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동화”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02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933)
사전(1,581)
- 동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한 단어 또는 같은 기식군(breath group) 안에 있는 한 음이 다른 음에 영향을 가하여 저와 완전히 같거나 비슷한 음으로 변화하게 하는 현상. [내용] 여기서 영향을 미치는 쪽을 동화주(同化主)라 하고 그 영향을 입어 변하는 쪽...
- 동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동심을 바탕으로 어린이를 위하여 지은 산문문학의 한 갈래. [내용] 동화의 정의는 광의냐, 협의냐에 따라 그 범주와 의미가 달라진다. 동화는 옛날이야기‧민담(民譚)‧우화(寓話)‧신화(神話)‧전설(傳說) 등과 같은 설화의 종류가 아니라
- 동화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동화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유신파의 수령이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동화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구리로 만든 돈정의구리로 만든 돈 | 문광부표기donghwa | MR표기tonghw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단행본(5)
- 한국인의 근대 국가관, ‘민주공화국’ 재고:식민지시기 국가의 이중성과 민족문제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인의 '근대국가관' 제고: 식민지시기 국가의 이중성과 민족문제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 연세대학교]저자 : 전상숙 ... | 출판사 : 도선출판 선인 | 출판일 : 20170425유형단행본이 글은 일본의 식민지시기, 동화주의를 토대로 한 일본 식민지배정책의 시책 속에 표출‧강제된 식민지 국가 인식의 강제화 속에 내포된 국가와 이에 저항하며 표출된 조선인들의 근대국가관을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식민지시기 국가라는 말이 칭하는 대상과 의미의 이중성을 구...
- 한국인의 문화유전자를 담은 옛날 이야기 [국립대만사범대학 한국학 전공 개편 신설 | National Taiwan Normal University]저자 : 이정민 외 ... | 출판사 : 凌宇出版 | 출판일 : 20210531第一, 本書所記載的傳說故事,是記載於韓國的小學課本,所以只要是韓國人,沒有人不知道這些故事。而透過這些故事,可以理解韓國的社會文化、風俗民情與韓國人的精神象徵。 第二, 本書以韓文故事與中文翻譯雙語方式刊行,對韓語學習者可學習到講故事的語體、詞彙與句型。 第三, 本書按故事...
- 싱가포르 한인사회: 글로벌 한인, 트랜스내셔널 한인 공동체 [동남아시아의 한인과 한인사회: 도전과 정착, 그리고 미래 | 한국동남아연구소]저자 : 김지훈 ... | 출판사 : (주)나남 | 출판일 : 202401이 책은 아시아의 선진국, 도시국가이자 글로벌 도시인 싱가포르 한인사회를 현재 기준으로 ‘글로벌 도시 이민사회’로 유형화한다. 그리고 지난 반세기간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싱가포르 한인사회 공동체의 사회문화적 특징을 탐색한다. 이를위해 연령, 젠더, 이주 이력, 직업, ...
- 韓語發音 [중국문화대학 | Chinese Culture University]저자 : 호정환(중국문화대학), 정윤도(중국문화대학), 중국문화대학 한국어문학계교재편찬위원회(중국... | 출판사 : 中國文化大學華岡出版部 | 출판일 : 2012.07분야교육 | 유형단행본1.첫째마당 - 한국어문의 이해 2.둘째마당 - 노래로 배우는 한국어 3.셋째마당 - 동화로 배우는 한국어 4.넷째마당 - 회화로 배우는 한국어 5.다섯째마당 - 생활 한국어
- 韓語讀本 (2) [중국문화대학 | Chinese Culture University]저자 : 호정환 외... | 출판사 : 中國文化大學華岡出版部 | 출판일 : 2012.01.분야교육 | 유형단행본Part1 한국의 전래동화 Part2 나의 한국이야기 Part3 한국의 명절과 민속놀이, 그리고 국경일 Part4 한국의 예절 Part5 한국어와 한국인의 마음 알아보기
논문(1)
- 일제 강점기의 종교정책과 샤머니즘 [한국근대 민족종교문화 지식지도 DB구축(1860-1945) | 원광대학교]저자 : 박일영(가톨릭대학교) | 게재정보 : 한국무속학 31권, 게재일 : 2015.081900년대 초 한반도를 강제 점령한 일본의 제국주의자들은 조선총독부를 설치하여 위압적인 통치를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일제 식민지 관료나 경찰 당국은 전통종교문화의 핵심인 샤머니즘을 원시적이고 속된 미신으로 분류하여 강압적으로 다루었다. 그들은 풍기문란을 방지하고, ...유형논문
고서·고문서(1,246)
- 동화일보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동화일보 권 남자 길림성(吉林省) 유수현(榆树县 ) 연화 3대 2 1 동화일보, 접수원, 초면인사, 남조선, 방송국, 중...대표표제어동화일보 | 성씨권
- 동화면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동화면 김 남자 전라남도 장성군 흑룡강성(黑龙江省) 방정현(方正县) 덕선공사 신성대대 2 2 동화면, 면장사업,대표표제어동화면 | 성씨김
- 동화잡록(東華雜錄)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조선동화집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이 자료는 조선총독부가 기록한 자료로 자료명은 조선동화집(朝鮮童話集)로 표기되어 있으며 조선총독부에서 발간하였다. 작성년도는 1924년(대정 13)이다. 이 자료는 모두 186면이며 일본어로 기록되어 있다. 『조선동화집』은 1924년에 조선총독부가 간행한 일...분류일상생활 | 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출판사富山房(東京)
- 자동화대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자동화대사전 공학 산업공학 컴퓨터통합생산시스템 자동화대사전 일본産業硏究會 著; 李永海 譯 기술 안양 1995 자동화; 생산...대표표제어자동화대사전 | 대분류공학 | 중분류산업공학 | 소분류컴퓨터통합생산시스템
구술자료(187)
- 청동화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79-10-31 | 조사장소충청남도 당진군 당진읍 | 제보자차인환
- 동화리의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당시에 마을 노인회장 이었던 제보자가 조사자들을 빨리 보내려는 의도가 강해 조사에 어려움을 겪었다. 당시 제보자가 노인 회장을 맡 은 지가 얼마 되지 않아 제보자하고만 면담형식으로 이야기하면 되는 줄 알고 있다가 다른 제보자를 불러달라고 이야기하니 당황하였고 다...조사일시2011. 3. 6 (일) | 조사장소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동화 2리 마을회관 | 제보자김두열
- 옥동화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 설화를 마치고, 계속 이야기만 하게 되자 조사 분위기가 침체되고 잠이 오는 듯이 청중들이 다소 지겨워하는 것 같았다. 그래서 분위기를 환기시키기 위해 제보자에게 노래를 한가지 해달라고 권유하자, 이야기를 하겠다고 하며 들려 준 것인데 “내 이야기 하는데 윗지 마...조사일시1982-08-05 | 조사장소경상북도 군위군 산성면 | 제보자김분선
- 모찌는 소리(동화로구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서의 모찌는 소리를 짧게 불러준 후, 그런 노래도 있고, 또 모를 찔 때 '흥아야 방아야' 소리도 있다면서 마치 예를 들어주듯이 아주 짧게 불러 주었다. 그래서 조사자가 다시 한 번 좀 길게 불러달라고 재차 부탁하자, 제보자가 웃으면서 다시 모 찌는 소리를 들려주...조사일시2011. 4. 16(토) | 조사장소여수시 소라면 현천리 박경만씨 댁 | 제보자정종권
- 전쟁준비를 시킨 선생님과 무시한 아버지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것까지 다 학교에서 갈켜줬다구. 그런데 하루는 선생님이 그러는 거야. 교감선생님이, 박교감님이 그러더라구. “이제는 시대가 위험하니깐 반드시 운동화는 두 켤레 장만 해 놓으래. 신발은 튼튼해야 하니깐. [조사자1 : 아, 피난 가야 하니까?] 피난 가야 하니깐 신발조사지역강원 춘천 | 조사일2013년 2월 17일
기초학문(252)
- 동화와 웃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현경, 게재일 : 201762861 정현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브레히트학회 2017 동화와 웃음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유형논문 | 게재일2017
- 일제 강점기 동화시(童話詩)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진헌, 게재일 : 201458595 정진헌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4 일제 강점기 동화시(童話詩)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스페인 전래동화 소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부자, 게재일 : 201664411 김부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지중해지역원 2016 스페인 전래동화 소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유형논문 | 게재일2016
- 백석의 동화시와 마르샤크의 동화시 비교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명옥, 게재일 : 201554832 박명옥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아동문학학회 2015 백석의 동화시와 마르샤크의 동화시 비교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유형논문 | 게재일2015
- 사실주의 동화의 예로서의 슈토름의 세 편의 동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533838 한국연구재단 한국독일어문학회 2005 사실주의 동화의 예로서의 슈토름의 세 편의 동화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유형논문 | 게재일2005
신문·잡지(1,216)
- 永同火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츙쳥북도 관찰가 부로 보고기 영동군 남일면 함즁리에셔 음력삼월십삼일에 우연이 실화야 이십여호가 몰소야 남녀 로유들이 도로에 방황난 경샹이 가긍니 그젼졉 방략에 야 특별한 구휼금을나리라 얏다더라게재일1905년 5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又造銅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뎐환국에셔 통젼의 제죠는 졍지하고 은젼짓기 시작하엿더니 다시통젼을 졔죠다더라게재일1902년 10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銅貨漸落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근일 일본의 지폐갑이 고등야 일화원에 한화 일구십원으로 상환 다더라게재일1902년 11월 7일 | 기사분류잡보
- 白銅貨鎔解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탁지에셔 신구화교환야 구동화 젼환국으로슈송더니 근일뎐환국에셔 그돈을녹여셔 코계작편 인쳔 평양 등디에셔 교환구동화도 다뎐환국으로슈운야다가 녹인다 지금젼환국에젹치것만야도명년오월이라야 필역다며 그돈녹이 셕탄을쓰지안코 장작만쓴다더라게재일1905년 10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尙鑄白銅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뎐환국에셔 동젼 짓기를 졍지엿다 더니 다시 드른즉 일 삼쳔원식 졔죠데 졍부에셔 엇지라 훈령이 잇셔야 동화 졔죠를 졍지터이라더라게재일1902년 4월 4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143)
- 주차. 해동화엄의 개조, 의상 8주차. 동아시아 유식학자, 원측과 태현 9주차. 점찰과 풍수, 진표와 도선 40주차. 기록상의 비구니와여성불자 고영섭 소속│동국대학교 불교학부 교수 학력│동국대학교 불교학과 철학박사 전공분야│한국불교, 동아시아불교 삼국 통일신강좌제목삼국 통일신라의 불교인물 | 강의자고영섭
- 주차. 해동화엄의 개조, 의상 8주차. 동아시아 유식학자, 원측과 태현 9주차. 점찰과 풍수, 진표와 도선 41주차. 기록상의 비구니와여성불자 고영섭 소속│동국대학교 불교학부 교수 학력│동국대학교 불교학과 철학박사 전공분야│한국불교, 동아시아불교 삼국 통일신강좌제목삼국 통일신라의 불교인물 | 강의자고영섭
- 주차. 해동화엄의 개조, 의상 8주차. 동아시아 유식학자, 원측과 태현 9주차. 점찰과 풍수, 진표와 도선 42주차. 기록상의 비구니와여성불자 고영섭 소속│동국대학교 불교학부 교수 학력│동국대학교 불교학과 철학박사 전공분야│한국불교, 동아시아불교 삼국 통일신강좌제목삼국 통일신라의 불교인물 | 강의자고영섭
- 주차. 해동화엄의 개조, 의상 8주차. 동아시아 유식학자, 원측과 태현 9주차. 점찰과 풍수, 진표와 도선 43주차. 기록상의 비구니와여성불자 고영섭 소속│동국대학교 불교학부 교수 학력│동국대학교 불교학과 철학박사 전공분야│한국불교, 동아시아불교 삼국 통일신강좌제목삼국 통일신라의 불교인물 | 강의자고영섭
- 주차. 해동화엄의 개조, 의상 8주차. 동아시아 유식학자, 원측과 태현 9주차. 점찰과 풍수, 진표와 도선 44주차. 기록상의 비구니와여성불자 고영섭 소속│동국대학교 불교학부 교수 학력│동국대학교 불교학과 철학박사 전공분야│한국불교, 동아시아불교 삼국 통일신강좌제목삼국 통일신라의 불교인물 | 강의자고영섭
기타자료(302)
- 이동화;李東華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3384 일본 山口 山口高等學校 山口高等學校一覽 1940~1941년 n.r. 171면 이동화;李東華 조선 제8회 1929년 3월 7일학교소재지역山口 | 학교명山口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동화;李洞華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6993 북한 황해 해주고등보통학교 교우회잡지 제1호, 1926―09 171면 1. 회원명부;7) 2년 東 이동화;李洞華학교소재지역황해 | 학교명해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동화;李東華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3171 일본 山口 山口高等學校 山口高等學校一覽 1926~1927년 n.r. 165면 이동화;李東華 조선학교소재지역山口 | 학교명山口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동화;李東華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3188 일본 山口 山口高等學校 山口高等學校一覽 1927~1928년 n.r. 150면 이동화;李東華 조선학교소재지역山口 | 학교명山口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동화;李東華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3195 일본 山口 山口高等學校 山口高等學校一覽 1928~1929년 n.r. 146면 이동화;李東華 조선학교소재지역山口 | 학교명山口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0)
-
한국 역대 한자 자형 자전(字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활용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김우정 | 단국대학교 | 2019 | 국내 | 경기
-
한국옛이야기의 전승과 문화담론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권혁래 | 용인대학교 | 2021 | 국내 | 경기
-
한국인의 '근대국가관' 제고: 식민지시기 국가의 이중성과 민족문제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전상숙 | 연세대학교 | 2013 | 국내 | 서울
-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3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이종서 | 울산대학교 | 2018 | 국내 | 울산
-
대한제국기 재판기록 자료집성 및 DB-사법품보(司法稟報) 역주-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한상권 | 덕성여자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83)
-
동화 / 同化 [언어/언어/문자]
한 단어 또는 같은 기식군(breath group) 안에 있는 한 음이 다른 음에 영향을 가하여 저와 완전히 같거나 비슷한 음으로 변화하게 하는 현상. 동화는 모음과 모음, 자음과 자음 사이에서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모음과 자음, 자음과 모음 사이에서도 일어난다.
-
동화 / 童話 [언론·출판/언론/방송]
1936년 1월 18일에 한글 1-4단으로 내리 편집하여 발행한 소년소녀 월간지. 내용으로는 선언, 훈화, 동요, 동화, 소설, 아동극, 잡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동화 / [문학/구비문학]
동심을 바탕으로 어린이를 위하여 지은 산문문학의 한 갈래. 동화의 정의는 광의냐, 협의냐에 따라 그 범주와 의미가 달라진다. 동화는 옛날이야기·민담(民譚)·우화(寓話)·신화(神話)·전설(傳說) 등과 같은 설화의 종류가 아니라 그러한 것을 재구성, 고치거나 또는 그러한
-
도동화 / 刀冬火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옛 지명. 757년(경덕왕 16)도동(道洞)으로 고쳐 임고군(臨皐郡)의 영현으로 하였고, 고려 초기영천에 예속시켜 고을을 폐지하였다. 도동화의 ‘화(火)’는 땅ㆍ벌판ㆍ고을을 뜻하는 신라계의 지명 어미(語尾)이다.
-
백동화 / 白銅貨 [경제·산업/경제]
에 유통되었던 백동화는 전환국에서 주조한 것 이외에도 민간이나 외국인에 의한 위조 화폐의 유통도 많았다. 이후 1904년 전환국의 폐지로 이의 주조도 금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