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등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9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68)
사전(280)
- 등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광파표지(光波標識)로 분류되는 대표적인 구조물의 일종이다. 굴뚝 모양의 구조물상에 등롱(燈籠)을 얹고 내부에는 등명기(燈明器)를 설치하여 등광을 발함으로써 항행선박의 위치결정이나 선위측정(船位測定) 등에 이용되는 등대는 크게 유인등대와 무인등대로 분류된다. ...
- 燈臺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P3_I_0004 燈臺 조명도구 風雨夜, 鏡, 玻瓈板, 盞燈, 遠方 十八世紀初 希臘 I_01_22_17 만국사물기원역사 1권 22장 17절출전만국사물기원역사 | 수록위치1권 22장 1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등대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대궐에 나아가 임금의 물음에 답하는 일. 今則想已經屢次登對 未知上下酬酌果如何, 임성주(任聖周), 22-273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가덕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에 속하는 섬. [개설] 동경 128°49′, 북위 35°02′에 위치하는 가덕도는 남해안으로 흘러드는 낙동강 하구의 서쪽 해상에 위치한다. 가덕도 등대(시도유형문화재 제50호)와...
- 가덕도등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항동 에 있는 등대. [역사적 변천] 조선 말기인 1902년부터 1910년 사이에 건설된 41개 유인등대 중 하나로서 1909년 12월에 점등을 시작했다. 공사는 당시 등대 건설...연계항목가덕도등대(加德島燈臺)
고서·고문서(1,248)
- 燈臺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10279 창가 初等唱歌解說書 第四學年用 22125 1939 京城師範學校音樂敎育硏究會 酒井與三吉 藤木外次 燈臺 〈#15〉 敎材觀 燈臺は海邊の子供でないと生活經驗としてはもつてゐない. 然し乍ら燈臺は如何なるものであるかといふ事は知つてゐる....구분창가 | 편저자京城師範學校音樂敎育硏究會
- 燈臺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6875 창가 初等唱歌 第四學年 22093 1935 京城師範學校音樂敎育硏究會 日本唱歌出版社 柏佐一郞 井下精一郞 燈臺 〈#16〉 [ 一 ] 光(ひか)ると見(み)れば消(き)えてゐる 消(き)えたと見(み)れば光(ひか)つてる 燈臺(とうだ...구분창가 | 편저자京城師範學校音樂敎育硏究會
- 등대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9526 창가 동요 300 22184 등대 〈m〉Moderato〈/m〉 〈a〉尹福鎭〈/a〉 〈co〉朴泰俊〈/co〉 〈#184〉 먼 하늘에 붉은 놀이 사라지고 갈멕이떼 깃을 찾어 날어들 때 한이 없는 넓은 바다 외론 섬에 샛별 등대 반짝 반짝 빛납니...구분창가
- 등대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8889 창가 강신명 아동가요곡선 300 22172 등대 〈mn〉악보 있음, 오선보〈/mn〉 〈m〉Moderato〈/m〉 〈a〉尹福鎭〈/a〉 〈co〉朴泰俊〈/co〉 〈#253〉 먼 하늘에 붉은 놀이 사라지고 갈메기 떼 깃을 찾어 날어들 때 한이 없...구분창가
- 등대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6489 P-SDK-06489-P-E-11-07 P-SDK-06489-P-E-11-07-1 P-SDK-06489-P-E-11-07-2 등대 Daidong River 조선 진남포 명소 회엽서 봉투 있음. 11매 세트. 사제엽서 사회 ...자료명등대 | 발행처大野振天堂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구술자료(4)
- 오준익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향, 부모, 형제관계, 가정 형편 군생활, 공무원 시험, 결혼, 목재소 근무, 등대지기 생활 등대지기 생활 등대 생활의 변화, 주택 구입 부인의 수술, 자녀의 결혼, 등대 생활 및 표창 EBS 프로그램 출연, 등대 생활 고향 집, 취미, 등대 근무 취미, 좋아하는분야사회 | 유형인물 | 지역인천 | 시대현대 | 테마건국 60년
- 칠 인의 미사키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동행한다는 뜻이에요? 일곱 명이 같이 다니는 귀신인가 봐요?] 어, 귀신. 시치닌 미사키는, 미사키, 왜 미사키라고 하는 모르겠는데, 미사키(곶)는 아, 바닷가 반도 같은 부분을 미사키라고 하는데, 그거 뾰족 있는 부분. 바다의, [조사자1: 만?] 등대 있는, 등대국가일본 | 제보자마츠자키 료코 [일본, 여, 1982년생, 이주노동 8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박봉술 수궁가 음반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自鳴)이로고. 기왕 여까지 왔으니 수궁 풍류나 좀 듣고 갔으면 한이 없겠소.\', \'그란해도(그러지 않아도) 토공 위로헐라고 지금 수궁 풍류를 막 등대(等待)했습네.\' 뜻밖에 수궁 풍류가 낭자허는듸,\" 엇모리(12:00) \"왕자 진(晋)의 봉피리, 곽처사 죽장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명환
- 박봉술 수궁가 음반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自鳴)이로고. 기왕 여까지 왔으니 수궁 풍류나 좀 듣고 갔으면 한이 없겠소.\', \'그란해도(그러지 않아도) 토공 위로헐라고 지금 수궁 풍류를 막 등대(等待)했습네.\' 뜻밖에 수궁 풍류가 낭자허는듸,\" 엇모리(12:00) \"왕자 진(晋)의 봉피리, 곽처사 죽장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봉술
기초학문(12)
- 부부갈등대화 분석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568815 한국연구재단 중앙어문학회 2015 부부갈등대화 분석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유형논문 | 게재일2015
- 가족평등대화와 청소년의 인터넷 의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나은영, 게재일 : 200927188 나은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9 가족평등대화와 청소년의 인터넷 의존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09
- 근로관계에서의 균등대우원칙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537374 한국연구재단 고려대학교 2005 근로관계에서의 균등대우원칙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유형논문 | 게재일2005
- 다문화가족의 부부갈등과 갈등대처전략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홍성희, 게재일 : 201258650 홍성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2 다문화가족의 부부갈등과 갈등대처전략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유형논문 | 게재일2012
- 『 등대로 』: 공과 사의 경계를 넘은 기억과 애도를 위한 서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형신, 게재일 : 201251667 박형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근대영미소설학회 2012 『 등대로 』: 공과 사의 경계를 넘은 기억과 애도를 위한 서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295)
- 巨文燈臺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졍부에셔 거문도와칠발도에등셜치하칠발도에풍낭이 단하야 녁를 헐수업고로 즁디하얏다가 년 월에다시 시작하기로하고거문도에긔후가더운고로 역하기가 편하야 거월 쵸에 시작하야 년삼월에 쥰공하기로 예졍고 일인 이십칠명과 한인 륙십명이 역사하 즁인 식요물...게재일1904년 12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 燈臺點火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바다가이나 언으셤이나 등를셰우고 불을켜셔 밤이던지 운무즁에 션쳑 왕가 편야 파샹 폐가 업시거신 탁안씨가 그일에 열심야 륜션 왕 길가에 긴요곳마다 등를셰우기로야 우션 인쳔 월미도와 팔미도에 등셰울 역를 맛츠고 륙월일일부터 시 터인 일...게재일1903년 5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 燈臺實施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각항구에 등와 등부를 셜시데 쳐소 삼십좌오 경비 이십만원인데 관에셔 즉지발다더라게재일1902년 4월 4일 | 기사분류잡보
- 燈臺建築의訓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음력본년이월에 인쳔에잇 일본인이 남양군 영흥면동리에 젼왕야 등 십이간가량을 건츅고 혹 삼명 혹 오륙명식 쳬번야 슈직 일로 군슈방한덕씨의 보고를인야 부에셔 지령기 그일인이 언으관쳥의관계로 등건츅것과 그셩명을 셰히샤탐야 다시 보고라얏다...게재일1907년 5월 28일 | 기사분류잡보
- 衛藤對藏(-)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衛藤對藏(-) 목포 衛藤對藏 - 竹洞 - - 미곡상 - 56 - 木浦案內: 商工人名錄, 192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衛藤對藏(-) | 지역목포 | 품목- | 영업종목미곡상 | 자료출처木浦案內: 商工人名錄, 1921년
기타자료(29)
- 등대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등대 등대 燈台 교육 문헌 현대 국제협력 재외국민교육 교육행정 기타교육단체 문서범주1국제협력 | 형식문서 | 한글저자재일대한기독교청년회전국협의회
- 등대의 분포 [한국 근대 전자역사지도 편찬 | 고려대학교]주제분류인구와 취락 / 사회 / 등대 | 표현방식점묘도
- 교육계의 등대가 되라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계의 등대가 되라 교육계의 등대가 되라 敎育界의 燈臺가 되라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론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윤일선 | 사료철명교육
- 국어는 조국얼의 등대요 길 민 문교부장관 훈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국어는 조국얼의 등대요 길 민 문교부장관 훈시 국어는 조국얼의 등대요 길 민 문교부장관 훈시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론 교육과정 교과교...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민관식 | 사료철명문교월보
- 새마을 교육 실천 사례 새마을 교육의 등대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새마을 교육 실천 사례 새마을 교육의 등대 새마을 교육 실천 사례 새마을 교육의 등대 교육 문헌 평생교육 지역사회학교범주1평생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진병황 | 사료철명문교월보
연구과제(1)
-
한국현대시와 비교문학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한성 | 숙명여자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28)
-
등대 / 燈臺 [경제·산업/교통]
해상교통의 안전과 선박 운항의 능률 증진을 위하여 해안이나 섬에 설치된 구조물. 우리나라의 등대건설은 정부의 독자적인 필요에 따라 이루어진 것보다는, 1904년에 발발한 러시아와와 일본의 전쟁에 이용하기 위해 처음 건설되었다. 현재는 포항항 입구 장기곶에 등대박물관이
-
등대국 / 燈臺局 [역사/근대사]
1908년 항로표지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1902년 3월 정부는 주요항로에 등대를 건설하기 위하여 해관등대국을 설치하였는데, 1905년 12월 이를 세관공사부 등대국으로 개편하면서 항로표지에 관한 모든 사무를 관장하게 하였다. 1908년 1
-
등대원 / 燈臺員 [사회/사회구조]
등대 또는 등대선의 경보등 및 신호장치를 조작하여 선박의 안전항해를 돕는 사람. 정해진 시간에 등대의 불을 켜고 끄거나 자동적으로 점등과 소등이 되는 자동장치를 조종한다. 부표가 설치된 해안을 점검하여 이상유무를 확인한다. 점등장비와 렌즈를 소제하며 장비를 정비하고
-
등대풀 / Euphorbia helioscopia L. [과학/식물]
대극과에 속하는 이년생 초본식물. 높이가 30㎝에 달하며,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윗부분에 긴 털이 약간 있으며 자르면 유액이 나온다. 잎은 어긋나고 자루가 없으며 주걱모양이다. 길이 1∼3㎝, 너비 6∼20㎜로서 밑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진다. 꽃은 황록색으로 5
-
가덕도등대 / 加德島燈臺 [지리/인문지리]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항동에 있는 등대. 조선 말기인 1902년부터 1910년 사이에 건설된 41개 유인등대 중 하나로서 1909년 12월에 점등을 시작했다. 공사는 당시 등대 건설 소관부서였던 탁지부 등대국에서 맡았지만, 직원이나 기술자가 대부분 일본인이었으므로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