잎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단 문예) 떡갈나무 잎 (교단 문예) 떡갈나무 잎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기타총류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임익수 | 사료철명문교경북
주제어사전(9)
-
떡갈나무 / Quercus dentata THUNB [과학/식물]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 우리나라 어디서나 흔히 볼 수 있는 나무로, 표고 800m 이하의 산정이나 바다 가까운 야산이나 섬에서 많이 볼 수 있다. 대개 소교목의 상태로 성장하고 있지만 제대로 크게 되면 높이 20m, 직경 70㎝ 정도까지 자랄 수 있다. 잎은
-
교가리느티나무 / 交柯里─ [과학/식물]
특히 떡갈나무가 많아서 지명이 교가리로 정해지게 되었다고 한다. 본래 이 나무의 높이는 25m이었는데 1947년에 심한 폭풍우로 중간이 절단되어 지금의 높이로 되었다고 한다. 이 나무는 영기(靈氣)가 있다는 나무로 예전에는 매년 황소 한 마리를 바치는 동제(洞祭)를 받
-
동림폭포 / 東林瀑布 [지리/자연지리]
북한의 행정구역상 평안북도 동림군(옛 선천군 심천면) 고군영리 태봉 남쪽에 있는 폭포. 폭포 위에는 용바위, 병풍바위가 있고 아래에는 말안장처럼 생긴 바위가 있다. 폭포 주변에는 소나무, 떡갈나무, 단풍나무들이 어우러져 더욱 빼어난 자연경관을 자랑하며, 폭포 밑에는
-
북대봉 / 北大峯 [지리/자연지리]
루고 있다. 산지의 사방으로 계곡평야가 개석되어 있으며, 특히 북쪽 사면과 서쪽 사면에는 계곡을 따라 곡저평야가 발달되고 있어 이곳에 계곡취락이 발달한다. 식생은 소나무·전나무·떡갈나무 등이 자라며, 식물상은 풍부한 편이다.
-
용흥리백로왜가리번식지 / 용흥리백로왜가리번식지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판교군 용흥리에 있는 백로·왜가리 번식지. 북한 천연기념물 제245호. 판교역에서 판교읍 방향으로 4㎞ 지점에 있다. 번식지는 이미 수백 년의 오랜 역사를 갖고 있는데, 이곳에는 소나무·신갈나무·떡갈나무 등이 자라고 있고, 오래된 20여 그루의 참나무와 신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