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두음법칙”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
사전(9)
- 加卵花簪 [조선 후기 물명 집성과 DB 구축 | 한국학중앙연구원]를 지나면서 ‘ㄹ’이 어두에 나타날 수 없는 두음법칙이 생겨서 ‘란’이 어두에 올 때는 ‘난’으로 표기되었다. 1책본의 ‘난화’는 이와 같은 두음법칙이 적용된 것이고, 6책본에서는 ‘蘭’이 어두에 쓰인 것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본래 한자음대로 ‘란’으로 나타난 것이다...현대음가란화잠 | 현대대응어가란화잠. 머리 부분에 난초와 꽃잎을 조각하여 장식한 비녀. | 키워드복식. 장신구. 비녀
- 실용간명개정철자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를 폐지하고 ㅅ계 합용병서(된시옷)을 각자 병서로 대체하고 분철 표기를 적용하며 조사 ‘의’와 ‘에’를 구별하여 적는 것 등이 모두 현행 한글 맞춤법과 일치하는 모습을 보인다. 구개음화 현상과 두음법칙이 적용된 발음을 표기에 반영하도록 한 점 역시 현행 철자법과 같...
- 형세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국 화본소설이 일찍부터 우리 나라에 전래되어 읽혔음을 알 수 있다. 국어학적으로 살펴보면, 어두 합용병서로 ‘○’, ‘ㅼ’, ‘ㅳ’, ‘ㅄ’, ‘ㅶ’, ‘ㅺ’가 쓰이고, 구개음화와 두음법칙이 표기에 반영되지 않았다. ‘ㅎ’종성체언의 ‘ㅎ’은 탈락되지 않고 그대로...
- 문화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뎅이’, ‘가슴헤염’, ‘회파람’, ‘수집다’, ‘논뚝’). 남한의 표준어와 비교하면 두음법칙의 적용(‘림시’(임시), ‘녀성’(여성))과 한자어의 독음(‘외곡’(왜곡, 歪曲), ‘사촉’(사주, 使嗾), ‘홍문’(항문, 肛門)) 등에서 차이가 현저하다. 외래어는 러시아...
- 서북방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에 비하여 한 단계씩 앞으로 나와 있다. 개별적인 음운현상에 있어서 두드러진 것은 ㄷ구개음화는 물론이고, ㅎ구개음화(평안남도와 접한 황해도는 이 현상이 도내 전역에서 나타남.)도 수용하지 않는 것과, 어두(語頭)의 /ㄴ/(상승이중모음에 선행)을 유지(이른바 두음법칙이...
고서·고문서(5)
- 〈漢韓大辭典(1권)〉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서 만들어 진 글자 중 우리나라에서도 사용되는 글자는 , 現代에 새로 사용되는 한자는 의 기호를 붙였다. 두음법칙에 의해 다르게 표시될 수 있는 한자의 경우 두음법칙에 의한 원음을 本音 뒤에 () 안에 표시하였다. 韻字의 각 모서리에 。로 성조를 표시하였다. 권말에 다...대표표제어〈漢韓大辭典(1권)〉 해제 | 편저자 東亞出版社 辭書部 | 권수 1책
- 적벽가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목인 ‘임술지추칠월기망(壬戌之秋七月旣望, 임술년 가을 칠월 십육일에)’를 인용한 말이다. ‘님슐지’의 ‘님’은 두음법칙이 적용되지 않은 표기 형태이다.에 젹벽노름 엿기로쳔쥬의 말근 말근: 맑[淸]은. 연철 표기 형태이다.일홈 지금의 향기니문의 나흥의 고금가사유형풍류가류 | 소장처금요고서방 | 시대해방이전
- 〈明文漢韓大字典〉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漢字)에 한해서 중국 음을 표기하였다. 한국어 음을 표기하되 두음법칙이 적용되기 이전의 음을 먼저 제시한 다음, 두음법칙이 적용된 이후의 음을 뜻풀이 다음에 제시하였다. 음이 여러 개일 경우에는 항목을 분리하여 제시하였으며, 음에 따라 뜻풀이와 용례를 제시하였으며, 한...대표표제어〈明文漢韓大字典〉 해제 | 편저자金赫濟, 金星元 編著 | 권수1책
- 화전가라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승겨지: 승경지(勝景地).라황계 폭포슈 녕남 녕남: 영남(嶺南). 두음법칙이 적용되지 않은 표기 형태이다.의 유명한변모믈 긔약야 듕심의 쳐시일신이 다고 도로 요원야이젹지 쳔연믈 골슈의 박혓더니슉당과 졔형둘이 번귀경 귀경: 구경. ‘ㅣ’ 모음 역행...가사유형풍류가류, 탄식가류 | 소장처금요고서방 | 시대해방이전
- 몽유가(夢遊歌)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잔의 술만 못하다.’고 말하고는 벼슬을 버리고 강동(江東)으로 떠나갔다.에 롱어 롱어: 농어(濃魚). 농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한자어로는 노어(鱸魚)라고 한다. 두음법칙이 적용되지 않은 표기 형태이다.는 살이졋다 살이졌다: 살졌다. 살이 올랐다. ‘살지다’는 15세...가사유형몽유가류 | 소장처김구현 | 시대해방이전
기초학문(1)
- 본음 복원 두음법칙 단어의 학습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광오, 게재일 : 201348748 이광오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교육심리학회 2013 본음 복원 두음법칙 단어의 학습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유형논문 | 게재일2013
주제어사전(1)
-
두음법칙 / 頭音法則 [언어/언어/문자]
단어의 첫머리[語頭]에 올 수 있는 자음에 제약이 옴으로써 일어나는 현상. ① 유음(流音) ‘ㄹ’이 어두에 올 수 없다. [i]나 [j] 앞에서 ‘ㄹ’은 ø(영 零)이 되며, ‘ㅏㆍㅓㆍㅗㆍㅜㆍㅡㆍㅐㆍㅔㆍㅚ’ 앞에서 ‘ㄴ’으로 변한다. ② 비음(鼻音) ‘ㄴ’이 어두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