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동해안별신굿” 에 대한 검색결과 15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8)

사전(30)

  • 굿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부 등의 행태를 묘사한다. 굿은 규모가 크고 오락성이 짙어 종교적 의식이라기보다 민중연희적 성격이 강하다. 별신굿을 행하는 마을은 축제분위기로 들떠 있고, 굿청은 마을 사람들이 흥겹게 노는 놀이판의 성격을 띤다. 굿이 진행되는 중간에 ‘노름굿’이라고 하...
    연계항목동해안별신굿(東海岸別神굿)
  • 굿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요무형문화재 제82-1호. 부산광역시 동래구에서 강원도 고성군에 이르는 동해안 어민들이 풍어와 안전을 비는 마을굿.
    정의중요무형문화재 제82-1호. 부산광역시 동래구에서 강원도 고성군에 이르는 동해안 어민들이 풍어와 안전을 비는 마을굿.[두산백과] | 문광부표기Donghaean Byeolsin Gut | MR표기Tonghaean Pyŏlsin Kut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범굿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동해안 지역에서 행해지는 별신굿의 한 제차(차례). [내용] ‘호탈굿’ㆍ‘호석(虎席)’ㆍ‘범안굿’이라고도 한다. 옛날에는 호랑이에게 해를 입은 경우가 많았으므로 호식(虎食)을 면하고자 하는 기원에서 유래된 굿거리이다. 주로 감포(甘浦)ㆍ구...
    이칭별칭호탈굿|호석(虎席)|범안굿
  • 꽃노래굿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동해안 지역의 굿 중 꽃노래와 춤이 어우러지는 제차(祭次). [내용] 강릉단오굿이나 굿 또는 오구굿 등에서 굿의 후반부에 하는 놀이로서 여러 무녀들이 춤과 노래로 진행한다. ‘꽃굿’ㆍ‘꽃맞이굿’ㆍ‘꽃노래’ 등으로도 불린다.
    이칭별칭꽃굿|꽃맞이굿|꽃노래
  • 일산동당제(별신굿)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울산광역시 동구 일산동 일원 에 전승되고 있는 동제. [개설] 당제는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는 전통적 의례로, 일산동당제는 동해안 자연마을에서 지금도 행하고 있는 굿의 하나이다. 20...

구술자료(73)

  • 김석출 굿 세존굿 기타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김석출 굿 세존굿 기타녹음 예술·체육 작품 현대 I-417 3297 미상 기타녹음자료 1) 김석출의 굿 중 세존굿이 녹
    자료구분상세기타녹음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석출
  • 부산 무속 조사(김석출 대담) ⑦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부산 무속 조사(김석출 대담) ⑦ 예술·체육 작품 현대 I-578 3264 부산 대담조사자료 1) 대담자 김석출이 ‘굿’ 절차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석출
  • 부산 무속 조사(김석출 대담) ⑤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부산 무속 조사(김석출 대담) ⑤ 예술·체육 작품 현대 I-576 3229 부산 대담조사자료 1) 대담자 김석출이 ‘굿’ 절차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석출
  • 부산 무속 조사(김석출 대담) ⑥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부산 무속 조사(김석출 대담) ⑥ 예술·체육 작품 현대 I-577 3263 부산 대담조사자료 1) 대담자 김석출이 ‘굿’ 절차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석출
  • 김석출 대담조사 ③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관한 대담이 녹음되어 있다. 2) 음질 중 무속음악 굿 김석출 무속음악 1990-04-22 31:05 17:40 I-1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석출

기초학문(2)

  • 굿 무업집단의 성격과 탈굿 ‧ 거리굿의 역동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조정현, 게재일 : 2008
    13599 조정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공연문화학회 2008 굿 무업집단의 성격과 탈굿 ‧ 거리굿의 역동성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동해안 무집단의 당주권 확보과정과 적응전략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윤동환, 게재일 : 2008
    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13046&local_id=10015930 굿 무집단의 구조화 과정과 적응전략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research.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08

멀티미디어(53)

  • 무형문화재 제82-호 굿 전승교육사 - 서울시무형문화재 제25호 판소리고법 이수자 반혜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학박사 - 단국대학교 연구교수 - 전북대학교 강의전담교수 정은주 - (사)국가무형문화재남해안별신굿보존회 사무국장/이수자 - 전북대학교 무형
    강좌제목음악과 몸짓으로 만나는 한국 무속 II | 강의자이용식 교수, 김미영 교수, 손정진 교수, 반혜성 교수, 정은주 교수, 한진오 교수
  • 무형문화재 제82-호 굿 전승교육사 - 서울시무형문화재 제25호 판소리고법 이수자 반혜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학박사 - 단국대학교 연구교수 - 전북대학교 강의전담교수 정은주 - (사)국가무형문화재남해안별신굿보존회 사무국장/이수자 - 전북대학교 무형
    강좌제목음악과 몸짓으로 만나는 한국 무속 II | 강의자이용식 교수, 김미영 교수, 손정진 교수, 반혜성 교수, 정은주 교수, 한진오 교수
  • 무형문화재 제82-호 굿 전승교육사 - 서울시무형문화재 제25호 판소리고법 이수자 반혜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학박사 - 단국대학교 연구교수 - 전북대학교 강의전담교수 정은주 - (사)국가무형문화재남해안별신굿보존회 사무국장/이수자 - 전북대학교 무형
    강좌제목음악과 몸짓으로 만나는 한국 무속 II | 강의자이용식 교수, 김미영 교수, 손정진 교수, 반혜성 교수, 정은주 교수, 한진오 교수
  • 무형문화재 제82-호 굿 전승교육사 - 서울시무형문화재 제25호 판소리고법 이수자 반혜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학박사 - 단국대학교 연구교수 - 전북대학교 강의전담교수 정은주 - (사)국가무형문화재남해안별신굿보존회 사무국장/이수자 - 전북대학교 무형
    강좌제목음악과 몸짓으로 만나는 한국 무속 II | 강의자이용식 교수, 김미영 교수, 손정진 교수, 반혜성 교수, 정은주 교수, 한진오 교수
  • 무형문화재 제82-호 굿 전승교육사 - 서울시무형문화재 제25호 판소리고법 이수자 반혜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학박사 - 단국대학교 연구교수 - 전북대학교 강의전담교수 정은주 - (사)국가무형문화재남해안별신굿보존회 사무국장/이수자 - 전북대학교 무형
    강좌제목음악과 몸짓으로 만나는 한국 무속 II | 강의자이용식 교수, 김미영 교수, 손정진 교수, 반혜성 교수, 정은주 교수, 한진오 교수

주제어사전(1)

  • 굿 / 東海岸別神─ [종교·철학/민간신앙]

    남부 동해안일대에 전승되는 마을굿. 중요무형문화재 제82-1호. 부산 동래로부터 강원도 고성군에 이르는 남부 동해안지역일대에서 정기적으로 행하는 마을굿이다. 이 지역에는 마을마다 골매기당이라는 마을 수호신을 봉안한 당(堂)이 있다. 마을 주민들은 마을의 풍요와 다산(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