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두릅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3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2)

사전(2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과에 속하는 낙엽관목. [내용] 한자로는 총목(摠木)이라고 하며, 학명은 Aralia elata SEEM.이다. 우리나라 도처의 산기슭 양지 바른 곳에서 자라는 식물로, 원줄기는 곧게 자라고 가지가 약간 나오며 줄기와 잎에는 가시...
    이칭별칭총목(摠木)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과에 속하는 낙엽관목. [내용] 학명은 Echinopanax horridum (NON DECNE.) KOM.이다. 지리산 이북의 능선 가까운 전석지대에서 자라는 낙엽관목이며 높이 2∼3m자란다. 원줄기는 갈라지지 않고 긴 가시가...
  • 팔손이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과에 속하는 상록관목. [내용] 학명은 Fatsia japonica DECNE. et PLANCH.이다. 우리나라 남해도와 거제도에서 자라고 있는데 줄기에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손바닥꼴로 피며, 7∼9갈래로 갈라져
  • 통영비진도의팔손이나무자생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팔금반(八金盤)‧팔수목(八手木) 등으로도 부른다. 과에 속하는 상록관목이며, 관상용으로 흔히 기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통영시 한산면 비진도에서 자생하고, 북쪽으로는 거제도의 미조리 앞바다 마안도(馬鞍島)에서도 자란다. 비진도의 자생지는 1959년의...
    연계항목통영비진도의팔손이나무자생지(統營比珍島의팔손이나무自生地)
  • 무주설천면의음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있다. 이 마을에서는 음력 정초에 이 나무 앞에서 동제(洞祭)를 지내왔다. 음나무의 어린 잎은 두릅의 대용으로 나물로 쓰이며, 가시가 달린 가지로 대문 위에 올려놓고 마귀의 침입을 막는 관습이 있다. 음나무는 과에 딸린 낙엽활엽교목이며 가지에는 밑이 넓은...

고서·고문서(3)

  • 1563_355_108 1563년4월 ○당(堂) 머물렀다 1563년 4월 20일 정묘. ○당(堂) 머물렀다. ○보명(普明)이 승검초[辛甘菜] 5속(束)‧ 순[木頭菜] 1단(丹)을 보내왔다. 廾日丁卯。 廾日丁卯。 ○留。○普明送辛甘菜五束、木頭...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1563_355_090 1563년4월 ○당(堂) 머물렀다 1563년 4월 2일 기유. ○당(堂) 머물렀다. ○보명(普明)이 순[木頭菜]를 보냈다. 初二日己酉。 初二日己酉。 ○留。○普明送木頭菜。 1563년 4월 2일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동정기(東征記)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운이 살을 에듯 추웠고, 꽃잎은 시들어 생기가 없었다. 산중턱에 도착하니 두견화가 활짝 피었고 나뭇잎은 새순이 돋았다. 곧장 산 밑으로 내려오니 철쭉은 이미 시들었고, 날씨는 온화하고 따뜻하여 비로소 초여름임을 알았다. 가 한창 싹이 나는 것을 보고 일행이 함께...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채지홍(蔡之洪)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기타자료(1)

  •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33.人参 정창원 고대물품 人参 약물(藥物), 약재 北倉 93 총무게 1933.5g 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草本 꽃이나 풀 등)이다....
    대표표제어33.人参 | 주제분류정창원 고대물품

주제어사전(5)

  • / Aralia elata SEEM. [과학/식물]

    과에 속하는 낙엽관목. 한자로는 총목(摠木)이라고 하며, 학명은 Aralia elata SEEM.이다. 우리나라 도처의 산기슭 양지 바른 곳에서 자라는 식물로, 원줄기는 곧게 자라고 가지가 약간 나오며 줄기와 잎에는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며 길이가 40∼1

  • / Echinopanax horridum (NON DECNE.) KOM. [과학/식물]

    과에 속하는 낙엽관목. 지리산 이북의 능선 가까운 전석지대에서 자라는 낙엽관목이며 높이 2∼3m자란다. 원줄기는 갈라지지 않고 긴 가시가 밀생하였다. 잎은 어긋나고 둥글며 길이 15∼30㎝로서 표면의 주맥과 뒷면 맥상에 가시가 밀생한다. 잎 가장자리는 5∼7개

  • 가시오갈피 / Eleutherococcus senticosus (Rupr. & Maxim.) [과학/식물]

    과 오갈피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 가시오갈피는 과에 속하는 작은 나무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러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한반도에는 북한과 남한의 강원도와 경상도 일부 지역의 깊은 산 속에서 드물게 만날 수 있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껍질과 잎

  • 엄나무 / Kalopanax pictus (THUNB.) NAKAI [과학/식물]

    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 높이 25m, 지름 1m에 달하는 거목으로 군집성이 없는 수목이다. 수평적으로는 전국에 분포하며, 표고 100∼1,800m 사이에서 자라나 해발 400∼500m부근의 지대가 중심지이다. 어려서는 내음성이 있어서 다른 나무 밑에서도 천

  • 오갈피나무 / Acanthopanax sessiliflorus (RUPR. et MAX.) SEEM [과학/식물]

    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 높이는 3∼4m에 달하고 뿌리 근처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사방으로 퍼진다. 작은 가지는 회갈색이고 털이 없으며 가시도 거의 없다. 잎은 어긋나고 장상복엽(掌狀複葉)이다. 소엽(小葉)은 3∼5개이고, 도란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