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등준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3)
사전(37)
- 등준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赴科)를 할 수 없었던 것에 비하면 이례적인 일이었다. 세조는 합격자들을 내전(內殿)으로 불러 스스로 선발했으므로 좌주(座主)‧문생(門生)의 예가 있어야 한다고 하여 며칠 뒤 좌주‧문생의 예를 사정전(思政殿)에서 시행하였다. 그리고 이어서 등준시 합격자에 대한...
- 登俊試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J_0089 登俊試 관직 列卿, 大官, 宗室, 駙馬, 赴試, 親臨策問, 大臣, 對讀官, 正一品, 入試, 恩榮宴, 議政府, 壯元, 賜鞍馬, 設科取士, 重試, 遊街, 異數, 歷事四朝, 策勳 世祖, 成廟 溫陽, 行在所 永順君溥, 廣平大君,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4권 1장 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등준시(登俊試)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등준시 등준시 登俊試 과거(科擧) 무과(武科), 문과(文科), 중시(重試), 충량과(忠良科), 식희과(饎喜科), 탕평정시(蕩平庭試), 구현과(求賢科) 정치인사/선발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조선 최진옥 ...상위어과거(科擧) | 관련어무과(武科), 문과(文科), 중시(重試), 충량과(忠良科), 식희과(饎喜科), 탕평정시(蕩平庭試), 구현과(求賢科)
- 발영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군(權知訓鍊參軍) 금휘(琴徽) 등 43인을 선발하였다. 19일에는 문방(文榜)에서 장원을 한 김수온을 일품(一品) 승진시키고, 나머지 합격자도 자품(資品)을 올려주었다. 이러한 발영시는 같은 해 실시된 등준시(登俊試)와 함께 뒷날 제왕(諸王)에 의해 실시된 현직...
- 무과등준시(武科登俊試)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무과등준시 무과등준시 武科登俊試 무과중시(武科重試) 정치인사/선발 법제 정책 윤훈표 [정의] 조선시대 세조대와 영조대에 무관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특별 무과 시험. [개설...관련어무과중시(武科重試)
고서·고문서(6)
- 대구어(大口魚)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履曰, 重重試, 卽登俊試及拔英試, 而未知科規如何? 李成中曰, 二品以下皆見之, 大臣爲試官, 宗班崇品亦見之。 臣之先祖臣永順君, 亦參登俊試矣。 珣曰, 臣之八代祖亦爲之矣。 上曰, 宣醞時安酒·大口魚, 或有持去者乎? 諸臣曰, 皆持歸頒其至親未登科者, 以爲貴物矣。 上曰, 今番則一句皆...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敎, 歷通禮門奉禮郞、司憲監察、吏曹佐郞。 天順癸未授世子文學, 遷吏曹禮曹正郞。 成化乙酉陞宗簿寺少尹, 丙戌中重試。 世祖嘗問《周易》、《圓覺經》優劣, 蘭宗對曰: “《易》者, 三聖人之經, 豈與此比乎?” 尋擢爲承政院同副承旨。 中拔英試, 轉左副承旨, 陞嘉善禮曹參判。 又中登俊試, 移刑...출처전거成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皇明科期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唯有大比,而我朝式年之外,有增廣試ㆍ別試ㆍ庭試ㆍ謁聖試ㆍ登俊試,又有節日製ㆍ黃柑製ㆍ到記製,科名煩數,僥倖多門矣。 129쪽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餛飩錄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經史篇七]論史門四_尙丘潘三姓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以工判中登俊試. 官至二相, 諡安長. 精於《易》學, 以經術阿上爲事.”라는 두주가 있다.潘碩枰, 宰相某之家 之家: 규장각본에는 ‘家之’로 되어 있다.奴也. 宰相愛其才性 性: 규장각본ㆍ성호기념관본에는 없다., 敎以書史, 乃託 託: 규장각본ㆍ성호기념관본ㆍ아단문고본(가)에는...서명星湖僿說類選卷之九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鴨江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京,於通州館遇安南國使梁鵠,乃制科壯元也. 居正以近體詩一律先之, 梁和之, 居正卽酬連十篇, 梁嘆服曰"眞天下奇才也." 遼東人丘霽見居正草蒿曰"此子文章,求之中原,亦不多得."辛巳陞嘉善刑曹參判,癸未司憲府大司憲,乙酉帶藝文館提學.丙戌中拔英試,授禮曹參判;旋中登俊試第三人,特加資憲行同知中樞府...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성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주제어사전(4)
-
등준시 / 登俊試 [역사/조선시대사]
조선 시대 현직 관리·종실·부마 등을 대상으로 실시했던 임시 과거. 세조·영조 때 시행된 바 있다. 등준시는 세조의 예가 전형이 되어 중종·선조대에 각각 실시 논의가 있었다. 그리고 1774년(영조 50)에는 근정전에서 종1품 이하 당상관 3품까지의 관료에게 시험을
-
발영시 / 拔英試 [정치·법제/법제·행정]
1466년(세조 12) 현직 중신과 문무관료를 대상으로 실시했던 임시 과거. 이러한 발영시는 같은 해 실시된 등준시(登俊試)와 함께 뒷날 제왕에 의해 실시된 현직 관료를 대상으로 한 임시 과거의 한 전형이 되었다.
-
최동악 / 崔東岳 [종교·철학/유학]
1745년(영조 21)∼미상. 조선 후기 무신. 부친은 최진해이다. 1771년에 경상 수군절도사, 1774년(영조 50) 등준시에서 병과로 무과 급제하였다. 1776년 평안도 병마절도사로 재직 중에 성격이 난폭하고 민정을 잘 살피지 못했다는 이유로 파직되었다. 180
-
홍양호 / 洪良浩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4∼1802). 1752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사헌부 지평, 홍문관 수찬·교리 등을 거쳤고, 1774년 등준시에 뽑히기도 하였다. 두 차례에 걸쳐 연경을 다녀오면서 중국의 석학들과 교유하여 문명을 날렸으며, 고증학을 수용, 보급하는 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