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등대국” 에 대한 검색결과 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

사전(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08년 항로표지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내용] 1902년 3월 정부는 주요항로에 등대를 건설하기 위하여 해관을 설치하였는데, 1905년 12월 이를 세관공사부(稅關工事部) 으로 개편하...
    이칭별칭해관등대국|세관공사부 등대국|항로표지관리소
  • 근대신어 : ()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1904 다항 日本之火輪船 일본 의 화륜선 英人出償金於日本 漢城旬報 9 博文局 1883 12 21 8 행정 통신, 교통시설
    출전漢城旬報[博文局] | 계통분류 [정치경제] 행정 [사회생활] 통신, 교통시설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1905 다항 掌燈臺浮椿及保護航海事務 에서는 등대, 부춘 및 항해를 보호하는 사무를 맡고 漢城周報 58 博文局 1887 4 11 10
    출전漢城周報[博文局] | 계통분류 [정치경제] 행정 [사회생활] 통신, 교통시설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가덕도등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소관부서였던 탁지부 에서 맡았지만, 직원이나 기술자가 대부분 일본인이었으므로 이 역시 일본인들에 의해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2003년 9월 16일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50호로 지정되었다. [내용] 대한해협 쪽으로 돌출한 절벽 끝에 정방형 평면의...
    연계항목가덕도등대(加德島燈臺)
  • 일본국공부성시찰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군(行副諸軍) 강문형’으로 서명되어 있다). [내용] 내용은 일본공무성의 위치ㆍ연혁ㆍ관료와 급여에 관해 간단히 언급한 다음, 공무성의 10개국, 즉 서기국ㆍ회계국ㆍ검사국ㆍ창고국ㆍ철도국ㆍ광산국ㆍ전신국ㆍㆍ공작국ㆍ영선국 등에 관해 각 국별로 책임자를 소...

주제어사전(2)

  • / [역사/근대사]

    1908년 항로표지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1902년 3월 정부는 주요항로에 등대를 건설하기 위하여 해관을 설치하였는데, 1905년 12월 이를 세관공사부 으로 개편하면서 항로표지에 관한 모든 사무를 관장하게 하였다. 1908년 1

  • 가덕도등대 / 加德島燈臺 [지리/인문지리]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항동에 있는 등대. 조선 말기인 1902년부터 1910년 사이에 건설된 41개 유인등대 중 하나로서 1909년 12월에 점등을 시작했다. 공사는 당시 등대 건설 소관부서였던 탁지부 에서 맡았지만, 직원이나 기술자가 대부분 일본인이었으므로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