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둔전경략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5)
- 둔전경략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였다. 이 때 고려에 주둔하고 있던 원나라 군대의 식량을 조달하기 위하여 1271년(원종 12) 봉주(鳳州)에 둔전경략사를 설치하고 흔도(忻都)‧사추(史樞)‧홍다구(洪茶丘)를 경략사(經略使)로 삼아 황주(黃州)‧봉주‧금주(金州)의 둔전을 관장하게 하였다.
- 종전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 후기 원나라가 고려에 주둔시켰던 둔전군(屯田軍). [내용] 원나라는 동정(東征), 즉 일본정벌에 필요한 군량미를 확보하기 위하여 1271년(원종 12)봉주(鳳州 : 황해도 봉산)에 둔전경략사(屯田經略司)를 설치하고 봉주ㆍ황주를 비롯...
- 농무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에 농우(農牛)와 농기(農器)를 징수하였던 임시직. [내용] 몽고가 고려를 굴복시킨 뒤 계속하여 일본을 정복하려는 목적으로 출정군(出征軍) 및 전함(戰艦)의 준비를 고려에 명하고, 또한 둔전경략사(屯田經略司)를 봉주(鳳州 : 지금...
- 둔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후기에는 일시적이긴 하지만 원나라가 설치한 둔전과 가호둔전(家戶屯田)이라는 것이 있었다. 원나라는 고려를 침략하는 동안에 일시적으로 둔전을 두었으며, 고려가 출륙환도한 직후인 1271년(원종 12)에도 일본 원정을 위한 발판으로서 둔전경략사(屯田經略司)를 설치하고, 그...
- 몽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고 곧 출륙환도가 실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몽고가 고려의 정치에 간섭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실제로 1270년에 다루가치가 다시 파견되었고, 봉주에 둔전경략사(屯田經略司)가 설치되어 몽고군이 고려에 주둔하게 되었다. 더욱이, 개경환도에 반발하여 삼별초가...이칭별칭몽고족(Mongghol)
고서·고문서(5)
- 원사_元史208 列傳95 外夷1 高麗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2474 중국 정사 원사 열전 350 원종(元宗) 11 1270 11 元史208 列傳95 外夷1 高麗 (至元七年) 十一月 中書省臣言於高麗設置屯田經略司 以阿海軍 몽원특수관계, 사신왕래, 앞의 기사가 원 세조 지원 7년...국가중국 | 서명원사 | 왕대원종(元宗) 11
- 원고려기사_十一月二十五日 中書省奏 於高麗設置屯田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5824 중국 정서 원고려기사 (元 世祖) 126 원종(元宗) 11 1270 11 25 十一月二十五日 中書省奏 於高麗設置屯田經略司 以阿海軍 몽원특수관계, 사신왕래, 앞의 기사가 원 세조 지원 7년으로 편년되어 같은 해로...국가중국 | 서명원고려기사 | 왕대원종(元宗) 11
- 다구(茶丘)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百, 屯王京伺察其國中. 遂以[阿海]爲安撫使. 十一月, 中書省臣言於[高麗]設置屯田經略司. 以[忻都]․[史樞]爲[鳳州]等處經略使, 佩虎符, 領軍五千屯田於[金州]; 又令[洪茶丘]以舊領民二千屯田, [阿剌帖木兒]爲副經略司, 總轄之, 而罷[阿海]軍.출처전거元史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도(江華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七月, 丞相[安童]等言, [頭輦哥]等遣[大托]․[忙古䚟]來言, 令[阿海]領軍一千五百, 屯王京伺察其國中. 遂以[阿海]爲安撫使. 十一月, 中書省臣言於[高麗]設置屯田經略司. 以[忻都]․[史樞]爲[鳳州]等處經略使, 佩虎符, 領軍五千屯田於[金州]; 又令[洪茶丘 ...출처전거元史 | 지역분류인천광역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목암집_牧庵集16 榮祿大夫福建等處行中書省平章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起平宋本置屯田經畧司于河之安以太尉爲使都督爲屯田萬户將兵二萬戍鄧當荆閫衝嵗内辰是地生公㓜爲太尉所奇愛異他孫後罷世侯移都督牧東平至元六年方圍襄陽太尉以開封奉朝請制始以元子格爲萬户猶避鄧之舊軍將亳州兵時未有子屢求子公太尉許之凡圍襄下卾無不與偕由是知兵甫及冠行省版長千夫從參政崔公斌逐趙宣機餘冠萬人公居顔行...국가중국 | 서명목암집 | 왕대기타
주제어사전(1)
-
둔전경략사 / 屯田經略司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에 원나라의 간섭 아래 설치되었던 둔전의 관리기구. 원나라 군대의 식량을 조달하기 위하여 1271년(원종 12) 봉주(鳳州)에 둔전경략사를 설치하고 흔도(忻都)·사추(史樞)·홍다구(洪茶丘)를 경략사(經略使)로 삼아 황주(黃州)·봉주·금주(金州)의 둔전을 관장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