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둔전” 에 대한 검색결과 1,44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20)

사전(42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러나 후대에는 관청의 경비를 보충하기 위해 설치한 토지도 이라 하였다. ≪경국대전≫에서는 전자를 국(國), 후자를 관(官)이라 하여 서로 구별하였다. 조선시대 말기에는 둔토(屯土)라고도 하였다. 은 중국 한나라에서 처음 설치되었다. 우리...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변경이나 군사요지에 설치해 군량에 충당한 토지.
    정의변경이나 군사요지에 설치해 군량에 충당한 토지.[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dunjeon | MR표기tunj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F3_D_0045 조세 民食草木實, 中外 本國 元帝 麗史 D_18_04_11 대동운부군옥 18권 4장 11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8권 4장 1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F3_S_0012 조세 之獘, 京司, 邊邑空地, 戍卒, 漕運之費, 隂竹, 沿海, 田官, 田賦, 衙門之獘, 積瘼, 改革, 弥縫善處之道, 納稅, 豪民 麗時, 末世 沿海 許相, 我太祖, 孟休 封事 S_16_01_12 성호사설 ...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16권 1장 1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E4_D_0071 정책-제도 耕牛, 糧餉, 困民, 草木之實 黃鳳州, 鳳州, 本國 元世祖 麗史 D_05_01_22 대동운부군옥 5권 1장 22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5권 1장 2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911)

  • 15015 B015015 강화 江華 경제산업 太宗實錄 十四年(1414) 九月 태종실록_11409016_006 ○命營江華。 上謂戶曹判書朴信曰: “今年築江華堤堰, 可耕之地幾至千結, 明年爲始, 令船軍耕種, 以爲。 若通津地高陽防築, 可耕之地不多, 宜令前日自占諸...
    출처전거太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0066 B030066 국 문화 世宗實錄 七年(1425) 十一月 세종실록_10711025_003 ○戶曹據咸吉道監司關啓: “鏡城郡於移管國土瘠, 所收甚少, 以有數正軍, 當防禦最緊四五月間, 來往耕耘於二十里之地, 倘遇賊至, 不及應變, 有乖養兵備禦之計。 請革...
    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0067 B030067 국 문화 世宗實錄 八年(1426) 夏四月 세종실록_10804016_002 ○忠淸道監司柳季聞、知淸風郡事 金自養拜辭, 上引見謂季聞曰: “憂旱恐懼, 卿悉知之, 體予此懷, 恪修爾職。 近來旱乾不雨, 飢饉荐臻, 故賑恤窮乏, 已曾行移, 然來歲之...
    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0068 B030068 국 문화 世宗實錄 八年(1426) 夏四月 세종실록_10804016_002 ... 故賑恤窮乏, 已曾行移, 然來歲之事, 未可知也, 發倉賑濟, 勿爲太急, 量宜施行。 且勸農桑, 以厚民生。” 季聞仍啓國農所有弊之故, 上然之曰: “在邊鎭聚軍人...
    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0069 B030069 국 문화 世宗實錄 八年(1426) 夏四月 세종실록_10804028_002 遇衙祿, 有所不足, 不得已傳請國庫, 而事發, 則以那移出納, 貶之。 又或不得已興販, 而事覺, 則以謂興利自奉, 黜之, 其爲守令者, 誠可憐憫。 萬一衙祿乏絶, 則斂於...
    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2)

  • 강인덕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월남민 생애구술자료 강인덕 강인덕 역사 인물 현대 평남 평양시 구술자료 -마을에서 유복한 유년시절
    구술자강인덕 | 직업장관 | 지역평안도
  • 기서 이제 생활을. 산에서 나 무 찍어다 오막살이집을 짓고 거기서 한 3년 동안 살았어요. 3년 동안 살다가 정부에서 “너희는 여기서 도저히 살기가 힘드니까 군내면 리 간척지로 나가서 농사지으면서 살아라.” 그래서 59 년도에 일루 나왔어요, 우리가. 59년도 나와
    조사지역전남 진도 | 조사일2014년 04월 26일

기초학문(1)

  • 朝鮮後期 軍‧衙門 의 經營形態 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송양섭, 게재일 : 2001
    11349 송양섭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2001 朝鮮後期 軍‧衙門 의 經營形態 硏究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
    유형논문 | 게재일2001

신문·잡지(13)

멀티미디어(59)

  • 조선 시대 조성과 간척 1_ 강화도 선두포언_3주차_1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1주차. 세계의 간척과 한국의 간척 2주차. 간척 관련 자료 유형과 이용법 3주차. 조선 시대 조성과 간척 1: 강화도 선두포언 4주차. 조선 시대 조성과 간척 2: 시흥시 호조벌 5주차. 조선 시대 궁방전 조성과 간척: 부안군 용동궁 삼간평 간척지 6주차
    강좌제목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 강의자양선아 교수
  • 조선 시대 조성과 간척 1_ 강화도 선두포언_3주차_2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1주차. 세계의 간척과 한국의 간척 2주차. 간척 관련 자료 유형과 이용법 3주차. 조선 시대 조성과 간척 1: 강화도 선두포언 4주차. 조선 시대 조성과 간척 2: 시흥시 호조벌 5주차. 조선 시대 궁방전 조성과 간척: 부안군 용동궁 삼간평 간척지 6주차
    강좌제목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 강의자양선아 교수
  • 조선 시대 조성과 간척 1_ 강화도 선두포언_3주차_3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1주차. 세계의 간척과 한국의 간척 2주차. 간척 관련 자료 유형과 이용법 3주차. 조선 시대 조성과 간척 1: 강화도 선두포언 4주차. 조선 시대 조성과 간척 2: 시흥시 호조벌 5주차. 조선 시대 궁방전 조성과 간척: 부안군 용동궁 삼간평 간척지 6주차
    강좌제목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 강의자양선아 교수
  • 조선 시대 조성과 간척 1_ 강화도 선두포언_3주차_4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1주차. 세계의 간척과 한국의 간척 2주차. 간척 관련 자료 유형과 이용법 3주차. 조선 시대 조성과 간척 1: 강화도 선두포언 4주차. 조선 시대 조성과 간척 2: 시흥시 호조벌 5주차. 조선 시대 궁방전 조성과 간척: 부안군 용동궁 삼간평 간척지 6주차
    강좌제목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 강의자양선아 교수
  • 조선 시대 조성과 간척 1_ 강화도 선두포언_3주차_5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1주차. 세계의 간척과 한국의 간척 2주차. 간척 관련 자료 유형과 이용법 3주차. 조선 시대 조성과 간척 1: 강화도 선두포언 4주차. 조선 시대 조성과 간척 2: 시흥시 호조벌 5주차. 조선 시대 궁방전 조성과 간척: 부안군 용동궁 삼간평 간척지 6주차
    강좌제목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 강의자양선아 교수

기타자료(7)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金 개성부 만월정 236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동청송;董靑松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9164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1942년 11월 현재, 제20호) 1942―12 38면 동청송;董靑松 함북 명천군 하가면 동 본과 제2회 1925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학교 중앙박물관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리 강원도 양양군 1차:700평 문화재위원회 제1분과위원회 제18차회의에서 선리원지의 유물 4점을 보물로 지정함과 동시에 진전사지 삼층석탑은 국보로, 동 부도는 보물로 지정하여 시급히 복원 보호책을 세울 것을...
    발행연도1989/6/25 | 발굴기관단국대학교 중앙박물관 | 발굴지역강원도
  • 해당하는 목넘어골 맞은편 해안 및 저수지 구간은 본래 성벽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어 왔으나 이번에 벽파마을 서쪽의 바다로 돌출된 산 능선에도 성벽이 존재하는 것으로 새롭게 확인되었기 때문에 이 구간을 포함하면 전체길이는 13km가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
    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목포대학교박물관/진도군 | 발굴지역전라남도
  • 당 설인귀가 임윤법사(琳潤法師)에가 편지를 위임하여 신라왕에게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를 마음대로 해치고 이웃 나라와의 우호를 어기고 속이면서 한쪽 모퉁이 땅 구석진 곳에서 집집마다 군사를 징발하고 해마다 무기를 들어 과부들이 군량의 수레를 끌고 어린 아이가 ()을 경작하니, 지키려 해도 버틸 수 없고 나아가려 해도 겨루지 못합니다. 얻은 것으...
    대표표제어당 설인귀가 임윤법사(琳潤法師)에가 편지를 위임하여 신라왕에게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71(辛未/신라 문무왕 11/唐 咸亨 2/倭 天智 10)

주제어사전(22)

  • / [역사]

    이라 하였다. ≪경국대전≫에서는 전자를 국(國), 후자를 관(官)이라 하여 서로 구별하였다.

  • / 官 [경제·산업/경제]

    고려·조선 시대 각 지방의 행정·군사·교통 기관의 운영 경비를 보조하기 위해 국가에서 설정했던 토지. 의 기원은 원래 변경 지역의 주둔 군사가 국방에 임하면서 한편으로는 황무지를 개간, 경작해 군량곡을 보충한다는 명목에서 비롯된 것이다.

  • / 國 [경제·산업/경제]

    조선 초기 본래의 군수 용도의 명목을 위한 토지. ≪경국대전≫에 의하면 ‘군인이 경작해 그 수확을 군자곡에 보충하는 토지’라고 규정하고 있다.

  • / 軍 [경제·산업/경제]

    고려·조선 시대에 변경 지대나 군 주둔지에 군량 조달 또는 군수 운용을 목적으로 경작된 토지. 여러 중에 경작하면서 지킨다는 본래의 취지를 가장 온전하게 지니고 있는 토지이다.

  • 촌 / [사회/촌락]

    고려·조선시대 을 경작하는 농민이 거주하던 마을. 은 수병(戍兵)과 한민(閑民)의 노동력으로 한광지(閑曠地)를 개간, 경작하여 군자(軍資)를 마련하기 위하여 고려시대 이후 널리 설치되었다. 즉, 을 설치함으로써 방수(防戍)·토지개간·진휼의 효과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