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둔아병” 에 대한 검색결과 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둔전을 경작하는 남한산성의 수어청 소속 병사. [내용] 아병은 본래 대장 휘하의 군병이라는 뜻으로 조선 후기에 지방 감영‧병영 등의 군사도 아병이라고 하였으나, 은 수어청뿐이었다. 총융청의 장초군(壯抄軍)‧둔장초(...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둔전(屯田) 둔군(屯軍), 아병(牙兵), 유민(流民), 둔전(屯田), 둔민(屯民) 경제재정/역 직역 대한민국 조선시대 조선시대 송양섭 [정의] 조선후기
    상위어둔전(屯田) | 관련어둔군(屯軍), 아병(牙兵), 유민(流民), 둔전(屯田), 둔민(屯民)
  • 둔전군(屯田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둔전군 둔전군 屯田軍 둔군(屯軍), 둔민(屯民) 둔전(屯田) () 관둔전(官屯田), 모민설둔(募民設屯), 유민(流民) 경제재정/역 직역 대한민국 조선시대 조선시대 송양섭
    상위어둔전(屯田) | 동의어둔아병(屯牙兵) | 관련어관둔전(官屯田), 모민설둔(募民設屯), 유민(流民)
  • 총융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0초와 () 3초가 첨가되어 이른바 내영제(內營制)가 성립되었다. 이로써 2부의 내영, 3영의 외영체제가 [그림] 과 같이 갖추어졌다. 각 부‧영에는 지곡관(知穀官)‧기패관(旗牌官) 등의 훈련 담당관이 있었으며, 수원이 유수부로 승격하면서 중영은 파...
    이칭별칭총위영
  • 아병(牙兵)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지에 할당되었다. 아병은 부(部)나 초(哨)라는 조직으로 구성되었다. 가령 1764년(숙종 즉위년) 총융청은 그 수하 조직에 친병(親兵)인 아병 10초와 () 3초를 더하였다. 18세기 전반기를 통하여 중앙의 군문에 소속된 아병에 대하여 군문별·군현별 군...
    상위어군역(軍役) | 동의어초아병(哨牙兵), 별아병천총(別牙兵千摠), 친아병(親牙兵) | 관련어아병보(牙兵保)

고서·고문서(2)

  • 25901 B025901 고파지도 古波知島 도서 충청남도 大東地誌 권3 충청도 瑞山 _ 平薪鎭古助立部曲今大山串北六十里至于串末九十里平坡一支斗入海中周百餘里移波知浦萬戶于此陞僉使 正宗甲寅爲獨鎭○水軍僉節制使兼總理營把總一員○有牧場周二十里甲寅罷因減僉使兼監牧官革廢波知浦鎭北三十...
    출처전거大東地誌 | 지역분류충청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管城衛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英宗朝革,屬摠戎廳。○臣謹案 守禦廳旣罷,而歸之於南漢,則摠戎廳亦當罷,而歸之於北漢。然則管城衛,當別爲一官矣。今按 原編,摠戎廳,將官二十四人,軍官三百三十二人,壯抄十哨,牙兵十哨,屯壯兵三哨,三哨,標下軍三百八十六人。又以南陽爲前營,坡州爲中營,長湍爲後營。又以臨津ㆍ長山,屬之於本廳,各...
    권차명經世遺表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주제어사전(1)

  • / [경제·산업/산업]

    의 일부는 의 생계비로 할당되고, 나머지는 본청 소속 아병의 봄·가을 조련 비용에 충당하였다. 1666년(현종 7)의 수어청 아병은 3,500명 정도였다. 은 전·좌·우·후의 4영의 아병과는 별도로 좌·중·우의 3부로 편성되었으며, 1687년(숙종 13)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