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두창경험방” 에 대한 검색결과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용산요두편(龍山療痘篇)』에서도 박진희의 두방(痘方)을 참고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책의 사장본(私藏本)의 서(序) 또는 책의 끝에도 간행연대는 씌어 있지 않다. 미키(三木榮)가 편집, 간행한 『조선의학사급질병사(朝鮮醫學史及疾病史)』에 기재한 에...
  • 용산요두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72년(현종 13) 이번(李蕃)이 지은 두창(痘瘡: 천연두)에 관한 의서(醫書). [내용] 1권 1책. 필사본. 이 책은 박진희(朴震禧)의 『()』을 참고로 하여 편술한 것이다. 김두종가(金斗鍾家)에 소...
  • 언해태산집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도 하므로, 한방의학사료로서의 가치 또한 적지 않을 것으로 평가된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도서에 있으며, 1973년 아세아문화사(亞細亞文化社)에서 ≪언해 諺解≫‧≪언해두창집요 諺解痘瘡集要≫‧≪언해납약증치방 諺解臘藥證治方≫‧≪언해구급방 諺解救急...
    연계항목언해태산집요(諺解胎産集要)
  • 사의경험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兒)‧()‧저부(疽部) 등으로 일상 경험의 모든 병에 대하여 간단한 처방을 기재하였다. 이 책들은 계속 간행되어 민간의방서로서 애용되었는데, 그 특징은 『경험방』‧『본초서』‧『동의문견방』 등의 출전(出典)을 밝혀서 그 내용을 충실히 하였고, 증...
  • 수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나라에서의 수두의 기록은 이보다 비교적 뒤인 것으로 밝혀져 있다. 조선 세종 때의 ≪향약집성방 鄕藥集成方≫은 물론이거니와 ≪두창집요 痘瘡集要≫‧≪동의보감≫‧≪ ≫을 보아도 수두에 대한 기록은 없다. ≪명종실록≫ 권26을 보면 대소창진(大小瘡疹)...

고서·고문서(2)

주제어사전(2)

  • / [언론·출판/출판]

    조선 중기에 박진희(朴震禧)가 지은 두창 치료 의서. 1권 1책. 목판본. 두의(痘醫)로서 공로가 큰 저자의 경험방으로 알려져 있으나 발행연대는 확실하지 않다. 1636년(인조 14) 이식(李植)의 속수본인 『고사촬요(攷事撮要)』에는 인용이 되지 않았으며, 현종 말경

  • 두창방 / 痘瘡方 [언론·출판]

    저자 조태과(18세기). 필사본. <두창방>은 선장본으로 1책 31장이다. 이 책은 <두창방서>를 시작으로, 다음 장에 <두창방목록> 이 있고, 목록 다음에는 <>이라는 제목으로 본문이 시작된다. 두창을 앓으면 여러 가지 증상이 있는데 <인후통>부터 <뇨삽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