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된장찌개” 에 대한 검색결과 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

사전(1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러나 언제부터 찌개가 국에서 분화되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만드는 법은 다음과 같다. 쇠고기를 다지고, 마늘을 얇게 저미고, 파는 채썰어서 함께 뚝배기에 담는다. 그리고 된장을 잘 갠 다음에 걸른 속뜨물을 뚝배기에 붓는다. 뚝배기를 중간불에서 끓...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된장에 여러 가지 재료를 넣고 끓인 찌개.
    정의된장에 여러 가지 재료를 넣고 끓인 찌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doenjang jjigae | MR표기toenjang tchiga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근대신어 : 나이스(나이쓰)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報, 1931.1.30. 2면) 쌀밥, 곰국, 전골, 김치, 도미생선구이, 에 나이스 소리를 연발하고(東亞日報, 1931.1.30. 2면) 李鍾極 (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 漢城圖書株式會社 1936 31 성질...
    출전(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漢城圖書株式會社] | 계통분류 [예술감각] 성질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미더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먹기도 하고 에 넣어 먹기도 한다. 특히, 마산지방의 미더덕찜은 향토음식으로 유명하다. 미더덕은 요사이 급격히 그 수요가 늘어나서 양식을 하는 곳도 있다. 1987년의 총생산량은 1만3729M/T였으며, 그 가운데 양식에 의한 생산량은 1987년에 9,0...
  • 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국물이 적은 국이라 하였으니 탕은 국이고 갱은 찌개에 해당되는 것 같다.”라고 하며, 국과 찌개의 구분이 좀더 일찍부터 있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찌개는 생선찌개‧두부찌개‧명란젓찌개 등과 같이 재료에 따라 분류하거나, 새우젓찌개‧고추장찌개‧ 등 조미료에...

고서·고문서(1)

  • 상춘완경가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
    되니 오료 오료: 오료(午料). 점심때 먹는 음식.생각 절로난다단체환영 그린회관 진수성찬 감미 감미: 감미(甘味). 단맛.로다 조기튀김 미나리 별반찬 별반찬: 별반찬(別飯饌). 보통과 다르게 두드러지거나 특별한 반찬.에통김치 공기밥이 더받이 끝이없네용두봉미 팔진...
    가사유형여행가류 | 소장처김구현 | 시대해방이후

구술자료(4)

  • 한국말 잘 몰라요. [조사자: 아 한국말을 잘 모르셨어요?] 권화: 네, 북경에서 그냥 중국 학교 계속 다니니까. 부모님도 그냥 부모님들끼리만 한국어로 얘기 하고 저희 자녀들에게 중국어로 얘기해요. 그래서 차이는 없지만 약간 차이 있고 조선족이면 아무래도
    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권화 [중국(한국계), 여, 1972년생, 결혼이주 8년차] 동순옥 [중국(한국계), 여, 1971년생, 결혼이주 20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임신 육아와 자아 찾기의 갈망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참기름 되게 잘 안 맞아요. 고추장 [조사자: 아, 매워서?] 그거! 매운 것도 맵지만 향이 잘 안 맞아요. [조사자: 향이.] 는 괜찮고. 잘 먹고 있고. [조사자: 그럼 아들 생일 때 미역국 끓여 주세요?] 네. [조사자: 이제 잘 먹어요?] 저희 시댁은 되
    국가캄보디아 | 제보자킴나이키 [캄보디아, 여, 1991년생, 결혼이주 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럼 거기서 보급이 나오면 좀 어떤 집은 옆에 보면 좀 잘해먹는 집이 있고, 어떤 집은 다 뺏겨갖고 좀 그런 집, 그런 집이 있었겠네요?] 그럼요, 뭐... 끓여 가지구선 된장... 그거 인제 저거 해 가지구 끓여 먹지 된장 그것도 인제 얻어서 뭐 끓여 먹는 거
    조사지역강원 춘천 | 조사일2013년 2월 19일
  • 어머니 저희가 조사를 다녀 보면, 중공군들이 그렇게 요강에 밥을 해먹었다고 하세요.] 그게 요강이라고 하는데 그게 투가리. 하여튼 그 사람들이 거쳐간 데는 투가리여. 도자기. 여기로 말하면 도자기, 도자기가 아니라 할 때 투가리 있잖아요. 하여튼 그놈들 그
    조사지역서울 | 조사일2013년 07월 17일

신문·잡지(3)

주제어사전(1)

  • / [생활/식생활]

    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만드는 법은 다음과 같다. 쇠고기를 다지고, 마늘을 얇게 저미고, 파는 채썰어서 함께 뚝배기에 담는다. 그리고 된장을 잘 갠 다음에 걸른 속뜨물을 뚝배기에 붓는다. 뚝배기를 중간불에서 끓이다가, 두부와 버섯을 넣고 다시 끓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