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두레” 에 대한 검색결과 46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40)

사전(22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행되어 왔다. 는 지역에 따라 구성이나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명칭도 다양하여 ‘농사(農社)’‧‘농계(農契)’‧‘농청(農廳)’‧‘농악(農樂)’‧‘농기(農旗)’‧‘목청(牧廳)’‧‘갹사(醵社)’‧‘동네논매기’‧‘길쌈’‧‘돌개기음’ 등으로 불렸다. 또, 는 공동노동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물을 떠 옮기는 데 쓰는 연장. [내용] 물이 낮게 고여서 용를 쓸 수 없고, 또 물과 논밭 사이가 떨어져서 맞를 사용하기 어려운 곳에서 주로 사용한다. 전라남도 보성지방에서는 ‘채’라고 부른다. 서까래처럼 긴 통나무...
    이칭별칭두레채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농민들이 농번기에 농사일을 공동으로 하기 위하여 부락이나 마을 단위로 만든 조직.
    정의농민들이 농번기에 농사일을 공동으로 하기 위하여 부락이나 마을 단위로 만든 조직.[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문광부표기dure | MR표기tur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기로 자루를 박아 쓰기도 한다. 이것은 ‘타래박’이라고 따로 부른다. 박질은 흔히 사람이 두손으로 하지만, 우물가에 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긴 나무를 가로질러, 한끝에서는 돌을 매달고 다른 한끝에는 박을 매달아서, 물을 퍼 올릴 때 돌이 내려가는 힘을 이...
    이칭별칭두룸박|드레박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두 사람이 마주서서 물을 푸는 . [내용] 지역에 따라 ‘쌍’(경기도 화성시)‧‘물두리’(경상남도 창녕)‧‘물파래’(경상북도 울진)‧‘’(전라남도 보성)‧‘고리박’(전라북도 봉동)‧‘고리’‧‘거’라고도 불린다.
    이칭별칭쌍두레|물두리|물파래|두레|고리박|고리두레|거두레

단행본(1)

  • 조선민족의 민속 세시풍속, 관혼상제 및 민속신앙 [중앙민족대학 | 中央民族大學 (Minzu University of China)]
    저자 : 김춘선(중앙민족대학), 박승권(중앙민족대학 조선언어문학부 부교수), 김광영(중앙인민방송국... | 출판사 : 民族出版社 | 출판일 : 2010.09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2)가신신앙 (3)마을 공동신앙 (4)식수일과 신수신앙 (5)와 길쌈

고서·고문서(31)

  • 퉁―탕 〈d〉1930.08.03.〈/d〉
    구분창가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중국 구 11 9 중국, 발신자, 구씨, 한국, 수신자, 구씨, 전화, 주소, 경북, 안동시, 옥동, 세영마을, 103동, 405호...
    대표표제어중국 | 성씨
  • 구인 용로 작업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 용는 물이 많고 무넘이가 높지 않은 곳의 물을 대량으로 퍼 올리는 연장이다. 깊이 1.5m되는 통나무를 앞쪽을 넓고 깊게 파고, 뒷쪽은 좁고 얕게 파낸 다음 뒷쪽에 자루를 달거나, 아예 자루까지 통나무를 통째로 다듬어 만들...
    자료명관개길고 | 발행처京城日之出商行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주역대전 : 井卦_괘사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 19 井卦 괘사 汔至, 亦未繘井, 羸其瓶, 凶. [전의] 거의 이르러도 우물에 줄을 드리우지 못한 것과 같으니, 박을 깨뜨리면 흉하다. [본의] 거의 이르더라도 우물에서 줄을 다 올리지 못하고서 박을 깨뜨리면 흉하다. 中國大全 傳 汔, 幾也,...
    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 우물가에 밤새 소리 들릴 때 뜻 깊은 용문교에 달빛 고이 비친다 이역 하늘 바라보며 활을 쏘던 선구자 지금은 어느 곳에 거친 꿈이 깊었나 용주사 저녁 종이 비암산에 울릴 때 사나이 굳은 마음 길이 새겨 두었네 조국을 찾겠노라 맹세하던 선구자 지금은 어느 곳...
    구분창가

구술자료(157)

  •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제보자의 정보는 먼저 들렀던 신남리에 있는 중앙노인정에서 이미 들은바 있다. 별명이 ‘허대포’라고 할 정도로 이야기 화술이 능란하고 재미있는 사람이란 것이었다. 아닌게아니라 이야기하는 품이 저절로 웃음을 자아내게 하는 기술이 있었다. 이 이야기도 시아버지와 며느...
    조사일시1981-03-28 | 조사장소경기도 강화군 강화읍 | 제보자허황
  • 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장소경상북도 금릉 | 제보자김민식
  • 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물을 풀 때 하는 소리를 어떻게 하느냐고 물어보니 수를 세면서 해야 힘이 안 들고 가만히 앉아서 물만 푸면 힘이 든다고 하면서 짧게 불러주었 다.
    조사일시2009. 2. 10(화) | 조사장소경기도 김포시 하성면 후평2리 417-2 후평2리 마을회관 | 제보자윤석
  • 논매기:만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장소전라남도 함평 | 제보자천학실
  • 질 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장소전라북도 익산 | 제보자김방현

기초학문(2)

  • 사회자본의 관점에서 본 전통사회의 농민조직: 향도, , 계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우영, 게재일 : 2006
    35414 최우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사회자본의 관점에서 본 전통사회의 농민조직: 향도, , 계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논문] 지역어에 대한 인식과 언어 주체형성-‘탯말’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1
    30988 한국연구재단 우리말학회 2011 [논문] 지역어에 대한 인식과 언어 주체형성-‘탯말’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
    유형논문 | 게재일2011

신문·잡지(18)

  • 민세안재홍전집 : 社會進化의 諸段階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526 1930 2 12 56 13 安在鴻 안재홍 朝鮮上古史管見( 十四) 社會進化의 諸段階 四.檀君時代小觀(上) 신문 조선일보 4면1단 석간 논문 역사 직접자료 선집외 檀君 A19300212조...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祖國의守護는民衆協同의힘으로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832 1949 2 15 1 1 安在鴻 안재홍 祖國의守護는民衆協同의힘으로 잡지 협동 32~35쪽 논단 사회 직접자료 7권 金融組合, 돈, 協同組合, 겨레, B19490215협동01
    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고양쥬에 슈륜 셜시 경비가 아마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고양쥬에 슈륜 셜시 경비가 아마 예산건 여만량이 드럿실 터인데 작년에도 물을 넘겨 불과 십여셕 락이 이앙 엿고 금년에도 너머오 물이 두 에 지나지 아니즉 슈십셕 락이밧게 이앙치 못지니 그 쟈본가에 견가 불소리라고들 더라
    게재일1901년 6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보험인 친목 및 연구단체의 소식("박"회) 60 보험일지 61 월말사업보고 62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1
  • 일인이 금년에 한국에나와 고기잡업...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인이 금년에 한국에나와 고기잡업이 만산포 진해 고셩 거제등디 쥬위와 통영근쳐와 시량도 욕거도 근쳐에서 잡것이 작년보다 비샹게 풍셩 지라 그 다고기잡 를 조직야 권쟝후로부터 어업러 나오쟈가 더욱더야 금을 슈효가 일삼십여 두례오 슈효가 오...
    게재일1900년 10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2)

기타자료(2)

  • 국립경주박물관부지내 발굴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지 / 제Ⅳ장 조사내용 1.미술관부지 가.층위 나.유구와 유물 다.지표채집유물 2.연결통로부지 가.층위 나.유구와 유물 1)청동기시대 2)통일신라시대 다.기타 출토유물 라.지표채집유물 / 제Ⅴ자 맺음말 / 도판 / 부록1.미술관 신축부지 출토 박의 수종 및 보존처리...
    발행연도2002 | 발굴기관국립경주박물관 | 발굴지역경상북도
  • 신라 효공왕이 당 소종에게 올린 謝恩表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狩하자, 先臣이 이에 楚袂를 들어 從軍을 志願해 주길 청해서 여울 내리듯[下瀨] 하는 군사를 일제히 징발하여 太祖의 難에 徇職하기를 결심했습니다. 故 東面都統 淮南節度使 高騈이 박줄이 짧은 때문은 아니나, 채찍이 긴 것을 빌려 다만 先聲만을 살피고 장차 後效를 보고...
    대표표제어신라 효공왕이 당 소종에게 올린 謝恩表 | 주제분류외교문서

주제어사전(25)

  • / [사회/촌락]

    중남부지방 논농사 지대에서 한 마을의 성인남자들이 협력하며 농사를 짓거나, 부녀자들이 서로 협력하여 길쌈을 하던 공동노동조직. 남자들의 일은 주로 모내기·김매기 때와 같이 단기간 내에 대규모의 노동력을 집약적으로 투입해야 할 때 관행되어 왔다. 는 지역에 따라 구

  • / [경제·산업/산업]

    두 사람이 마주서서 물을 푸는 . 지역에 따라 ‘쌍’(경기도 화성시)·‘물두리’(경상남도 창녕)·‘물파래’(경상북도 울진)·‘’(전라남도 보성)·‘고리박’(전라북도 봉동)·‘고리’·‘거’라고도 불린다. 목판처럼 바닥이 좁고 위가 넓은 나무그릇 네 귀

  • 세도풍장 / 世道풍장 [생활/민속]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 지역에 전승되고 있는 풍물패 놀이. 이 놀이가 전승되고 있는 세도면 동사리 지역은 논농사를 주로 짓는 농촌마을로서, 농사철에는 조직을 만들어 농사를 지어왔는데, 이를 ‘먹는다’라고 한다. 는 농민들이 농번기에 농사일을 공동으로 하

  • 김포통진놀이 / 金浦通津놀이 [생활/민속]

    경기도 김포시 통진면 옹정리에서 전승되는 민속놀이. 1960년대 경기도 김포시 통진읍 옹정리에서 농번기 때 행하던 풍속을 놀이화함으로써, 1998년 경기도무형문화재 제23호 놀이분야로 지정된 종목이다. 1960대 후반 영농의 기계화와 농약사용으로 일부 마을에 한정

  • 목상동들말놀이 / 木上洞─ [생활/민속]

    대전광역시 대덕구 목상동 들말에서 행해졌던 놀이. 음력 6월 15일 전후에 마을의 중심지인 토산(土山)에서 회의를 열어 농사를 위한 를 조직하고, 마을의 문서와 재정을 담당하는‘좌상’을 선출한다. 풍년을 기원하여 토산에 기를 꽂고 토산제를 지낸 후에, 패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