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동학가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2)
사전(51)
- 동학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학가사는 가사문학사에서 말기에 해당하는 위치를 차지한다. 가사는 처음에 불교가사로 출발해서 사대부가 유학사상을 나타내는 유학가사를 주류로 하여 굳건한 자리를 잡았다.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는 풍속가사‧기행가사‧규방가사 등으로 성격이 다양해지고, 천주교...
- 명운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東學歌辭). [구성 및 형식] 100여편의 『동학가사』(경상북도 상주 동학교 간행) 중 제26권 『몽중서(夢中書)』라는 가사집에 실려 있다. 작자를 동학교의 남접도주(南接道主)인 김주희(金周熙)라고 주장...
- 운산시호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 [개설] 목판본. 1932년경상북도 상주(尙州) 동학 본부에서 간행한 『용담유사(龍潭遺詞)』 권32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는 당시 동학 교주 김주희(金周熙)로 추정되나 확증은 없다. [내용 및 형식] ...
- 궁을신화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 [개설] 목판본. 1932년경상북도 상주의 동학 본부에서 김주희(金周熙)에 의해 간행된 『용담유사(龍潭遺詞)』에 제9편으로 수록되어 있다. 작자는 김주희라는 주장이 있으나 분명하지 않다. 국한문 혼용본과 국문...
- 창화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 [구성 및 형식] 24장. 목판본. 『용담유사(龍潭遺詞)』 제10편에 수록되어 있다. 1932년경상북도 상주 동학본부에서 김주희(金周熙)에 의하여 간행되었으며, 국한문혼용본과 국문본 2종이 있다. 작자는 김주...
고서·고문서(9)
- 도덕가라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원문 18ㄱ 도덕가라 六十八句천자음양 시판우 천만물 화서지우 금수요 최령 람이라전오 시상말리 천인심 갓고점수 주역괘여 난칙 귀신이요학 이런도 명〃득 여여지으지선 안닐넌가 中용 일은말은 원문 ...가사유형동학가사 | 소장처경북대학교 | 시대해방이전
- 도수가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원문 34ㄴ 일귀 신유광 천지간의 정쳐읍시 발졍니울〃 이회포 부칠 바이업셔쳥여로 볏을삼아 억창의 몸을빗겨 원문 35ㄱ 졈〃반칙 가서 호런이 각이나도 이상의 천운이 만국여만고업 무...가사유형종교가사 | 소장처경북대학교 | 시대해방이전
- 안심가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원문 26ㄴ 안심가一白四十九귀 경인현숙한 집부여 이글보고 앙심하소저영 초목군 死生在天 안일넌가합물며 만불지간 유인이 쥐령일나도 〃날임 명복바다 출시하니시 니일을 역〃키 히려보니첩〃히 험난일을 당코나니 고일이도역시 천정이라 무가라...가사유형동학가사 | 소장처경북대학교 | 시대해방이전
- 용담유서라 교훈가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원문 20ㄱ 용담유서라 교훈가왈이질 아들아 경수차서 여서라너들이 시上 오으로 기서삼강을 법을삼고 오륜 첨이서이십살 라니 성문고족 이집안명수업 너거동 보고니 경사로다소읍〃시 길워니 일회일비 안일넌가 ...가사유형동학가사 | 소장처경북대학교 | 시대해방이전
- 흥비가라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원문 15ㄴ 흥비가라지시운별가 〃〃니 긔칙불원 긔칙불원: 기측불원((其則不遠). 이라피 보거설 으글 업건마이도시 사람이요 부어건 부어건: 부재어근(不在於斤). 그 잘못이 도끼에 있지 않다. 이로목전지 수이말고 심양업새 가서말...가사유형동학가사 | 소장처경북대학교 | 시대해방이전
구술자료(1)
- 충남 농악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테이프 겉면에 \'동학가사 2000.5.4 천도교\'라고 기록되어 있지만 실제 내용은 충남 농요에 관한 것이다. 3) 음질 상 농악 내포농악 용덕기놀이 농악 2000-05-04 충청남도 당진군 당진읍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농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손용달
기초학문(1)
- 상주 동학교와 동학가사 책판 및 판본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문기, 게재일 : 200638967 김문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경북대학교퇴계연구소 2006 상주 동학교와 동학가사 책판 및 판본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06
주제어사전(41)
-
동학가사 / 東學歌辭 [종교·철학]
동학사상을 전파하기 위해서 만든 가사. 최초의 동학가사는 <용담유사>에 실려 있는 것들이다. <용담유사>는 1880년 최시형에 의해 <동경대전>과 함께 간행되었다. <용담유사>에 실려 있는 동학가사는 그 당시까지 암송되어 오던 것들이다. <용담유사> 이후의 동학가사는
-
명운가 / 明運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東學歌辭). 100여편의 『동학가사』(경상북도 상주 동학교 간행) 중 제26권 『몽중서(夢中書)』라는 가사집에 실려 있다. 작자를 동학교의 남접도주(南接道主)인 김주희(金周熙)라고 주장하는 이도 있으나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4음보 1구로
-
도덕가 / 道德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東學歌辭). 『용담유사(龍潭遺詞)』 권21에 수록되어 있는 이 『도덕가』는 「수시경세가(隨時警世歌)」·「권선치덕가(勸善致德歌)」·「추본수덕가(推本修德歌)」·「지본수련가(知本修煉歌)」·「몽각명심가(夢覺明心歌)」의 5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형식
-
채지가 / 採芝歌 [문학/고전시가]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東學歌辭). 동학 포교가로 「남조선(南朝鮮) 뱃노래」·「초당(草堂)의 봄꿈」·「달노래」·「칠월식과(七月食苽)」·「남강철교(南江鐵橋)」·「춘산노인(春山老人) 이야기」의 6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
몽중서 / 夢中書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東學歌辭). 『몽중서』는 「운산몽중서(雲山夢中書)」·「명운가(明運歌)」·「해동가(海東歌)」의 세 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세 편 모두 그 내용이 전형적인 동학 이념을 전달하는 것이어서 주제는 같지만 표현이 다를 뿐이다. 이들 가사 세 편의 율