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두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2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23)
사전(117)
- 두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두창바이러스(smallpox virus)로 발병하는 악성 전염병. [내용] 제1종법정전염병의 하나이다. 천연두(天然痘)‧손님‧마마(媽媽)‧포창(疱瘡)‧호역(戶疫) 등 많은 병명으로 불리었다. 증세는 중한 전신증상(오한‧발열두통‧요통 등)...이칭별칭마마|천연두
- 두창(痘瘡)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두창 두창 痘瘡 두진(痘疹), 두역(痘疫), 마마병[마마病], 완두창(豌豆瘡), 역, 천연두 고금경험활유방(古今經驗活幼方), 두창경험방(痘瘡經驗方), 언해두창집요(諺解痘瘡集要), 종두법(種痘法) 문화의학·약학/병명 개념용어 ...동의어두진(痘疹), 두역(痘疫), 마마병[마마病], 완두창(豌豆瘡), 역, 천연두 | 관련어고금경험활유방(古今經驗活幼方), 두창경험방(痘瘡經驗方), 언해두창집요(諺解痘瘡集要), 종두법(種痘法)
- 석두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었다. 석두창에는 적재량이 1천석(石)인 초마선(哨馬船) 6척이 있었고, 이를 관리하며 조운을 주관하던 판관(判官)이 중앙에서 파견나와 있었다. 판관은 외관록(外官祿) 20석을 받으며, 향리(鄕吏)ㆍ초공(梢工 : 뱃사공)ㆍ수수(水手) 등을 지휘하여 업무를 수행하...
- 원두창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심연춘의 간부이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피두창(皮頭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피두창 피두창 皮頭槍 정치군사·국방/병기 물품 도구 대한민국 조선 조선 심승구 [정의] 창끝에 가죽을 씌워 상대를 다치지 않게 만든 연습용 창. [개설] 조선시대에 마...
고서·고문서(457)
- 頭瘡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鄕藥集成方 第四十六 頭瘡 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165 頭瘡 聖惠方論曰夫諸陽之脈皆上於頭頭爲陽陽爲表陽盛則表熱若人體虛腠理開洩爲風邪所客風之與熱搏於氣血氣血凝澁留於皮膚故令頭生瘡也【聖惠方】治頭瘡經久不差 樑上塵一兩細硏每用時先以皂莢湯洗瘡拭令乾以生油調塗...서명鄕藥集成方 | 저자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小兒頭瘡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鄕藥集成方 第七十三 小兒頭瘡 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111 小兒頭瘡 聖惠方論曰夫小兒頭瘡者由臟腑有熱熱氣上衝頭而復有風濕乘之濕熱相搏折於血氣而變生瘡也 聖惠方〔鷄子膏〕治小兒頭瘡及白禿瘡 新鷄子七枚去殼 膩粉半兩 麝香一分細硏婦人油髮一團如鷄子大 右先將...서명鄕藥集成方 | 저자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頭瘡白禿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鄕藥集成方 第四十六 頭瘡白禿 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165 頭瘡白禿 聖惠方論曰凡人皆有九蟲在腹內値血氣虛則能侵蝕而蟲發動最能生瘡乃成疽癬蝸疥之屬無所不爲言白禿者皆由此蟲所作謂在頭上生瘡有白痂甚痒其上髮竝不生故謂之白禿也【聖惠方】治白禿 鵓鴿糞擣爲散先以醋米...서명鄕藥集成方 | 저자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斑豆瘡入眼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鄕藥集成方 第三十二 斑豆瘡入眼 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211 斑豆瘡入眼 聖惠方論曰夫斑瘡入眼者由因患傷寒時行熱病毒氣蒸眼其眼澁痛或有片片黃赤如玳瑁色上似粟顆瘡生是也不可便點藥入眼則使眼爛其眼當枯也又豆子瘡入眼者眼中有疼痛眼腫不開亦忌點藥候瘡子出眼卽漸差唯宜利...서명鄕藥集成方 | 저자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小兒胗豆瘡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鄕藥集成方 第六十九 小兒胗豆瘡 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354 小兒胗豆瘡 聖惠方論曰夫嬰孩患胗豆瘡子者皆是積熱在於藏腑蒸鬱熱毒散於四肢小兒皮肉嫩弱多成此疾凡食乳嬰孩湯藥不可與童兒同療則藥過劑必有損也蓋由飮啜熱乳在於藏腑熱極方成此疾腑熱生於細胗藏熱生於豆瘡積熱伏...서명鄕藥集成方 | 저자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기초학문(1)
- 朝鮮前期 痘瘡 流行과 瘡疹集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070549 한국연구재단 한국한의학연구원 2010 朝鮮前期 痘瘡 流行과 瘡疹集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10)
- 닭의 병[鷄病] 간이(簡易) 치료법(治療法)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닭의 병에 대한 간이 치료법을 소개한 글 식체(食滯) 병, 지리(趾裏) 종처(腫處), 닭벼슬의 동상, 노포(魯布) 병, 부상, 눈병, 골절, 설사, 두창 태극학보번역문.pdf잡지명태극학보(太極學報) | 호수태극학보(太極學報)_25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饌缸屬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평동거 젼찬졍 리용직씨가에셔 년젼에 쳔 벽란진에 나루셔두고왕인마도셥케며 도공을차츌야 션셰를밧게고 그셰랍즁에셔 각죵찬물을츈츄 량등으로 례랍거시 젹지안이더니 벽란도인민등이 학교셜치고 학부에쳥원야 그 나루셰 학교에 부속지라 벽란진도공리두...게재일1906년 10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 조선급만주_1923_18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麥原朝臣 55 怖るべき黑痘瘡 동방생 57 痘瘡の傳染と朝鮮の傳染病に就て 志賀潔 62 痘瘡に就て...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3
- 투사신문_1948_1021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류행하여 크게 우려와 공포를 일으키고 있다 한다. 즉 지난 27일부터 3일까지에 서울 순화병원에 나타난 전염병 환자만 하여도 적리가 6명 두창 32명 장질부사 16명이 된다고 한다. 그런데 소위 『당국』자들의 무조치로 말미암아 전염병은 만연일로를 걷고 있는데 인민들...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48_1021_03 | 책임주필한효
- 보위_1950_0823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10 정준기 김동렬 김제춘, 우두창, 리승만 인민군대, 서울간호원학교 김제춘 동무가 속하고 있는 구분대의 간호원 우두창 동무는 우리 인민군대의 영용한 진격으로써 서울이 해방되자 곧 우리 부대에 들어와 열성있게 투쟁하는 동무이다. 동무는 서울이...대표표제어보위_1950_0823_02 | 책임주필정준기
멀티미디어(31)
- 지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주차. 질병과 문명 2주차. 근대 병원의 계보 3주차. 근대 의학교육과 면허 4주차. 두창과 근대국가 5주차. 콜레라와 근대 문명 6주차. 페스트와 제국의학 7주차. 국가 위생의료 체제 8주차. 지역 위생의료체제 9주차. 식민지 위강좌제목질병과 의료로 본 동아시아사 | 강의자신규환 교수
- 지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주차. 질병과 문명 2주차. 근대 병원의 계보 3주차. 근대 의학교육과 면허 4주차. 두창과 근대국가 5주차. 콜레라와 근대 문명 6주차. 페스트와 제국의학 7주차. 국가 위생의료 체제 8주차. 지역 위생의료체제 9주차. 식민지 위강좌제목질병과 의료로 본 동아시아사 | 강의자신규환 교수
- 지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주차. 질병과 문명 2주차. 근대 병원의 계보 3주차. 근대 의학교육과 면허 4주차. 두창과 근대국가 5주차. 콜레라와 근대 문명 6주차. 페스트와 제국의학 7주차. 국가 위생의료 체제 8주차. 지역 위생의료체제 9주차. 식민지 위강좌제목질병과 의료로 본 동아시아사 | 강의자신규환 교수
- 고당-수산간 도로건설공사구간내 용인 두창리유적-용인 근삼리‧백봉리유적-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고당-수산간 도로건설공사구간내 용인 두창리유적-용인 근삼리‧백봉리유적- Y5-0050_#1 유구 原色寫眞 1 杜倉里 調査地域 ②細部全景(空中撮影) 2013-12-11_0.5140345_原色寫眞 1 杜倉里 調査地域 ②細部全景(空中撮影).jpg제목고당-수산간 도로건설공사구간내 용인 두창리유적-용인 근삼리‧백봉리유적-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지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주차. 질병과 문명 2주차. 근대 병원의 계보 3주차. 근대 의학교육과 면허 4주차. 두창과 근대국가 5주차. 콜레라와 근대 문명 6주차. 페스트와 제국의학 7주차. 국가 위생의료 체제 8주차. 지역 위생의료체제 9주차. 식민지 위강좌제목질병과 의료로 본 동아시아사 | 강의자신규환 교수
기타자료(7)
- 노두창;盧斗昌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7488 남한 경성 경신학교 1-23 회원명부 1943―09 54면 노두창;盧斗昌 충남 대전군 구즉면 문지리 (조선총독부 식산국 광산과) 제29회 1935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두창규;杜暢奎;靑山暢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0734 남한 경북 김천고등보통학교 2-12 校友會誌 제5집 1941―03―03 43면 두창규;杜暢奎;靑山暢奎 대구부 명치정 169 제1회 1936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김천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고당-수산간 도로건설공사구간내 용인 두창리유적-용인 근삼리‧백봉리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Y5-0050 유구 2013-08-30_0.7274134_중앙문화재연구원_고당-수산간 도로건설공사구간내 용인 두창리유적-용인 근삼리‧백봉리유적-_2006(표지).jpg 고당-수산간 도로건설공사구간내 용인 두창리유적-용인 근삼리‧백봉리유적- 高塘-樹山間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중앙문화재연구원/경기도건설본부 | 발굴지역경기도
- 박해창;朴海昌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12734 남한 경성 양정고등보통학교 1-35 양정 제6호 1930 89면 1. 양정교우회 회원명부;1) 통상회원;(9) 제1학년 을 (75명) 박해창;朴海昌 (원적)경기 용인군 원삼면 두창리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양정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일본 嵯峨天皇이 발해 僖王에게 보내는 詔書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시문을 통해 추측할 수 있다. 왕효렴은 「두창」을 앓아 급사하였다는 점이나 다른 발해사의 죽음도 본 조서를 통해 알 수 있다. 【원문】 (五月 丁卯 遣使賜渤海副使高景秀已下 大通事已上夏衣 是日 賜渤海王書曰) 天皇敬問渤海王 孝廉等至 省啓具懷 先王不終遐壽 奄然殂背 乍聞...대표표제어일본 嵯峨天皇이 발해 僖王에게 보내는 詔書 | 주제분류외교문서
주제어사전(6)
-
두창 / 痘瘡 [과학/의약학]
두창바이러스(smallpox virus)로 발병하는 악성 전염병. 제1종법정전염병의 하나이다. 천연두(天然痘)·손님·마마(媽媽)·포창(疱瘡)·호역(戶疫) 등 많은 병명으로 불리었다. 증세는 중한 전신증상(오한·발열두통·요통 등)과 피부 및 점막(粘膜)에 구진(丘疹)·
-
두창방 / 痘瘡方 [언론·출판]
저자 조태과(18세기). 필사본. <두창방>은 선장본으로 1책 31장이다. 이 책은 <두창방서>를 시작으로, 다음 장에 <두창방목록> 이 있고, 목록 다음에는 <두창경험방>이라는 제목으로 본문이 시작된다. 두창을 앓으면 여러 가지 증상이 있는데 <인후통>부터 <뇨삽변
-
두창경험방 / 痘瘡經驗方 [언론·출판/출판]
조선 중기에 박진희(朴震禧)가 지은 두창 치료 의서. 1권 1책. 목판본. 두의(痘醫)로서 공로가 큰 저자의 경험방으로 알려져 있으나 발행연대는 확실하지 않다. 1636년(인조 14) 이식(李植)의 속수본인 『고사촬요(攷事撮要)』에는 인용이 되지 않았으며, 현종 말
-
언해두창집요 / 諺解痘瘡集要 [언론·출판/출판]
1601년(선조 34)에 허준(許浚)이 왕의 명을 받아 지은 것을 1608년에 내의원(內醫院)에서 발간한 의서(醫書). 2권 2책. 목판본. 이 책은 상권에 두창의 원인·예방법 및 그 증상, 그리고 이들의 해독법(解毒法)에 대하여 설명하고, 하권에는 두창에서 일어나
-
단양구인사금동구층소탑 / 丹陽救仁寺金銅九層小塔 [예술·체육/공예]
의 대상으로 삼거나 탑 내에 안치되는데, 조성 당시의 목조 건축물의 구조를 일정 부분 반영한다. 작은 금동 탑의 예로서는 보기 드물게 각 면에 페르시아풍의 화두창(花頭窓)이 표현되어 있어 그 시대의 문화 교류와 영향을 보여 준다. 우리나라에서 금·금동·청동으로 주조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